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lanting trees

검색결과 452건 처리시간 0.053초

아파트 단지 인공지반의 계획적 평가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Landscape Planning Evaluation on Apartment Artificial Ground)

  • 김유일;오정학;김인혜;윤홍범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26권3호
    • /
    • pp.297-311
    • /
    • 1998
  • Landscaping on artificial ground is currently served as a means to imposing a greenery benefit on high-density and high-rise apartment sites. It functions as a sub-hierarchy in apartment planning such as ornamental element from the past. Major parking space tends to be allocated on the basement area in response to the required parking regulation. Therefore, competitive relatioinship between the parking and greenery space I limited outdoor of apartments leads to the development planning strategy and technology of artificial ground. This study aims at evaluating landscape planning on artificial ground of apartment complex through several approaches such as site survey, plan drawing analysis, and interview with related field experts. 15 survey apartment sites including Bundang Model, Shindaebang-dong, Pyoungchon Hyundai Apartments have been selected for conducting the research. Main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below : First, scattering allocation of artificial ground between apartment building units is a dominant plan layout type among the survey sites. Even though unifying allocation type has an advantage to maximize underground parking space, it has a difficulty in maintaining proper soil ground base for nurturing plants. Therefore, underground parking space should be planned by unifying allocation type placed separately from apartment units. This plan type can provide a balanced planting between soil and artificial ground on surface level. Second, It is strongly recommended to integrate the whole planting base which involves architectural structure, drainage, and water proofing above the planting design. When considering that process as a professional subject dealing with natural material such as trees and shrubs, those tasks should be directed by landscape architectural divison and landscape architect. And planting area for artificial ground has to be specified in initial phase of architectural design. This step provides an opportunity to make a proper decision on structural load, drainage, and water proof design as an integrated part of the management.

  • PDF

고속도로 휴게소 환경개선을 위한 기능 증진 방안 연구 - 수도권 휴게소를 중심으로 - (A Study of the Functional Improvement for Comfortable Expressway Service Areas - Metropolitan Expressway Service Areas -)

  • 이원명;한봉호;김종엽;박석철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43권3호
    • /
    • pp.63-76
    • /
    • 2015
  • 본 연구는 수도권에 설치된 고속도로 휴게소 5개소를 대상으로 휴게소 공간 및 환경 특성, 식재현황을 조사 분석하여 휴게소 조경공간의 문제점과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공간 및 환경 특성에서는 토지이용, 녹지 배치, 토지피복과 환경영향 요인으로 소음 현황, 분리녹지대 지형 구조를 조사 분석하였다. 식재현황에서는 식재개념, 식재구조, 식생경관을 조사 분석하였다. 토지이용 현황은 건물 등 시설지가 81.6%, 녹지는 18.4%이었으며, 녹지는 경관공간 5.4%, 완충공간 9.1%, 녹음공간 0.7%이었다. 녹지 배치는 분리녹지대, 건물 좌 우측, 진 출입부, 휴게소 건물 후면에 주로 배치되어 있었다. 토지피복 현황으로 평균 불투수포장율은 79.3%, 평균 투수포장율은 20.7%이었다. 소음 측정 결과는 소음원인 고속도로와 휴게소의 배치, 분리녹지대의 유형 및 규격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식재개념 현황은 경관식재 6.7%, 기타녹지 3.4%, 완충식재 4.6%, 완충+경관식재 2.0%, 녹음식재 1.1%, 경관+녹음식재 0.5%로 조경공간 대부분이 감상을 위한 공간 위주로 조성되어 있었으며, 이용자의 휴식, 위락 공간 등 적극적 이용 가능 공간은 부족하였다. 식재구조는 교목층식재 52.2%, 관목층식재 11.8%, 교목층+관목층식재 9.4%로 대부분 단층구조이었다. 식생경관은 조사지점에 따라 식재밀도, 식재구조, 생육상태의 영향을 받고 있었다. 고속도로 휴게소 환경 개선 방안은 기반환경 개선, 공간기능 개선, 식재기능 개선으로 구분하여 제시하였다. 기반환경 개선은 휴게소 소음 개선을 위한 분리녹지대 기능 강화, 물순환 체계 개선, 비점오염 저감을 위한 시설물 설치를 제시하였다. 공간기능 개선은 휴게공간 접근성 향상을 위하여 건물 좌우측에 조성되는 녹지를 건물 전면에 배치하는 휴게공간 배치 개선과 주차장 내 녹지섬 조성을 통한 열섬현상 완화 및 보행자 안전 확보를 위한 식재 및 조성 방안을 제안하였다. 식재기능에서는 분리녹지대 완충기능 강화를 위하여 다층형 수림대 조성, 외곽녹지 완충기능 확보를 위한 상록교목+낙엽교목+관목층의 식재구조를 제시하였다. 건물 전면과 이용 선호도가 높은 건물 좌측공간에 녹음공간을 조성하고, 주제 설정을 통한 경관공간 식재방안을 제시하였다.

농촌지역 가로특성이 가로 녹시율에 미치는 영향 - 예산군을 중심으로 - (The Impact of Street Characteristics on the Streetscape Greenness Index in Rural Area - Focused on Yesan-gun -)

  • 이혁균;조용현;김태종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47권6호
    • /
    • pp.78-86
    • /
    • 2019
  • 본 연구에서는 도시와는 특성이 다른 농촌의 공간적 범위를 대상으로 이용빈도가 높은 가로에서 주민들이 체감하는 녹시율을 분석하고, 가로특성을 조사하여 가로특성이 녹시율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충남 예산군을 대상으로 녹시율 분석을 위해 가로 유형을 분류한 후, 인공녹지, 자연녹지, 생산녹지를 포함한 가로 녹시율과 가로 내 가로수만을 대상으로 한 가로수 녹시율을 비교 분석하였다. 그 결과, 예산군의 가로 녹시율은 국도가 15.93%, 지방도는 26.14%, 군도는 28.28%, 면도는 24.72%, 리도는 40.70%, 농도는 32.78%, 도시계획도로는 18.36%로 분석되었고, 가로수 녹시율은 국도는 5.02%, 지방도는 9.10%, 군도는 8.55%, 면도는 4.51%, 리도는 6.92%, 농도는 2.56%, 도시계획도로는 9.39%로 분석되었다. 가로의 특성이 녹시율에 미치는 인자를 알아보고자 가로변 토지이용 형태, 차선의 형태, 가로수의 유·무, 보도의 유·무를 분석하여 녹시율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그 결과, 가로변 토지이용, 차선의 형태, 보도의 유·무가 가로 녹시율과 가로수 녹시율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타 연구들과의 비교를 통해 예산군의 녹시율 개선이 필요함을 도출하였다.

신라 왕경숲 조성에 있어서 주요 수종 선정에 관한 연구 (How to Choose the Species of Trees on the Afforestation Project of Shilla Dynasty′s Capital Forest)

  • 김윤하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32권5호
    • /
    • pp.52-62
    • /
    • 2004
  • This research is basic research about 「the afforestation project of the Shilla Dynasty's capital forest」 which is controlled by the research institute of forest and environment of Kyungbuk province. The results of the investigation about target places and selection of major species of trees is as follows. 1. In the Shilla Dynasty's times, the peach tree was the indicator of unusual changes in weather, and was also the symbol of unsurpassed beauty. Peach trees were so prevalent that people called the forest peach-hill or peach-forest. Therefore, the main tree of Shilla Dynasty's capital forest would have to be a peach tree. 2. From several records, pine and bamboo were planted or grown together. The pattern of planting trees like this case is also historic, so should be utilized positively. 3. In order to afforest the capital forest, the bamboos have to be planted on Nam-mountain in Kyung-ju, and maple trees have to be planted on Kumgang mountain. 4. There were many big trees during the Shilla Dynasty, and the name of one of the Six Main Villages was 'Big Tree Village'. Therefore, big and long-lived trees have to be planted also. 5. The willow tree has to be considered for afforesting the capital forest even though the willow trees are misunderstood to cause allergies. They are traditional landscape architecture trees. In the traditional literature, the willow tree stands for good news. 6. Japanese cornellian cherry(Cornus officinalis), which is related with old narrative literature in the era of King Kyungmun, has to be planted for the forest, and has to be considered to be an educational tree. 7. Korean Rhododendron, which is related with Madam Suro's story, has to be planted in stone gardens.8. Lotus, Korean pulsatilla, Boxwood, Bombycis Mulberry, and Japanese Apricot have been recorded just one time, but these are also important plants which have to be reflected on afforestation of capital forest project. 9. The forests of Shilla on the old records exist in 17 places. The afforestation project has to be undertaken at these places. 10. The people of Shilla deified the forest and trees, which were the places where ancestral rites had been performed. For example, Gyerim, Sinyurim, and Wanggasu were the sacred forests of the capital forest.

전국 풀베기사업 현황분석 및 연차별 조림목 생장 연구 (Analysis of the Current Status of Weeding Operation and Crop Tree Growth Across Planting Periods)

  • 박병배;서정민;한시호;윤우빈;정연국;남궁보선;이상직;이상익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09권2호
    • /
    • pp.179-188
    • /
    • 2020
  • 풀베기작업은 양분, 수분, 광량의 경쟁을 유발시키는 조림목 주변의 잡초목을 제거하는 작업으로, 조림 수종의 활착 및 초기 생장에 큰 영향을 미친다. 본 연구는 주요 조림 수종에 적합한 풀베기 시기와 방법을 알아보기 위하여 전국 국유림을 대상으로 조림수종별 풀베기 시기 및 횟수, 조림목의 수고와 잡초목의 길이를 분석하였다. 조림 후 5년 내의 조림지에서 풀베기사업의 99%가 이뤄지고 있었으며, 소나무, 낙엽송, 편백, 산벚나무, 자작나무 조림지가 풀베기 전체 대상지 중 70% 이상을 차지하였다. 연 1회 풀베기사업은 6월 하순부터 7월 하순까지 67% 실시되었고, 연 2회 풀베기는 6월과 8월이 31%로 가장 높았다. 일부 수종을 제외한 대부분의 수종이 조림 당년과 2년 후까지 잡초목에 비해 수고가 낮았지만, 조림 3년 후부터 잡초목의 길이보다 조림목의 수고가 평균 48% 더 높았다. 따라서, 대부분의 수종은 조림 3년 후부터 모두베기 방식의 풀베기보다는 조림목과 경쟁하는 목본류 위주의 제거작업을 통해 잡초목과의 경쟁을 감소시키고, 작업자의 작업량 또한 줄일 수 있다고 판단된다. 본 연구는 각 지역에 적합한 수종별 풀베기사업 일정과 방법을 반영한다면 효율적인 산림자원육성이 가능함을 제안하고 있다.

밤 수확망 이용의 투자수익성 분석 (Profitability Analysis of Yield Net in Chestnut Harvest)

  • 박상병;김만조;이욱;박윤미;김의경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02권1호
    • /
    • pp.24-29
    • /
    • 2013
  • 본 연구는 수확망의 이용 효과 및 투자수익성을 구명하여 밤 생산자의 수확망 이용에 따른 경제적 부담을 덜어주기 위한 정책제언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마련하고자 실시되었다. 이를 위하여 수확망이 효율적으로 이용되고 있는 청양, 공주, 부여지역에서 6임가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비용편익법 중에서 순현재가치가와 수익비용비를 이용하여 투자수익성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청양A, 청양B, 부여A 임가에서 보조금이 없는 경우에도 투자수익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공주A, 공주B, 부여B 임가는 투자수익성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수확망 구입에서 보조금을 80%지원해 줄 경우, 청양A, 청양B, 부여A, 공주B 임가에서 투자수익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공주A, 부여B 임가에서는 여전히 투자수익성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임가마다 결과가 다소 상이한 것은 밤나무 식재방식이나 재배지 경사, 인력 활용도 및 숙련도 등의 차이가 원인인 것으로 사료된다.

경관생태학적 도시숲 관리를 위한 비오톱 평가지표 및 유형 분류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Biotope Evaluation and Classification of Urban Forests for Landscape Ecological Management)

  • 오정학;조재형;조현제;최명섭;권진오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11권4호
    • /
    • pp.101-111
    • /
    • 2008
  • 최근 부각되고 있는 도시지역의 환경문제 해결을 위해서는 다각적인 접근방법이 요구되는데, 도시지역에 산재해 있는 도시숲의 효율적 조성 및 관리는 그 방법 중 하나가 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도시숲의 경관생태학적 관리를 위한 평가지표를 설정하고, 대전광역시와 울산광역시 시가지에 분포하는 도시녹지를 대상으로 생물서식공간으로서의 비오톱 유형을 구분하였으며, 그 기능적 특성에 기초한 등급과 식생경관의 구성적 특성을 평가하였다. 평가지표 및 방법은 국내의 연구사례가 드물어 유럽에서 사용되고 있는 지표를 국내 실정에 맞게 수정 보완하였으며, 최종 결과는 합산평가 매트릭스법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비오톱 유형은 기존 문헌의 조사결과와는 달리 면적이 다양성에 미치는 영향은 적은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중점 비오톱 등급은 공원의 면적 차이와 성립위치 및 인위적 간섭정도의 차이로 인해 남선공원과 함월산은 3등급, 보문산과 염포산은 4등급으로 나타났다. 생물서식공간으로서의 비오톱 기능평가 등급을 분석한 결과, 지역에 관계없이 3~5등급 즉 보통 이하로 나타나, 서식공간의 제공이라는 기능적 역할은 상대적으로 낮게 나타난 것으로 분석되었다.

  • PDF

사과 '서홍', '썸머드림', '홍금'의 생장 및 수량에 미치는 M.9 대목 노출길이의 영향 (Effect of the Exposed Length of Dwarf Rootstock M.9 on Growth and Yield of 'Seohong', 'Summer Dream' and 'Honggeum' Apples)

  • 권영순;권순일;김정희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25권3호
    • /
    • pp.168-172
    • /
    • 2016
  • 사과나무의 수세는 품종 고유의 유전적 특성에 따라 결정되지만 환경 조건, 재배 관리, 대목 종류 및 노출 길이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품종 고유의 특성에 따라 적합한 대목 종류 및 적정 노출 길이를 선택하는 것이 나무의 생육, 생산성 및 수명에 바람직한 영향을 줄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는 국내에서 육성 된 '서홍', '썸머드림', '홍금'에 적합한 대목 노출길이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하여 M.9 자근대목에 각각 접목한 후 접목부가 지면에서 10, 20, 30 cm로 노출되게 재식하여 수체생장과 생산성을 조사하였다. 재식 6년차까지 '서홍', '썸머드림', '홍금'은 대목 노출이 짧을수록 TCA 증가가 컸다. 재식 6년차의 TCA는 10cm 처리구를 100으로 했을 때 20, 30cm 처리구는 각각 '서홍' 70, 60, '썸머드림' 88, 66, '홍금' 55, 41으로 현저히 낮아졌다. 또한 '서홍', '썸머드림', '홍금'의 대목 노출 길이가 짧을수록 수고, 수폭, 신초장, 정단신초장의 영양생장량이 더 우수하였다. 재식 6년차까지의 누적수량 역시 대목 노출 길이가 짧을 수록 많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재식 6년차 누적수량의 10cm 처리구를 100으로 했을 때 20, 30cm 처리구는 '서홍' 77, 63, '썸머드림' 85, 76, '홍금' 73, 58으로 조사되었다. 과실 특성에 있어서 대목 노출 길이에 따른 차이는 없었다. 따라서, 재식 6년차까지 '서홍', '썸머드림', '홍금'의 영양생장과 생산성을 고려했을 때 M.9 대목의 노출 길이는 10cm로 하는 것이 적당할 것으로 생각된다.

가로수와 바닥 포장 표면 알베도의 도시 열 환경 개선 효과 (Impact of Urban Thermal Environment Improvement by Street Trees and Pavement Surface Albedo)

  • 김나연;김은섭;윤석환;박정강;김상혁;남상준;제화준;이동근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26권1호
    • /
    • pp.47-59
    • /
    • 2023
  • Due to climate change and urbanization, abnormally high temperatures and heat waves are expected to increase in urban and deteriorate thermal comfort. Planting of street trees and changing the albedo of urban surfaces are the strategies for mitigating the thermal environment of urban, and both of these strategies affect the exposure and blocking of radiative fluxes to pedestrians. After measuring the shortwave and longwave radiation according to the ground surface with different albedo and the presence of street trees using the CNR4 net radiometer, this study analyz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is two strategies in terms of thermal environment mitigation by calculating the MRT(Mean Radiant Temperature) of each environment. As a result of comparing the difference between the downward shortwave radiation measured under the right tree and at the control, the shortwave radiation blocking effect of the tree increased as the downward shortwave radiation increased. During daytime hours (from 11 am to 3 pm), the MRT difference caused by the albedo difference(The albedo of the surfaces are 0.479 and 0.131, respectively.) on surfaces with no tree is approximately 3.58℃. When tree is present, the MRT difference caused by the albedo difference is approximately 0.49℃. In addition, in the case of the light-colored ground surface with high albedo, the surface temperature was low and the range of temperature change was lower than the surrounding surface with low albedo. This result shows that the urban thermal environment can be midigate through the planting of street trees, and that the ground surface with high albedo can be considered for short pedestrians. These results can be utilized in planning street and open space in urban by choosing surfaces with high albedo along with the shading effect of vegetation, considering the use by various users.

The Performance Analysis of Korean NGOs' Tree Plantation Projects in Mongolia

  • Kang, Min-Kyung;Park, Dong-Kyun;Chun, Young-Woo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99권5호
    • /
    • pp.655-662
    • /
    • 2010
  • Desertification has been expanding with a remarkable speed across the Northeast Asia. Desertification in Northeast Asia significantly influences Korea's economy and environmental health conditions in recent years. For these reasons, a number of non-governmental organizations (NGOs) in Korea have carried out the reforestation projects to combat desertification in China and Mongolia. Several tree plantation projects were implemented in Mongolia and China.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and evaluate the performance of tree plantation aid projects carried out by Korean NGOs in Mongolia. The performance of tree plantation projects was examined through effectiveness, efficiency, equity and responsiveness of those projects. The performance was analyzed with the survival rate of planted trees and planting cost, the recognitions of Mongolian people. The analysis of the performance showed that the tree plantation cooperation projects carried out by Korean NGOs in Mongolia had comparatively high performance from a larger point of view. Especially, effectiveness and responsiveness of their projects were highly marked in spite of all the difficulties of carrying out the tree plantation. Such a high effectiveness represented the relatively higher survival rates of trees and Mongolian's positive recognition of plantation projects. Furthermore, the responsiveness also turned out to be high with a great satisfaction of the Mongolian people for plantation projects conducted by the Korean NGOs. Survey results indicated that the efficiency and equity of the projects would be increased by promoting the cooperation projects for tree planting throughout Mongolia with reinforcing infrastructures. By comparison between Korean NGOs and Mongolian Government plantation projects, confirmed the importance of sustained financial support and maintenance activities in the plantation sit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