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lanting site

검색결과 252건 처리시간 0.02초

리기테다소나무의 조림적지(造林適地)에 관(關)한 연구(研究) (The Suitable Site for Planting Pinus rigida × P. taeda)

  • 이천용;이원규;박승걸;김갑성;오민영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76권3호
    • /
    • pp.200-205
    • /
    • 1987
  • 리기테다소나무의 조림적지(造林適地)를 구명(究明)하기 위하여 우리나라 중부지방(中部地方)의 조림지(造林地)에서 91개(個) plot 를 대상으로 환경(環境), 토양(土壤) 및 기상인자(氣象因子)를 조사(調査)한 후(後) 지위등급(地位等級)을 외적기준(外的基準)으로 리기테다소나무의 생장(生長)에 관련하는 인자(因子)들을 다중회귀방법(多重回歸方法)으로 분석(分析)한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1) 생장(生長)에 영향하는 인자(因子)의 중요도(重要度)는 평균최저기온(平均最低氣溫), 표고(標高), 토양습도(土壤濕度), 지형(地形), 경사(傾斜), 토심(土深), 풍충도(風衝度), 견밀도(堅密度), 유기물함량(有機物含量)의 순(順)이었고 (2) 가장 영향을 크게 미치는 인자(因子)는 온도(溫度)($x_1$), 표고(標高)($x_2$), 토양습도(土壤濕度)($x_3$), 지형(地形)($x_4$)으로서 $Y=2.6369+0.1982x_1-0.0021x_2+0.1935x_3+0.1201x_4$라는 다중회귀식(多重回歸式)을 얻었다. (3) 이 식(式)에 의하면 리기테다소나무의 조림적지(造林適地)는 1월(月) 평균최저기온(平均最低氣溫)이 $-8^{\circ}C$ 이상(以上)으로, 표고(標高) 200m이하(以下), 토양습도(土壤濕度)는 적윤상태(適潤狀態)로, 산록(山麓), 계곡(溪谷) 또는 평탄지(平坦地)로서 한건풍충지(寒乾風衝地)가 아닌 곳이다.

  • PDF

이식된 잘피의 생산성 및 형태적 특성 변화 (Changes in Productivity and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of Zostera marina Transplants)

  • 박정임;;김정배;이근섭
    • 한국해양학회지:바다
    • /
    • 제14권1호
    • /
    • pp.41-47
    • /
    • 2009
  • 최근 훼손된 잘피서식지의 복원이 다양한 이식방법을 통하여 시도되고 있다. 이식된 잘피는 이식시기와 이식방법에 따라 생존율과 착생기간 등이 차이를 보인다. Staple method는 잘피를 직접 식재하는 방법으로 잘피 이식에서 가장 일반적으로 이용되고 있는 방법이며, 다양한 퇴적물 환경에서 높은 생존율을 보이는 방법이다. 본 연구에서는 staple method로 이식된 잘피의 정착과정을 파악하기 위하여 초겨울에 잘피를 이식한 후, 이식된 잘피의 밀도, 형태적 특성, 생산성의 변화와 이식 장소의 환경요인을 2004년 12월부터 약 1년 동안 월별 조사하였다. 조사된 이식잘피의 생리생태학적 특성을 이식 장소 인근에 자생하고 있는 잘피 개체군과 비교하였다. 이식된 잘피는 초기 밀도 감소가 발생하지 않았으나, 잎의 폭, 엽초의 길이 등이 이식초기에 감소하여 이식개체들이 이식충격을 받은 것으로 보였다. 개체별 잎의 생산성도 이식 초기에는 자생개체들보다 현저히 낮은 값을 보이다가 약 4개월 후 이식개체와 자생개체의 생산성이 유사한 경향을 보였다. 이식된 잘피는 자생하는 잘피와 마찬가지로 봄에 급격히 성장하였으며, 자생개체보다 낮은 밀도로 이식되었으나, 약 1년 후에는 자생잘피 개체군의 밀도와 유사해졌다. 이식된 잘피들이 이식초기에 이식충격을 받았지만, 비교적 짧은 기간 내에 새로운 이식 장소에 잘 적응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인천 송도4공구 공동주택 외부공간 조성계획 (Landscape Design for the Song-Do Apartment Complex Development)

  • 김도경;안세헌;주신하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32권5호
    • /
    • pp.119-128
    • /
    • 2004
  • In 2004, the Incheon Urban Development Corporation held a design competition for the Song-Do apartment complex development. Several projects that won the prize in the recent design competitions were reviewed to look around the current design tendency, and current conditions of the site were surveyed. The authors tried to combine digital and environment-friendly factors, considering the site condition. Because the site is on reclaimed land and is located at the center of the information-technology industrial area, these two factors inform the main concept of this project. The site was divided into two different zones : the Ocean Zone and the Digital Zone. The 'community spaces'(community street, community plaza and so on) were designed for the various activities of the residents. The Patios, 'private' community spaces, included many facilities for play, appreciation, rest, exercise, refreshment and gathering. To avoid common landscape styles in the patios, simple and minimal forms were designed. The environmental sculptures were carefully planned, allocated and shaped with digital technology, based on the 'Present and Future of Song-Do'. The authors also tried to introduce environment-friendly factors, such as the green roof system, wall planting, and the water recycling system. This project is following the M.A. (Master Architect) process, and is still being modified to make the hi-tech and environment-friendly apartment complex.

서울시 강북구 솔밭근린공원 소나무림 답압 피해 개선사업 효과 연구 (The Improvement Effect of Pinus densiflora Forest Disturbed by Human Trampling in the Solbat Neighborhood Park, Gangbuk-gu, Seoul)

  • 권기영;한봉호;박석철;최진우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40권5호
    • /
    • pp.148-159
    • /
    • 2012
  • 본 연구의 목적은 서울시 솔밭근린공원 소나무림을 대상으로 울타리 설치, 관목 및 초본식물 식재 등의 답압 피해 개선사업의 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2005년과 2010년 현장조사를 통해 소나무 식재유형, 식재구조, 토양경도, 토양단면구조, 토양 이화학적 특성 등의 변화 상태를 분석하였다. 또한 소나무의 가지생장량과 직경생장량을 측정하여 개선사업전과 후 상태를 비교 분석하여 답압 피해지역 개선사업에 따른 효과를 고찰하였다. 식재유형 변화에서는 하층 식생이 없는 소나무림이 2005년 48.5%에서 2010년에는 6.8%로 감소하였으며, 관목 및 초본이 식재된 소나무림이 7.4%에서 46.8%로 크게 증가하였다. 식재구조 변화에서는 대부분 조사구가 하층식생이 거의 없는 소나무림에서 진달래, 철쭉꽃, 원추리, 돌단풍, 옥잠화 등 관목 및 초본식생이 넓게 피복된 소나무림으로 변화되었다. 2005년 솔밭근린공원의 토양경도는 평균 $54.8kg/cm^2$로 딱딱한 토양층이었다. 2010년 솔밭근린공원 개선사업 후 토양경도는 대부분 $4kg/cm^2$ 미만으로 식물생육에 영향이 없는 양호한 상태였다. 2005년에 토양단면구조는 답압 영향으로 인해 낙엽층이 소실되어 있었으며, 유기물층이 1.0cm로 식물이 생육하는데 적합하지 않았다. 개선사업 후 2010년에는 답압에 대한 피해가 줄어서 낙엽층이 3.0cm까지 새롭게 형성되었고, 지속적인 시비에 따라 유기물층의 깊이도 1.5~8.0cm로 증가하였다. 2005년 토양 이화학적 특성에서는 pH 5.76~6.70, 유기물 함량 7.15~10.55%, 유효인산 9.38~26.47mg/kg으로 소나무 생육 토양환경조건으로 큰 문제가 없었다. 또한 소나무 15주를 선정하여 가지생장량을 분석한 결과, 개선사업 이후 가지생장량이 점차 증가하는 경향이었다. 토양경도 등급에 따라 소나무 70주를 선정하여 직경생장량을 측정한 결과, 대부분 조사구에서 소나무가 개선사업 이후 생육이 양호해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결과를 통해 울타리 설치, 관목 및 초본식물 식재 등의 답압 피해 개선사업이 소나무 생장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검증할 수 있었다.

용적률 변화에 따른 공동주택 단지내 녹지구조 변화특성 (The Change of the Structure of Green Space by the Change of the Floor Area Ratio in Apartment Complex)

  • 김정호;이경재;김정호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18권1호
    • /
    • pp.42-52
    • /
    • 2004
  • 본 연구는 공동주택단지 용적률변화에 따른 녹지면적 및 녹지구조의 변화파악을 목적으로 수행하였다. 대상지는 용적률 100%이하, 용적률 250%이하, 용적률 250%이상의 세 유형으로 구분하여 각 유형별로 2개소씩 선정하였다. 1970~1980년에 조성한 용적률 99%인 화곡제2주공아파트와 용적률 73%인 개포주공아파트는 녹지면적 비율 40.23~44.23%, 녹지 폭 3~ 15m 녹지 량 1.06~1.71㎥/$m^2$, 교목층 식재밀도 0.04~0.06주/$m^2$ 관목층 식재밀도 0.06 ~0.20주/$m^2$이었다. 1990년대에 조성한 용적률 226%인 등촌주공아파트와 용적률 240%인 개화 아파트는 녹지면적비율 24 16~26.16%, 녹지폭3~7m, 녹지량 0.84~l.54㎥/$m^2$, 교목층 식재밀도 0.18~0.31주/$m^2$, 관목층 식재밀도0.15~0.35주/$m^2$이었다. 1990년대말에 조성한 용적률 269%인 한보구암아파트와 용적률 376%인 동아3차아파트는 녹지면적비율 23.47~25.53%, 녹지폭 2~6m, 녹지량1.06~2.12㎥/$m^2$, 교목층 식재밀도 0.25주/$m^2$, 관목층 식재밀도 0.22~0.37주/$m^2$이었다. 용적률변화에 따른 녹지구조 분석결과 녹지면적은 용적률이 높을수록 넓었으나, 녹지량과 식재밀도는 용적률의 변화와 상관없이 전체적으로 낮은 상태이었고 식재구조는 외래종위주의 단층구조이었다.

고속도로 비탈면의 기반 조건별 녹화효과 분석 (Effect Analysis of the Revegetation in Accordance with the Conditions of the Lower Base on Slope of Expressway)

  • 박재현;전기성;김경훈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17권5호
    • /
    • pp.79-89
    • /
    • 2014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provide basic information to improve the surrounding ecosystems with benefit analysis and monitoring in cut slopes following establishment of a test construction to improve ecological environment in slopes of an expressway. Field tests from October 2012 to May 2013 were conducted in Seosejong IC and Shinyang IC. In order to improve the view of slopes, soil condition is an important factor. The earth slope, it is possible to introduce directly the plant. Stable construction method was applied, another foundation for planting is necessary. The mixing ratio of the seeds according to the experimental results, the difference was found at an early stage plants in Site I (Seosejong IC). Trees were planted on terraced structures were well coordinated and pictures. The growth of planted trees was good in Site II (Shinyang IC). Due to the use of plants in the landscape will continue to change. Thus, long-term monitoring and landscape analysis will be needed.

인천 도시생태숲 조성 기본계획 (Master Plan for Incheon Urban Eco-forests)

  • 권전오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34권4호
    • /
    • pp.48-60
    • /
    • 2006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create a master plan for an urban eco-forest, including concepts of forest restoration, forest management, and nature education. The concept of an urban eco-forest is different from the original eco-forest, which pursues the conservation of native species in their habitats, using the resources of special plants, etc. The study site was a hill (128m) managed as an urban natural park. Citizens have usually used the park for fitness purposes, as a place for outdoor exercise early mornings on weekdays and holidays. The result of a questionnaire survey showed that the users knew about the eco-forest, and they wanted to participate in the nature education programs. The flora and actual vegetation were weak about conservation of native species on the site. The framework of the plan consisted of development of the ecological forest and forest restoration, and allowed for recreation and the experience of nature, according to the concepts of the urban eco-forest. The landscape was divided into the experience zone of biodiversity, the experience zone of a valley ecosystem, the forest restoration zone, and the recreation and experience zone in nature. Based on this framework, detailed programs and theme areas were planned, as were forest restoration models and planting plans.

수도권 지역내 암반황발산지의 안정녹화공법 개발에 관한 연구 (Development of Restoration Measures of the Rockily Eroded Mountains in Seoul Metropolitan Area)

  • 우보명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15권1호
    • /
    • pp.9-16
    • /
    • 1987
  • In Seoul metropolitan area, rockily denuded fores lands are widely distributed. Out of the rock-exposed hillslopes, Kwanak-Samsung mountains and Bookhan-Dobong mountains areas are the most severely eroded land at present To develope the rehabilitation measures for the rock-exposed hillslopes, it is essentially required that mechanisms of rock debris production and movement from the rock-exposed hillslopes should be studied. And also, suitable experiments for planting techniques should be practised at the field level. In this context, some experiments for the on-site fixation of the unstable stone-debris including plantation establishments on the rock-exposed hillslopes, have been carried out for 4 years from 1983 to 1986 at Kwanak mountain hillslopes. The results may be summarized as follows : 1) The soil environment-tolerable tree species for plantation extablishment on rock-exposed hillslopes include Buxus microphylla var. koreana, Forsythia koreana, Juniperus chinensis var. sargentii, Alnus hirsuta and Pinus rigida. These trees have, however, been showed fairly good growth performence at the places having more than about 30cm of soul layer depth above rock-bed. 2) In raising of seedlings to plant on the rock-exposed hillslopes, containerized seedling practices knave been appeared as the most adoptable measures. 3) In fixation of the unstable stole debris-and-sands on the on-site of rock. exposed hillslopes, the stone-lined barrier measures are more effective at comparatively large-sized places of rock-exposed hillslopes while the stone-bowed barrier measures are more effective at small-sifted isolated sold-debris places. The stone-buttressed terraces measures are more effective at the soil-composed hillslopes rather than rock-exposed hillslopes.

  • PDF

시스템 다이내믹스를 활용한 생태복원 설계 전략 - 2015 밀양시 자연마당 조성사업을 사례로 - (Design Strategies for Ecological Restoration Using System Dynamics - Focused on 2015 Miryang-si Jayeon Madang Development Project -)

  • 함은경;송기환;전진형;조동길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43권6호
    • /
    • pp.86-97
    • /
    • 2015
  • '자연마당 조성사업'은 도시 내 생태휴식공간이자 생활문화공간 창출을 위해 추진되는 환경부의 사업이다. 경상남도 밀양시 내일동 아북산 일대는 훼손된 상태로 오랜 기간 방치되면서 생태복원이 필요한 장소로 인식되어 올해 자연마당 조성사업의 대상지가 되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시스템 다이내믹스를 활용하여 아북산 일대의 생태복원을 위한 설계전략을 도출하는 것이다. 사업대상지의 핵심 복원 공간으로써 국궁장, 구덩이, 경작지 부지는 각각의 문제점을 안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문제점 해결을 위해 인과지도를 작성하여 현황을 파악하고 핵심 전략을 도출하였으며 전략을 토대로 설계안을 마련하였다. 첫째, 국궁장 부지의 경우 토양 산성화와 녹지축 단절의 문제 해결을 위한 전략으로 녹비식물과 후글컬쳐 방식을 도출하여 실제 설계안에 도입하였고, 둘째, 구덩이 부지의 경우 구덩이 하단부에 우수가 집수되어 습윤성 식생이 출현한 점에서 인공 습지 조성 가능성을 타진하고 생태 문화적 이점을 파악하여 인공 습지 조성의 설계안을 마련하였다. 셋째, 두 곳으로 분리되는 경작지 부지는 토양 산성화와 토양 침식, 녹지축 단절의 문제 해결을 위해 토양 개량 작업 후 한 곳은 자생종을 식재하여 산림을 복원하는 전략 도출을 통해 녹지축을 연결하는 설계안을 완성하였고 다른 한 곳은 초지로 복원하되 일부 공간에 건습지를 조성하는 설계안을 세웠다. 본 연구는 생태복원 설계 시 생태계 시스템의 피드백 루프 내에서 문제점을 파악하여 전략을 도출한 것으로써 일반적인 설계 과정에 없던 시스템 사고의 방식을 시도했다는 것에 의의가 있다.

"서울 1000년 타임캡슐광장" 설계안 (A Design Proposal for the Time Capsule Plaza of Seoul's 1000 Years)

  • 김신원;강현경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22권3호
    • /
    • pp.163-174
    • /
    • 1994
  • In November of 1994, The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celebrates its sixth centennial anniversary of becoming the capital city of Korea. In celebration of this anniversary, the Government decided to construct a plaza and sought design proposals in March of 1994. The authors collaborated on a design for the Time Capsule Plaza Competition and won fourth place among twenty-six entries. In the authors' design, the traditional oriental concept of time resonates within the site through the shape of a clock, a unique planting style, and an "Ancestral Tomb" which has a time capsule inside. The plaza is meant to be a symbol of the passage of time, the cycles of nature, and the repetitive actions of man. As for the spatial composition of the plaza, in accordance with the traditional Korean way of spatial arrangement, the plaza is divided into three parts: entry, primary, and secondary spaces. In reality, the plaza is created with the primary goal of providing modern outdoor space for people to rest and gather through the creation of pleasant environments and the introduction of traditional Korean garden element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