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ffect of Defoliation on the Grain Yield of Two Soybean Cultivars Grown under Different Population Densities

적엽처리가 재식밀도를 달리한 대두품종의 수량 및 수량구성요소에 미치는 영향

  • Hong-Suk Lee (Dept. of Agronomy, College of Agriculture, Seoul National University)
  • Published : 1976.12.01

Abstract

Defoliation effect of two soybean cultivars on the grain yield was studied under different planting densities planted at two different planting date. Leaf removal caused a linear decrease of grain yield with increased amounts of defoliation in the case of lower population densities, while in the case of higher population densities over 40 plants per sqare meter, the slight removal of lower leaves indicated increased grain yields by 13% to 35% compared with control depending on the cultivar and planting time. The pod number per plant was the most effective factor influencing grain yield. The grain weight and the percent of matured grain become more important components for higher yield with decreased population densities depending on cultivar.

재식밀도를 달리한 조건에서 적엽처리가 대두품종의 수량 및 수량구성요소에 미치는 영향을 알고저 6월1일과 6월20일에 $\textrm{m}^2$당 80본, 40본, 27본 및 20본이 되도록 재식밀도를 조절 파종하고 개화시기에 잔여엽수가 상부로부터 각각 1,2,3,5,7엽이 되도록 하위엽을 적엽처리하고 무적엽의 표준구를 포함하는 6처이로 하여 시험을 실시하였는데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표준구에서의 최적엽면적지수는 파종기에 따라 다르며 광교에 있어서는 개화시에 LAI가 4~5이고 개화후 30일에는 5~6이었으며 SRF-300에 있어서는 개화시에 2.5~6.0이고 개화 30일후에는 6~7이었다. 2. 종실수량은 재식밀도가 낮은 경우에는 적엽처리에 의하여 직선적으로 감소되었으나 재식밀도가 $\textrm{m}^2$당 40본이상으로 높은 경우에는 수량과 착엽수사이에 유의적인 곡선효과가 인정되어 하위부의 경미한 적엽처리를 하므로서 표준에 비하여 광교에서는 25~35%, SRF-300에서는 13~32%의 증수를 보였다. 3. 적엽처리시에 수량에 가장 크게 영향하는 수량구성요소는 전체적으로 볼때 식물체당 협수이며 다음으로 6월1일 파종구에서 재식밀도가 감소됨에 따라서 광교에서는 립중의 효과가 증대되었고 SRF-300에서는 수량에 영향하는 임실율의 비중이 현저히 증대되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