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lanting site

검색결과 252건 처리시간 0.024초

명승 제60호 봉화 청암정과 석천계곡의 식재 원형 및 식생 관리 방안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Original Planting Form and Management of Vegetation of the Scenic site Nr. 60 Chungam Pavilion and Seokchun Valley in Bonghwa)

  • 이선
    • 한국전통조경학회지
    • /
    • 제32권4호
    • /
    • pp.73-84
    • /
    • 2014
  • 본 연구는 봉화 청암정과 석천계곡 주변을 대상으로 사료 분석과 현지 조사를 실시하고 그 결과를 토대로 과거의 식재 원형과 식생 관리방안은 도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석천지(石泉誌)"에 의하면 청암정 주변에는 소나무, 잣나무, 느티나무, 단풍나무 등의 교목류와 모란, 작약, 철쭉, 장미, 국화, 연꼿 등의 화목류가 심겨져 있었으며, 석천정사 주변에는 회양목, 대나무, 단풍나무, 복숭아나무, 다래, 작약이 식재되어 있었다. 이를 통해 청암정과 석천정사 주변은 사시가경(四時佳景)을 즐기는 완상의 목적 뿐 아니라 다양한 상징성과 의미를 가지는 식재 경관을 연출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 이들 사료에 나타난 당시의 식재 현황은 차후 청암정과 석천정사와 주변 계곡의 식생 정비와 관리시 매우 유용한 준거(準據)가 될 뿐만 아니라 더 나아가서 조선 후기의 식재 양상을 파악해 볼 수 있는 중요한 가치가 있다. 둘째, 청암정과 석천정사 주변은 "석천지"에 묘사된 대로 식재 경관을 유지해야 할 것이며, 석천계곡의 소나무 군락은 점차 축소되고 있는 실정이므로 소나무군락을 유지시키기 위해서는 외래수종과 낙엽활엽수를 제거하는 등 지속적인 관리방안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기능변화를 반영한 서울어린이대공원 조성녹지의 식재 리뉴얼 방향성 연구 (A Study on the Direction of Planting Renewal in the Green Area of Seoul Children's Grand Park Reflecting Functional Changes)

  • 박정아;한봉호;박석철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51권3호
    • /
    • pp.21-36
    • /
    • 2023
  • 기후변화 대응, 탄소중립 전략, 도시열섬, 미세먼지, 생물다양성 증진 등 환경이슈에 대한 해결책으로 도시녹지와 수목의 가치가 중요해지고 있으며 다양한 연구들이 도시환경개선을 위한 수목의 효과를 다루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도시환경개선 측면에서 식재수종, 식재구조, 식재밀도, 식재기반의 선행연구를 종합적으로 고찰하여 도시공원 조성녹지의 식재 리뉴얼 방향성을 제안하고 이를 리뉴얼 계획에 적용해 조경수목을 통한 도시환경개선 효과를 제고하는 데 목적이 있다. 서울시 내 대규모 근린공원인 서울어린이대공원의 식재현황을 현장조사하고 조사자료를 근거로 식재기능평가를 했으며 식재기능개선 필요지역을 중첩 도출하였다. 식재기능평가는 공원기능 설정, 공간기능에 따른 식재개념, 식재현황 단계별로 수행하였고, 연구의 결과인 기능변화에 따른 식재 리뉴얼 방향은 식재기능평가 단계별로 도출하였다. 공원기능 설정은 녹지율을 높이는 것이 우선이나 이용자 편의도 고려해야 하며, 식재개념으로 시각적 경관식재는 교목층은 수형이 아름답고 탄소흡수와 미세먼지 저감효과가 높은 수종을 식재, 생태적 경관식재는 경사구배 위 다층구조 식재지 조성, 완충식재는 다층구조숲으로 조성하여 탄소흡수와 미세먼지 저감 효과 향상, 녹음식재는 활엽수 교목층과 초본층으로 구성하고 초본류의 자연형 식재를 지향해야 한다. 식재수종은 도시환경개선 효과가 높은 수종, 지역 자생종, 야생조류 선호 수종을 식재하고, 식재구조는 경관식재지와 녹음식재지는 교목층과 관목층, 교목층과 초본층으로 구성하고 생태성이 강조되거나 완충기능이 필요한 식재지는 다층구조로 조성한다. 식재밀도는 식재간격 기준으로 더 높은 기준을 적용하며, 식재기반은 빗물재활용과 토양객토 및 통기시설을 사용한다. 본 연구의 결과는 향후 노후 도시공원의 식재리뉴얼 계획 시 식재기능평가를 수행하여 식재기능개선 필요지역을 도출하는 데 적용할 수 있으며, 조성녹지의 기능변화 패러다임을 다각도로 반영한 식재 리뉴얼 방향성을 제시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아파트 단지 인공지반의 계획적 평가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Landscape Planning Evaluation on Apartment Artificial Ground)

  • 김유일;오정학;김인혜;윤홍범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26권3호
    • /
    • pp.297-311
    • /
    • 1998
  • Landscaping on artificial ground is currently served as a means to imposing a greenery benefit on high-density and high-rise apartment sites. It functions as a sub-hierarchy in apartment planning such as ornamental element from the past. Major parking space tends to be allocated on the basement area in response to the required parking regulation. Therefore, competitive relatioinship between the parking and greenery space I limited outdoor of apartments leads to the development planning strategy and technology of artificial ground. This study aims at evaluating landscape planning on artificial ground of apartment complex through several approaches such as site survey, plan drawing analysis, and interview with related field experts. 15 survey apartment sites including Bundang Model, Shindaebang-dong, Pyoungchon Hyundai Apartments have been selected for conducting the research. Main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below : First, scattering allocation of artificial ground between apartment building units is a dominant plan layout type among the survey sites. Even though unifying allocation type has an advantage to maximize underground parking space, it has a difficulty in maintaining proper soil ground base for nurturing plants. Therefore, underground parking space should be planned by unifying allocation type placed separately from apartment units. This plan type can provide a balanced planting between soil and artificial ground on surface level. Second, It is strongly recommended to integrate the whole planting base which involves architectural structure, drainage, and water proofing above the planting design. When considering that process as a professional subject dealing with natural material such as trees and shrubs, those tasks should be directed by landscape architectural divison and landscape architect. And planting area for artificial ground has to be specified in initial phase of architectural design. This step provides an opportunity to make a proper decision on structural load, drainage, and water proof design as an integrated part of the management.

  • PDF

조경식재공사 설계변경 유형 및 변경 적합성에 대한 인식 분석 - A공사 아파트단지 식재공사를 중심으로 - (An Analysis of the Types of Planting Design Change Orders and on Its Feasibility Cognition in the Landscape Planting Construction - Focused on the Planting Construction of Apartment Complex Practiced by 'A' Housing Corporation -)

  • 박재영;조세환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42권1호
    • /
    • pp.18-26
    • /
    • 2014
  • 본 연구는 'A'공사에서 발주된 아파트 단지 조경식재공사에서 발생하는 설계변경의 유형과 설계변경의 적합성 인식을 분석함으로써 향후 조경식재공사의 설계변경을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기초 자료 제시를 목적으로 수행하였는바 다음과 같은 결론이 도출되었다. 첫째, 2기 신도시 건설 이후 'A'공사에서 발주하여 시행된 수도권 현장 자료를 중심으로 조사 분석을 실시하여 '이미지 개선을 위한 설계변경', '설계내역의 불일치로 인한 설계변경', '현장조사 미비로 인한 설계변경', '이용자 미 고려로 인한 설계변경', '시공성의 고려로 인한 설계변경', '유지관리의 용이함을 위한 설계변경', '타 공종과의 관계로 인한 설계변경' 등 총 7가지의 조경식재공사 설계변경 유형을 구분할 수 있었다. 둘째, 17개 주거단지에서 총 553건의 조경공사 설계변경이 있었고, 그 중 조경식재공사 설계변경은 37.6%에 해당하는 208건이 나타났다. 또한, 식재 설계변경으로 인하여 생기는 공사비의 유동성으로 인해 당초 계획된 공사비의 변경으로 부정적인 영향을 낳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셋째, 조경식재공사 설계변경은 '이미지 개선에 의한 설계변경'과 '설계내역 불일치에 의한 설계변경'이 조경식재공사 설계변경에서 절대적인 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조경분야 전문가를 대상으로 타당성 검증을 실시한 결과, 본 연구에서 도출한 7가지의 조경식재공사 설계변경 유형의 통계값이 모두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수도권매립지 주변 식재지의 식재기반 평가 (Estimation of the Planting Environment of Planted Areas around Sudokwon Landfill Site)

  • 박헌;윤용한;김원태;이현종;박봉주
    • Journal of Forest and Environmental Science
    • /
    • 제24권1호
    • /
    • pp.35-39
    • /
    • 2008
  • 수도권매립지 주변 식재예정지와 식재지의 식재기반평가 토양항목 특성을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토양물리성 중 용적밀도가 1.11~1.59 $g{\cdot}cm^{-3}$범위로 우리나라 경기도 지역 산림토양의 B층 평균 1.05 $g{\cdot}cm^{-3}$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것은 식재기반 조성 시 중장비 등의 사용으로 인한 답압 등에 의해 기인한 것으로 판단되며, 수목의 근계발달을 위해서는 개량방안이 강구되어야 할 것이다. 토양화학성 중 유기물 함량은 조경수목의 식재를 위한 적정범위인 30 $g{\cdot}kg^{-1}$의 약 1/5~1/10정도 매우 낮게 조사되었다. 또한 양이온치환용량의 경우에도 1~3 $cmol{\cdot}kg^{-1}$범위로 조경수목의 식재를 위한 최소한의 함량인 6 $cmol{\cdot}kg^{-1}$에 비해 매우 낮은 수준으로 나타나 이에 대한 개량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 PDF

Evaluation of Field Application of Soil Conditioner and Planting Chrysanthemum zawadskii on the Roadside Soils Damaged by Deicing Agents

  • Yang, Ji;Lee, Jae-Man;Yoon, Yong-Han;Ju, Jin-Hee
    • 인간식물환경학회지
    • /
    • 제23권6호
    • /
    • pp.625-636
    • /
    • 2020
  • Background and objects: Soil contamination caused by CaCl2 that is used to deice slippery roads in winter is now recognized as one of the major causes of damage of roadside plants. The aim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salt mitigation effects of planting Chrysanthemum zawadskii and using a soil conditioner. Methods: The study was conducted at the site where Pinus densiflora f. multicaulis was planted on the roadside between Konkuk University Sageori and Danwol Samgeori located in Chungju-si. We classified the soils collected from the field experimental site according to the degree of the damage caused by deicing agents and divided the site into six blocks of three 80 × 80 cm plots replicated by treatment type. Three selected plots were treated with loess-balls on the soil surface (high salinity with loess-balls, medium salinity with loess-balls, low salinity with loess-balls) and three were left as an untreated control (H = high salinity, M = medium salinity, L = low salinity). The soil properties were measured including pH, EC and exchangeable cations as well as the growth of Chrysanthemum zawadskiia. Results: In the results of soil analysis, pH before planting Chrysanthemum zawadskiia was 6.39-6.74 and in September, five months after planting, the acidity was reduced to 5.43-5.89. Electrical conductivity (EC) was measured to be H > M > L with the higher degree of damage by deicing agents. The analysis of deicing exchangeable cations showed that the content of Ca2+ of soils were significantly correlated to deicing exchangeable cations (Ca2+, Na+, Mg2+) in the shoot part of Chrysanthemum zawadskii. The loess-ball treatment showed a lower content of deicing exchangeable cations than the treatment where Chrysanthemum zawadskiia was planted. Conclusion: In this study, the use of a new system made of loess-balls is proposed as a soil conditioner to protect soils from the adverse effects of road deicing salts. These data suggest that treatment of soil conditioners and planting Chrysanthemum zawadskiia are effective in mitigation of salt stress on the soils damaged by deicing agents.

Landscape Planning for Shiwha Migratory Birds Habitat

  • Joo Shin-Ha;Ahn Se-Hyon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International Edition
    • /
    • 제2호
    • /
    • pp.130-139
    • /
    • 2004
  • Shiwha Lake is an excellent example of a body of water restored from a state of heavy pollution to a cleaner and more ecological state. This paper will explore techniques and methods available to landscape planning for the creation of new migratory birds habitats in Shiwha Lake. Because Shiwha lake is located adjacent to a new industrial site on reclaimed land, any planning effort aimed at restoring bird habitats must carefully consider the existing context. This plan had 3 goals; (1) to restore the coastal environment, (2) to create a habitat for migratory birds, and (3) to administer environmental education programs. To achieve these goals, several objectives were determined and planning criteria were proposed for topology, water environment(fresh, brackish and salt water swamps), zoning(for experts and general visitors), circulations, planting and mounding. The flora and fauna of the site was surveyed, and 5 alternatives were suggested and compared in several aspects. Planting species were carefully selected considering target birds and habitat requirements. In order to increase bio-diversity of the site, the plan proposed multi-staired mounds and extensive drainage systems. Bird watching facilities with natural materials, and the remote observing system using CCTV and the internet were some of the ecological techniques recommended by the plan. The bird watching trails are divided into two different zones for experts and general visitors.

  • PDF

Development of Standard Estimates for Garden Construction: Focused on Planting

  • Hong, Kwang-Pyo;Lee, Hyukjae
    • 인간식물환경학회지
    • /
    • 제22권5호
    • /
    • pp.467-480
    • /
    • 2019
  • Standard estimates are the numerical data of a unit quantity required for construction work such as the amount of materials, manpower, and the use of equipment required and are also a basis to calculate construction costs. Unfortunately, standard estimates for construction have also been used for garden construction these days as no standard estimates for garden construction have been developed or documented until now. As a result, many problems have arisen at garden construction sites since landscape construction and garden construction differ in terms of scope, size, design and construction method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standard estimates for garden construction for proper calculation of the cost of garden construction and to ensure gardens are created following appropriate construction processes. In order to develop standard estimates for garden construction, a preliminary survey was conducted on experts to understand current issues at first. After that, a questionnaire survey was done to examine problems of construction processes and ways of improvement, and on-site inspections were conducted utilizing CCTVs at construction sites to identify the actual amount of manpower required on site.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urveys and on-site inspections, a draft version of standard estimates for 5 types of planting work for garden construction was developed. Developing standard estimates for garden construction will serve as a stepping stone for the transparent and proper compensation for garden construction work, which will not only contribute to addressing issues between consumers and construction companies, but also to the stabilization of market economy and job creation.

돌나물의 가을 노지삽목에서 삽수부위 및 삽식방법에 따른 생육특성 (Growth Characteristics as Influenced by Cutting Site and Planting Method in Autumn Field Cutting of Sedum sarmentosum)

  • 안정호;권지웅;배종향;이승엽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17권1호
    • /
    • pp.60-65
    • /
    • 2008
  • 돌나물의 노지 가을삽식을 위하여, 줄기의 삽수 부위(상부, 중부, 하부) 및 삽식 방법(점파, 조파 산파)에 따른 월동전후 생육특성을 조사하였다. 삽수부위에 따른 삽목후 40일째의 월동전 생육은 상부 삽수에서 초장, 근장, 줄기수, 지경수, 지상부 생체중 및 건물중 등에서 유의하게 높았으며, 월동후 개화전(May 10th) 생육은 개체당 줄기수, $m^2$당 지상부 생체중 및 건물중에서 하부 삽수보다 유의한 증가를 보였다. 삽식 방법에 따른 삽목후 40일째의 월동전 생육은 점파($10{\times}10cm$)가 조파나 산파보다 양호하였고, $m^2$당 지상부 생체중 및 건물중도 점파>산파>조파 순으로 높았다. 월동후 생육(May 10th)은 개체당 줄기수, $m^2$당 생체중 및 건물중에서 점파가 조파보다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돌나물의 가을 노지 삽식은 줄기 상부의 삽수를 이용하는 것이 월동 전후 생육 및 수량성에 유리하였으며, 삽식방법은 점파에서의 수량성이 가장 양호하였으나, 생력화를 위해서는 월동후 생체중에서 점파와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은 혼파방법이 바람직할 것으로 기대되었다.

초고층 건축물 외부공간의 토지 피복 상태와 온도와의 관계 연구 (The Related Research with the Land Cover State and Temperature in the Outer Space of the Super-High-Rise Building)

  • 한봉호;김홍순;정태준;홍석환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24권6호
    • /
    • pp.751-762
    • /
    • 2010
  • 본 연구는 초고층 건축물 외부공간의 식물 피복 상태가 온도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자 서울시에 위치한 초고층 건축물 12개소를 대상으로 연구를 수행하였다. 초고층 건축물 외부공간의 토지 피복 유형별 온도 차이 분석을 위해 6개 유형(외곽도로, 포장지, 관목/초지, 단층교목식재지, 다층식재지, 수경시설)으로 건축물외부공간의 피복유형을 구분하였으며 토지이용유형별 대표지점에서 온도를 실측하였다. 건축물 12개소의 주변 환경차이를 고려하기 위해 외곽도로의 중앙부에 대조구를 선정하여 온도를 측정한 후 일원배치 분산분석을 토대로 유사한 온도경향을 보이는 대상지를 4개 그룹으로 분류하였다. 분류된 그룹의 토지 피복 유형과 외부 공간 온도와의 일원배치 분산분석결과, 주로 단층교목식재지, 수경시설, 다층식재지는 저온역에 속하였으며, 관목/초지, 포장지, 외곽도로는 고온역에 속하였다. 저온역과 고온역의 온도차이는 약 $1.06{\sim}6.17^{\circ}C$의 차이를 보였다. 그러나 조성된 식재지와 수경시설 면적의 협소, 건축물로 인한 일사도달량의 저감과 반사량의 증가 등으로 초고층 건축물 외부공간 온도에 미치는 영향이 다양하게 나타났다. 이에 각 공간에 필요한 녹지량과 수공간의 면적을 조성 전 미리 산출하여, 효과를 발휘할 수 있는 최소한의 면적과 녹지량을 확보할 필요성이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