• 제목/요약/키워드: plantlet differentiation

검색결과 17건 처리시간 0.033초

백합 경단 및 인편배양으로부터 유식물체 분화 및 자구형성에 미치는 생장조절제의 영향 (Effects of Growth Regulators on Shoot Differentiation and Bulblet Formation in Shoot-Tip and Bulb-Scale Cultures of Lilium longiflorum)

  • 이은모;정해준;민병훈;이영복
    • 식물조직배양학회지
    • /
    • 제22권2호
    • /
    • pp.83-87
    • /
    • 1995
  • 백합 경단 및 인편배양에 있어서 유식물체분화 및 자구형성에 미치는 생장조절제의 효과를 구명하기 위하여 실험을 수행하였다. 백합 경단배양 시 유식물체분화는 NAA 0.1 mg/L 또는 NAA 0.1 mg/L + BA 0.1 mg/L 복합처리구에서 비교적 양호하였으나, 뿌리분화는 생장조절제가 무첨가구가 양호하였다. 인편 조직절편 배양 시 생장조절제 첨가없이도 유식물체분화는 가능하였으나, NAA 0.2 mg/L 처리구에서 가장 양호하였며, BA 단독처리구에서는 양호하지 못하였다. NAA대신 IBA를 처리할 경우에는 분화된 유식물체의 자구 형성을 촉진시켰고, 특히 IBA 0.1 mg/L에서 효과적이었다. NAA 0.2 mg/L를 처리할 때 sucrose 3% 첨가보다 6% 첨가가 자구형성을 촉진시켰다.

  • PDF

High Frequency Regeneration of Plantlets from Seedling Explants of Asteracantha longifolia (L.) NEES

  • Mishra Ramya Ranjan;Behera Motilal;Kumar Deep Ratan;Panigrahi Jogeswar
    • Journal of Plant Biotechnology
    • /
    • 제8권1호
    • /
    • pp.27-35
    • /
    • 2006
  • Plantlet regeneration in Asteracantha longifolia(L.) Nees (Acanthaceae), a medicinal herb has been achieved from seedling explants on basal MS medium. Three different seedling explants including node, internode and leaf segments on used. Of these three explant, leaf explants gave better response for both callus mediated organogenesis and direct multiple shoot induction. Number of explants showing differentiation of shout buds was higher on MS media supplemented with BA compared to kinetin. MS medium fortified with BA ($2.0mgl^{-1}$) and NAA ($0.5mgl^{-1}$) was found to be most suitable for both callus mediated organogenesis and elongation of shouts. The elongated shoots were successfully routed on MS medium fortified with NAA or IBA. Among them $0.1mgl^{-1}$ NAA or $0.2mgl^{-1}$ IBA provides better response for rhizogenesis. Regenerated plantlets were successfully established in soil where 85.4% or them developed into morphologically normal and fertile plants. RAPD profiling using four decamer primers confirmed the genetic uniformity of the regenerated plantlets and substantiated the efficacy and suitability of this protocol for in vitro propagation of A. longifolia.

포도 4배체 '후지미노리'와 3배체 '썸머블랙'의 교배로 얻은 미숙배의 기내배양 (In Vitro Culture of Immature Embryo Obtained by Crossing between Tetraploid Grape 'Fujiminori' and Triploid 'Summer Black')

  • 고재철;오주은
    • 원예과학기술지
    • /
    • 제31권3호
    • /
    • pp.352-358
    • /
    • 2013
  • 포도 4배체 'Fujiminori'에 3배체 'Summer Black'을 인공교배하여 얻은 미숙배의 발아 및 식물체 분화를 목적으로 MS 배지에 $GA_3$와 Coconut water(CW)를 농도별로 첨가하여 배배양을 실시하였다. 'Fujiminori'에 'Summer Black'을 교배하여 64.3%의 미숙배를 얻을 수 있었고, 미숙배를 기내 배양한 결과 $GA_3$ 모든 처리구(0.01, 0.05, 0.25, $1.25mg{\cdot}L^{-1}$)에서는 95% 이상의 발아율을 나타내었으나, 15.8-31.6%만이 정상적인 식물체로 생장하였다. 또한 $GA_3$의 농도가 높아질수록 하배축은 신장되었고, 비대생장은 억제되었다. CW 모든 처리구(5, 10, 15, 20%) 중에 CW 10%와 CW 15% 처리구에서는 각각 68.4%와 66.7%로 많은 식물체를 획득할 수 있었다. 또한 줄기의 길이생장, 마디수, 발근수는 CW 10% 처리구에서, 뿌리길이는 CW 15% 처리구에서 양호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따라서 포도 4배체 'Fujiminori'와 3배체 'Summer Black'의 인공교배를 통해 얻어진 미숙배의 발아 및 생장을 위해서는 CW 10-15%를 첨가한 MS 배지를 이용한 배배양이 효과적이다.

구기자나무 유식물체를 이용한 식물체의 재분화와 극성과의 관계 (Correlation between In vitro Plant Regeneration and Polarity with Boxthorn (Lycium chinense Mill.) Seedlings)

  • 권혜경;조이연;윤의수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19권2호
    • /
    • pp.308-314
    • /
    • 2006
  • 구기자나무로부터 캘러스의 형성과 shoot의 형성에 미치는 생장조절제의 영향을 연구한 결과 캘러스의 형성은 2,4-D를 포함하는 배지에서 효과적이었으나 shoot의 형성에는 억제효과를 보였다. Shoot의 형성은 0.1mg/L IAA + 0.1mg/L BA의 배지에서 형성률과 절편당 형성 개체수가 가장 높은 분화율을 보였다. 절편체의 부위에 극성에 다른 캘러스의 형성과 shoot의 재분화에 있어서는 자엽의 기부와 말단부를 20% 절제한 절편의 기부의 절단면에서는 shoot의 형성이, 하부의 절단면에서는 캘러스의 형성이 높았으며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하부에서도 shoot의 형성이 보였다. 재분화식물은 1/3 MS 배지에서 뿌리가 양호하게 발달하였으며 토양 순화과정에서도 90% 이상의 생존율을 보여 개화가 이루어졌다.

지황의 캘러스 배양에 의한 기내 대량증식 (Micropropagation through Callus Culture in Chinese Foxglove (Rehmannia glutinosa))

  • 박충헌;성낙술;백기엽;이철희
    • 식물조직배양학회지
    • /
    • 제25권3호
    • /
    • pp.171-175
    • /
    • 1998
  • 지황(Rehmannia glutinosa)의 캘러스배양을 통한 기내 대량증식을 위하여 엽조직으로부터 캘러스 형성에 미치는 생장조절물질의 영향을 조사한 결과 MS배지에 0.5 mg/L NAA와 2.0 mg/L BA 첨가배지에서 캘러스 형성율 100%, 식물체 분화율 31%로 가장 높았으며, 2.4-D와 zeatin 첨가배지에서는 캘러스 형성율은 95% 이상 높았으나 기관분화가 전혀 이루어지지 않았다. 재분화 식물체로부터 다수의 신초 유기에 적합한 배지로는 MS배지에 0.2mg/L NAA와 0.5 mg/L BA를 첨가한 배지에서 3.4개와 2.8개로 양호하였다. 다수의 신초 증식을 위하여 1.0 g/L활성탄을 첨가한 배지에서 가장 많은 3.8개의 신초가 분화되었으나 2.0 g/L 첨가배지에서는 2.4개로 감소된 반면, 초장과 엽수는 증가하여 개체생육은 양호함을 알 수 있었다.

  • PDF

딸기 '설향' 육묘기 양분 공급 중단 시기가 자묘 생육 및 수량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Timing of Nutrient Starvation during Transplant Production on the Growth of Runner Plants and Yield of Strawberry 'Seolhyang')

  • 김대영;채원병;곽정호;박수형;정승룡;최종명;윤무경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22권4호
    • /
    • pp.421-426
    • /
    • 2013
  • 국내에서 육성된 딸기 품종인 '설향'을 대상으로 비가림 포트 육묘 시 양분 공급 중단 시기에 따른 자묘의 생육과 정식 후 수량을 검토하였다. 자묘 받기를 완료한 후 양분을 EC $0.8dS{\cdot}m^{-1}$ 수준으로 공급하다가 7월 25일부터 9월 5일에 걸쳐 약 10일 간격으로 양분 공급을 각각 중단하고 이후 수분만 공급하였다. 그 결과 육묘기 양분 공급 중단 시기가 7월 25일로 빠른 경우에 엽면적등 지상부 생육은 억제되었으나 근중은 증가하여 T/R율이 크게 감소하였고 엽록소 함량이 낮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또한 화아 분화가 촉진되어 정식 후의 출뢰, 개화 및 수확기가 앞당겨졌으나 8월 중순 이후까지 양분 공급이 지속될 경우에 수확 시기가 2주 이상 지연되었다. 이에 따라 7월 25일에 양분 공급을 중단한 처리구에서 1월 하순 및 2월 하순까지의 1주당 누적 상품과 수량은 각각 169 및 266g으로 나타났으며 9월 5일 처리구와 비교하여 각각 71 및 12% 수준의 유의한 수량 증가를 보였다. 따라서 육묘 후기 자묘의 적절한 양분 공급 중단으로 체내 질소 수준을 효과적으로 감소시킴으로써 딸기의 화아 분화를 촉진하고 수확 시기를 앞당겨 딸기 가격이 높게 형성되는 동절기 수량 및 소득을 증대시킬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탱자(Poncirus trifoliata RAFIN.)의 기내 재분화 및 조직학적 특성 (In vitro regeneration and the change of anatomical appearance in Poncirus trifoliata RAFIN.)

  • 박민희;이현화;장현규;이숙영;김홍섭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12권2호
    • /
    • pp.107-119
    • /
    • 1999
  • 본 연구에서는 탱자의 미성숙배로부터 캘러스 유도와 재분화에 관하여 연구하였다. 탱자 배발생 캘러스들은 3% sucrose와 44.4 $\mu\textrm{m}$ BA로 처리된 $\frac{1}{2}$MS배지에서 광조사(2,000 1x, 16h)시에 미성숙종자의 배로부터 유도되었으며 식물체 재분화는 MS배지에 5.0 $\mu\textrm{m}$ BA를 첨가하였을 때 가장 양호하였다. 탱자는 배양2~3주경에 담황색의 캘러스가 유도되었으며 배양5~6주경부터는 딱딱한 녹색의 캘러스로 변하였다. 기내 재분화는 3% sucrose와 5.0 $\mu\textrm{m}$ BA가 첨가된 MS배지에서 배발생 캘러스로부터 직접 유도되었다. 또한 배양 12주 후에 Multishoot가 재분화되었으며, 배양 16주 후에 뿌리가 형성되었다. 또한 뿌리가 형성된 식물체들은 토양으로 옮겨져 완전한 식물체로 잘 자랐다. 광학 현미경 관찰시 탱자에서는 배양4주경에 하얀색의 조밀한 배양된 세포들이 나타났다. 배양6주경부터는 세포들이 신장되면서 배발생 돌기가 나타났으며 주변의 세포들은 액포화 되었다. 또한 배양12주경에는 미성숙 잎에서 발달된 유낭과 전형성층을 관찰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