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lanting date

검색결과 297건 처리시간 0.024초

파종기와 예취관리가 돼지감자 생육 및 수량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Planting Data and Cutting Management on Jerusalem Artichoke ( Herianthus tuberosus L. ))

  • 임근발;이호진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4권2호
    • /
    • pp.147-151
    • /
    • 1983
  • 돼지감자를 알코홀 및 靑刈飼料生産用(청예사료생산용)으로 재배(栽培)하기 위하여 괴경파종시기(塊莖播種時期) 및 예취관리(刈取管理)가 돼지감자의 생육(生育) 및 수량(收量)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는데 그 결과(結果)를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았다. 1. 봄철 괴경(塊莖)의 재식시기(栽植時期)를 4월 7일에서 20일간격으로 6월 27일까지 파종(播種)하였을 때 5월말(末)까지는 괴경(塊莖)의 파종(播種)을 완료(完了)하여야 정상적인 생육(生育)을 나타낼 수 있었고 따라서 괴경수량(塊莖收量)과 지상부수량(地上部收量)이 감소되지 않았다. 그러나 이보다 늦을 경우 종묘용(種苗用) 괴경(塊莖)의 보관에 불리(不利)하였다. 2. 돼지감자 괴경(塊莖)의 파종(播種)은 최초(最初) 1년차(年次) 만으로 충분(充分)하여 괴경(塊莖)수확후 그 이듬해 잔존하는 소형괴경(小型塊莖)들이 발생(發生)하여 충분(充分)한 군락(群落)이 확보될 수 있었으나 과밀상태(過密狀態)가 되어 도복(倒伏)의 위험성이 컸으므로 솎음작업을 통하여 적정밀도(適定密度)를 유지시킬 필요(必要)가 있었다. 3. 지상부(地上部)를 청예용(靑刈用)으로 예취(刈取)하는 것은 괴경수량(塊莖收量)을 감소시켜 청예사료생산(靑刈飼料生産)과 괴경생산(塊莖生産) 겸용으로 관리(管理)하는 것은 적당치 못하였다. 4. 6월초순(初旬)에서 1회(回)내지 2회(回) 적심(摘芯)하여 주는 것이 도복방지(倒伏防止)를 위한 초장(草長)의 단간화(短幹化)에 유효하였으며 괴경수량(塊莖收量)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 PDF

재배지역 및 파종기가 풋콩종실의 발병정도 및 발아율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Locations and Planting dates on Disease Occurrence and Germination Rate of Seeds in Vegetable Soybean)

  • 김홍식;홍은희;김석동;류용환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41권2호
    • /
    • pp.178-187
    • /
    • 1996
  • 풋콩 조생품종들인 오꾸하라와세, 미카와시마, 화엄풋콩 및 석량풋콩의 4품종을 고냉지인 철원과 평창 및 평야지인 수원과 대구의 4개 지역에 1992년 5월15일과 6월15일 2회 파종하여 수확종실의 병해정도와 품종에 따라 6~7개월의 저온 저장후(5$\pm$1$^{\circ}C$) 발아율을 검토하였던 바,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종실의 병감염은 미이라병 나병률이 가장 높았고, 다음으로 갈반병이었으며 갈반병 나병이 가장 낮았다. 2. 종실의 미이라병, 갈반병 및 자반병 나병을 포함한 총 병해립율은 평창지역이 가장 낮았고, 6월15일 파종이 5월I5일 파종보다 낮은 경향을 보였다. 3. 종실의 미이라병 나병립율은 고냉지인 평창과 철원이 평야지인 수원과 대구보다 낮았고, 6월 15일 파종이 5월I5일 파종보다, 성숙기수확이 성숙후10일 수확보다 낮았다. 4. 종실의 저장후 발아율은 고냉지인 평창과 철원이 90% 이상으로 높아 평야지인 수원과 대구보다 높았으며 6월15일의 만파가 5월15일 파종보다 높았다. 5. 풋콩종실의 미이라병 나병이 낮고, 발아율이 높은 양질종자를 생산키 위해서는 국내 고냉지에서 6월15일의 만파가 유리하였다.

  • PDF

수도의 건물생산 및 배분의 수리적 연구 III. 재식밀도에 따른 부위별 건물배분 (Quantitative Analysis of Dry Matter Production and its Partition in Rice III. Partitioning of Dry Matter Affected by Planting Density)

  • 조동삼;정승근;허훈;육창수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35권4호
    • /
    • pp.328-333
    • /
    • 1990
  • 재식밀도가 수도의 부위별 건물의 배분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고자 통일계인 삼강벼와 일반계인 추청벼를 1988년 5월 30일과 6월 15일에 3.3$m^2$당 72주, 90주 및 120주로 이항재배하여 조사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공시품종 다같이 출수 20일전과 출수기의 단위면적당 총건물중은 5월 30일 이앙이 6월 15일 이앙보다 많았으며, 두 이앙기 모두 재식밀도가 높아질수록 건물중이 증가하였는데, 부위별 건물중의 변화도 총건물중과 같은 경향이었다. 2. 주당 총건물중 및 부위별 건물중도 5월 30일 이앙보다는 6월 15일 이앙에서 낮았으나, 단위면적당의 경우와는 달리 재식밀도가 높아질수록 감소하였다. 3. 동일한 이앙기와 재식밀도에서 엽신, 엽소 및 간의 건물중은 두 품종간에 차이가 적었으나, 삼강벼는 수중이 무거워서 총건물중이 추청벼보다 많았다. 4. 두 품종 모두 부위별 건물배분율은 이앙기나 재배밀도에 관계없이 생육시기별로 거의 일정하였다. 5. 이앙기와 재배밀도를 종합한 부위별 평균 건물배분율을 가지고 추정한 시기별 각 부위의 건물중은 실측한 건물중과 잘 일치하였다.

  • PDF

파종기 이동에 따른 참깨 품종들의 유용형질 변화 및 품종간 차이 (Effects of Planting Date on Agronomic Characteristics and Varietal Differences in Sesame Varieties)

  • 이정일;이승택;엄기철;박찬호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27권3호
    • /
    • pp.268-275
    • /
    • 1982
  • 참깨육종과 재배기술 개선연구를 위한 기초자료를 얻고저 조기파종, 보통기파종, 맥후작시기인 만기파종에서 참깨 국내외 주요품종 82품종을 공시, 참깨 유용형질들의 변이와 품종간 차를 조사하여 유용 유전자원을 분류 확보함과 동시에 참깨 작형과 지대에 적응한 유용형질들의 재조합을 위한 기본적인 정보를 얻고저 본 시험이 시도되었든 바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참깨 영양생장의 지표형질인 경태와 초장은 저온의 조기파종기에서 가장 컸으며 고온만파에서 가장 적어서 만파할수록 영양생장이 빈약하였다. 따라서 발아에 지장이 없다면 현재의 단작재배파종기보다 조파하는 것이 유리하다. 2. 파종기에 따른 주당삭수와 삭당입수의 변화에서는 조기파종(4월 20일파)에서 평균 88삭의 착삭과 삭당 평균 54입의 입수를 가진데 대해 만기파종(6월 15일파)에서는 불과 주당 25삭과 삭당 40입만이 확보되어 만파가 크게 뒤지고 있었다. 3. 등숙율과 1,000입중에 있어서는 저온장일인 4월 20일 파종의 조파가 평균 78%의 등숙율과 2.3gr의 1,000입중을 보이는데 대해 고온기인 6월 15일 파종에서는 58%의 등숙과 2.1gr의 1,000입중을 보여 만파할수록 등숙이 불량하였다. 4. $1m^2당$ 종실수량에서는 저온장일인 4월 20일 파종이 평균 112gr인데 대해 5월 15일 파종은 78gr이며 만파인 6월 15일 파종은 불과 18gr밖에 되지 않아 파종시기가 늦어질수록 수량은 급격히 떨어졌다. 5. 참깨 재배시기 이동에 따른 참깨품종들의 영양생장과 생식생장의 차이와 수량반응으로부터 조파적응형, 보통기적응형, 만파적응형, 중간형의 4군으로 구분할 수 있었다. 6. 일조시수와 적산온도 및 주요형질과의 상관에서는 일조시수와 온도가 대부분의 수량형질들과 높은 정의 상관이 있었다. 따라서 참깨수량은 일조와 온도에 밀접한 관계를 가지고 있음이 확인됐다. 7. 참깨 품종중에는 주당삭수 150개이상인 구례와 재래종 12003가 조사되었으며 삭당입수 75입이상인 해남, 우강품종, 등숙비율에서도 90%이상인 품종 수원 8호, 청송등이 있었다. 8. 참깨는 품종에 따라 만파적응력이 다르므로 맥후작재배용 품종육성은 반드시 맥후작 재배조건에 맞추어 별도의 육종계획으로 실시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 PDF

파종시기별 유효적산온도(GDD)가 옥수수의 생육 및 수량변화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Growing Degree Days on Growth and Yield of Maize Depending on the Sowing Date)

  • 김미정;정건호;김성국;이재은;전원태;심강보;김민태;우관식;권영업;허성기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62권3호
    • /
    • pp.214-223
    • /
    • 2017
  • 국내에서 육성된 옥수수의 파종기에 따른 생육 및 수량을 알아보기 위하여 광평옥, 강다옥, 양안옥, 신광옥, 장다옥, 청안옥, 청다옥, 안다옥, 다평옥, 평강옥, 평안옥, 다안옥, 수원 184, 강일옥, P3394 등 총 15종의 옥수수품종이 시험연구에 사용되었다. 파종기는 4월 5일, 6월 25일, 7월 5일 총 3회 파종하였다. 종합적인 생육을 보면 강다옥이 착수고율 조금 높지만 생육이 4월 또는 7월에 파종 시 가장 좋았다. 그 다음엔 광평옥으로 광평옥의 경우 전체적인 생육은 강다옥 보다는 조금 낮았지만 착수고율이 낮아 재배 시에 좀 더 유리하게 작용할 수 있겠다. 다안옥의 경우 생육은 4월에 파종하나 7월에 파종하나 모든 경우에 다 좋지 않았다. 그러나 식용으로 사용하기 위하여 재배적인 측면에서 곡실의 수량과 이삭의 형태 등만을 고려한다면 파종 시기에 관계없이 평강옥과 다평옥이 이삭무게와 종실무게가 많아서 좋은 품종으로 제시할 수 있다. 곡실용 옥수수의 생육에는 출사기까지 유효적산온도가 가장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하였으며 유효적산 온도가 $1500^{\circ}C{\sim}1800^{\circ}C$ 이상만 되면 정상적인 생육이 이루어지고 충분한 수량을 확보할 수 있었다. 식용 옥수수의 경우 당도와 질감 등 많은 고려 요소가 필수요소로 첨가 되어야 하므로 앞으로 이러한 연구가 더 진행되어 재배적인 측면과 식품으로서의 가치 평가가 함께 이루어 져야 정확한 품종 제시가 가능해 질 것이다.

해발고도별 반하 종구 무게가 생육 및 수량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Altitude and Tuber Weight on the Growth and Yield of Pinellia ternata (Thunb.) Breit)

  • 오한준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21권2호
    • /
    • pp.130-135
    • /
    • 2013
  • The plant growth and yield of Pinellia ternata (Thunb.) Breit. were studied by altitude and tuber weight. The emergence rates in low land area were not different by tuber weights, but it showed earlier emergence date in heavier weight of seed-tuber and low land area. The higher aerial growth such as plant height and number of leaves per plant was the heavier tuber weight in a planting year, but the growth was not different by the weight of tuber at second year after planting. The distribution pattern of tuber size per $m^2$ was not influenced by different seed-tuber weight. The number of harvested tuber was highest at more than 1 g of tuber weight, and followed 1~2 g and less than 2 g. The distribution pattern of fresh tuber yield was not influenced by different altitude and seed-tuber weight. The marketable tuber, 2 g or more, tends to be produced with more than 0.6 g seed-tuber. As the results above-mentioned, it was thought that the high yield was supposed to use seed-tuber over 0.6 g in the fertile soil.

오리엔트종 연초의 생육 및 화학특성에 미치는 이식시기의 영향 (Growth and Chemical Properties of Oriental Tobacco as affected by Transplanting Time)

  • 류명현;정형진;이운철
    • 한국연초학회지
    • /
    • 제10권2호
    • /
    • pp.109-116
    • /
    • 1988
  • Oriental tobacco (KA 101) was transplanted from Mar. 25 to May 5 with 10 days interval in 1984 and 1985, and its agronomic characteristics, chemical properties ware compared to determine the Proper transplanting time of aromatic tobacco In Korea. As the transplanting was delayed, days to flowering of plant was shortened, length and width of largest leaf, leaf area index tended to decrease. Yield was highest for the Apr. 5th transplanting followed by Mar. 25th planting, then decreased as the planting date was delayed. Quality by price decreased as the transplanting was delayed later than Apr. 25. Delaying transplanting increased nicotine, total nitrogen and ash content, but decreased reducing sugar and petroleum ether extract of cured leaves, The content of volatile organic acids such as 3-methyl pentanoic acid was lower when it was transplanted later than Apr. 25th. Neophytadiene content increased as the transplanting was delayed, but there were no trends with the content of alcohols, aldehydes esters and ketones. Several quality indices including the ratio between the content of volatile organic acids plus petroleum ether extract and ash content plus pH was higher for the Apr. 5th transplanting.

  • PDF

경운방법이 사일리지용 옥수수의 사초생산성 및 토양특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Tillage System on the Forage Production and Soil Characteristics of Silage Corn)

  • 김종덕;권찬호;구양회;신명수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28권4호
    • /
    • pp.307-314
    • /
    • 2008
  • 우리나라에서 옥수수의 경운방법에 관한 연구는 많이 수행되지 않았다. 따라서 본 시험에서는 옥수수의 경운방법을 달리 하였을 때 토양특성, 잡초 및 사초생산성을 비교하였다. 본 시험의 시험구 배치는 4개의 경운방법을 달리한 난괴법 배치로 T1 처리구는 관행적인 방법으로 경운과 로타리를 한 처리구이며, T2는 로타리, T3는 디스크, T4는 무경운으로 하였다. 옥수수 파종전과 수확 후 토양의 특성에서는 pH 및 토양유기물은 파종전보다 수확시에 감소하였으나 다른 것은 큰 차이가 없었다. 그리고 경운방법의 비교에서는 처리간에 큰 차이가 없었다. 옥수수의 출사소요일수는 무경운이 가장 많이 소요되었다. 내도복성은 옥수수의 대지름이 굵은 디스크와 무경운이 관행과 디스크보다 높았다. 옥수수의 주요 잡초는 피 (Echinochloa crusgall), 어저귀 (Abutilon avicennae)), 바랭이 (Digitatia saguinalis) 및 비름 (Amaranthus retroflexus) 등이었으며, 경운방법간 비교에서는 무경운이 다른 처리구보다 잡초수량이 적었다. 옥수수의 건물률 및 암이삭 비율은 관행과 로타리구가 디스크와 무경운보다 높았다. 그러나 건물 및 TDN 수량은 디스크와 무경운이 관행과 로타리구보다 많았다. 따라서 미세경운인 디스크와 무경운은 내도복성과 수량을 증가키시고 잡초수량을 감소시키는 경운방법으로 적합하였다.

율무재배(栽培)에 관(關)한 연구(硏究) (Cultural Studies on Pearl Barley)

  • 최창열;조재성
    • 농업과학연구
    • /
    • 제3권1호
    • /
    • pp.31-37
    • /
    • 1976
  • 율무재배(栽培)에 있어서 알맞는 재식거리(栽植距離)를 구명(究明)하고 시비량(施肥量) 특(特)히 질소질비료(窒素質肥料)의 적정시용량(適正施用量)과 주당재식본수(株當栽植本數)등을 밝히고자 재래종(在來種) 율무를 1975년(年) 5월(月) 15일(日)에 파종(播種)하여 본시험(本試驗)을 실시(實施)하였던바 다음과 같은 결과(結果)를 얻었다. 1. 재식거리(栽植距離)의 차이(差異)는 율무의 출수기(出穗期) 및 성숙기(成熟期)에 크게 영향(影響)을 미치지 않았다. 2. 재식거리(栽植距離)에 있어서 는 $90cm{\times}(30cm+30cm)$의 2조병목식구(條竝木植區)의 수량(收量)이 가장 많았으며 $40cm{\times}20cm$의 밀식구(密植區)에서의 수량(收量)은 가장 적었다. 3. 질소시용량(窒素施用量)에 있어서는 10a당(當) 시용량(施用量)이 20kg까지 증가(增加)됨에 따라서 간장(稈長) 및 간중(稈重)이 현저(顯著)하게 증가(增加)하였다. 4. 10a당(當) 20kg 질소시용구(窒素施用區)의 10a당(當) 수량(收量)은 613kg로서 가장 많았으나 10a당(當) 15kg 질소시용구(窒素施用區)의 수량(收量) 603kg와는 통계적(統計的)으로 유의차(有意差)가 인정(認定)되지 않았다. 5. 주당(株當) 재식본수(栽植本數)에 있어서는 1본식구(本植區)의 수량(收量)이 가장 많았으며 주당(株當) 3본식구(本植區)의 수량(收量)은 주당(株當) 1본식구(本植區)에 비(比)하여 28.4%의 감수(減收)를 초래(招來)하였다.

  • PDF

적엽처리가 재식밀도를 달리한 대두품종의 수량 및 수량구성요소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Defoliation on the Grain Yield of Two Soybean Cultivars Grown under Different Population Densities)

  • 이홍석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21권2호
    • /
    • pp.250-257
    • /
    • 1976
  • 재식밀도를 달리한 조건에서 적엽처리가 대두품종의 수량 및 수량구성요소에 미치는 영향을 알고저 6월1일과 6월20일에 $\textrm{m}^2$당 80본, 40본, 27본 및 20본이 되도록 재식밀도를 조절 파종하고 개화시기에 잔여엽수가 상부로부터 각각 1,2,3,5,7엽이 되도록 하위엽을 적엽처리하고 무적엽의 표준구를 포함하는 6처이로 하여 시험을 실시하였는데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표준구에서의 최적엽면적지수는 파종기에 따라 다르며 광교에 있어서는 개화시에 LAI가 4~5이고 개화후 30일에는 5~6이었으며 SRF-300에 있어서는 개화시에 2.5~6.0이고 개화 30일후에는 6~7이었다. 2. 종실수량은 재식밀도가 낮은 경우에는 적엽처리에 의하여 직선적으로 감소되었으나 재식밀도가 $\textrm{m}^2$당 40본이상으로 높은 경우에는 수량과 착엽수사이에 유의적인 곡선효과가 인정되어 하위부의 경미한 적엽처리를 하므로서 표준에 비하여 광교에서는 25~35%, SRF-300에서는 13~32%의 증수를 보였다. 3. 적엽처리시에 수량에 가장 크게 영향하는 수량구성요소는 전체적으로 볼때 식물체당 협수이며 다음으로 6월1일 파종구에서 재식밀도가 감소됨에 따라서 광교에서는 립중의 효과가 증대되었고 SRF-300에서는 수량에 영향하는 임실율의 비중이 현저히 증대되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