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lant anatomy

검색결과 138건 처리시간 0.028초

실내식물과 소나무의 오존에 대한 광합성 능력, 항산화 효소의 활성, 해부학적 반응 (The Effects of Ozone on Photosynthesis, Antioxidative Enzyme Activity and Leaf Anatomical Response in the Indoor Plants and Japanese Red Pine)

  • 이주영;제선미;이성한;우수영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02권4호
    • /
    • pp.601-607
    • /
    • 2013
  • 오존에 따른 피해 현상을 관찰해 보고 식물 수종에 따라 어떤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기 위해서 소나무(Pinus densiflora)와 실내식물 가운데 많이 활용되는 스파티필름(Spathiphyllum patinii), 스킨답서스(Epipremnum aureum)의 항산화 효소인 GR(Glutathione Reductase), APX(Ascorbate peroxidase)의 활성, 광합성속도와 잎의 해부학적 피해 현상을 관찰하였다. 오존농도는 30 ppb로 유지했고, 50일 동안 하루 8시간(09:00~17:00) 오존을 처리한 후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오존 농도가 30 ppb정도의 낮은 농도에서 소나무는 광합성속도, 수분이용효율, 항산화 효소의 활성, 잎의 해부학적인 특성에서 대조구와 크게 다르지 않은 것을 알 수 있었다. 반면에 실내식물인 스파티필름과 스킨답서스의 광합성속도, 항산화 효소의 활성(특히, GR의 활성), 잎의 해부학적 특성이 대조구와 오존 처리구간의 상당한 차이를 보여, 오존에 대한 민감성이 소나무에 비해 큰 것으로 나타났다.

Isolation and Identification of an Antioxidant Enzyme Catalase Stimulatory Compound from Garnoderma lucidum

  • Lee, Hyeon-Yong;Eum, Won-Sik;Kim, Dae-Won;Lee, Byung-Ryong;Yoon, Chang-Sik;Jang, Sang-Ho;Choi, Hee-Soon;Choi, Soo-Hyun;Baek, Nam-In;Kang, Jung-Hoon;Kang, Tae-Cheon;Won, Moo-Ho;Cho, Sung-Woo;Lee, Kil-Soo;Park, Jin-Seu;Choi, Soo-Young
    • BMB Reports
    • /
    • 제36권5호
    • /
    • pp.450-455
    • /
    • 2003
  • Antioxidant enzymes are scavenger reactive-oxygen intermediates and are involved in many cellular defense systems. We previously reported that a crude extract of Garnoderma lucidum, a medicinally potent mushroom, profoundly increased the catalase gene expression and enzyme activities in mouse livers (Park et al., J. Biochem. Mol. Biol. 34. 144-149, 2001). In this study, we elucidated the detailed mechanism whereby G. lucidum stimulates the catalase activity and expression. The major active fraction was isolated from G. lucidum and methyl linoleate was considered the most major component of the fraction. In order to determine whether methyl linoleate increases mRNA and protein synthesis of catalase, Northern and Western blot analyses were performed in vivo with methyl linoleate-treated mouse liver homogenate after feeding methyl linoleate to the mice. Northern and Western blot analyses of the crude liver homogenates in the mice that were administered methyl linoleate revealed that the expression catalase was significantly increased when compared to the untreated controls. In addition, the catalase protein levels and enzymatic activities increased in the mouse liver homogenates. These results suggest that methyl linoleate that is produced by G. lucidum stimulates the catalase expression at the transcription level.

한국산 미나리아재비과의 열매 및 종자 형태 (Fruit and seed morphology of Korean Ranunculaceae)

  • 정우철;허권
    • 식물분류학회지
    • /
    • 제47권2호
    • /
    • pp.137-153
    • /
    • 2017
  • 한국산 미나리아재비과 20속 36종에 대하여 열매 및 종자 형태를 조사하였다. 그 결과, 먼저 열매는 수과(achene)와 장과(berry) 및 골돌과(follicle)로 분류되었고, 수과를 갖는 분류군에서는 과피 표면에 모용(trichome)의 발달유무, 기공(stoma)의 존재여부, 그리고 과피 해부형태에서는 내과피가 한 층의 후벽세포로 뚜렷하게 발달하는 특징이 식별 유용형질로 판단되었다. 그리고 골돌과를 갖는 분류군은 종피의 구성(양주피 vs. 단주피), 종피 표면의 형태, 모용의 발달 유무, 종피 type 등이 분류형질로 유용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조사된 열매 및 종자 형질에 기초하여, 복수초속(Adonis)은 양주피성 배주를 가지므로 단주피성 배주 유집군인 미나리아재비아과(Ranunculoideae)에서 Helleboroideae아과로 분류되어야 할 것 같다. 또한 나도바람꽃속(Enemion)의 나도바람꽃은 단주피성 배주와 종피구조(non-sclereid exotesta) 형질에서 만주바람꽃이나 매발톱꽃, 개구리발톱과는 다른 너도바람꽃속(Eranthis)과 유사하여 Helleboroideae아과로 분류하는 것이 타당할 것으로 생각된다. 연구결과, 매화바람꽃속(Callianthemum)과 유일한 장과 속인 노루삼속(Actaea)의 분류학적 위치에 대하여 좀 더 정확한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벼 소얼성과 다얼성 품종에서 분얼별 이삭의 형태 해부학적 특성 (Morpho-anatomical Characteristics of Different Panicles in Low and High Tillering Rices)

  • 김제규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36권6호
    • /
    • pp.568-575
    • /
    • 1991
  • 본 실험은 벼의 소얼성과 다얼성 품종에서 분얼의 종류에 따른 이사목절간 (상위제1절간)의 유관속과 이삭의 특성을 조사하고, 이들 상호간의 관련성을 구명하고자 국제미작연구소(IRRI)에서 1988년에 수행하였다. 공시품종은 소얼ㆍ수중형인 IR25588과 다얼ㆍ수수형인 IR58이었으며 이들은 분얼능력과 이삭의 크기는 현저한 차이가 있으나 다른 특성은 비슷하였다. 1. 이삭목절간의 대ㆍ소유관속수는 IR25588(소얼성)이 IR58(다얼성)보다 많았고 또한 두 품종 모두 '상위6개의 이삭'은 다른 이삭보다 유관속수가 많았는데, 이는 소얼성품종이 다얼성 품종보다 동화산물의 전류에 유리한 특성으로 해석된다. 2. IR25588과 IR58간의 수당영화수를 보면, 1차 지경에 있는 영화수는 서로 비슷하였으나 (IR25588=55개, IR58=52개) 2차 지경에 있는 영화수는 IR25588(113개)이 IR58(70개)보다 61.4%나 많았다. 또한, 두 품종 모두 '상위6개의 이삭'은 다른 이삭에 비하여 수당영화수 유의적으로 많았다. 이러한 경향은 이삭의 지경수에서도 비슷하였다. 3. IR25588은 IR58에 비하여, 또 '상위6개의 이삭'은 다른 이삭에 비하여 절간의 굵기와 두께가 컸는데, 이는 소얼성품종이 다얼성품종보다 더 많은 유관속을 가지고 있음을 뒷받침하고 있다. 이러한 결과로 미루어, '소얼 ㆍ강간ㆍ수중형'의 벼 품종이 수량성을 현재보다 높일 수 있는 새로운 이상적인 초형으로 사료된다. 4. 이삭목절간의 유관속수는 1차ㆍ2차지경수, 수당 영화수, 이삭중과 매우 밀접한 정의 유의상관을 나타내었는데, 이는 절간이 금은 소얼성품종이 그에 비례하여 유관속수가 많으며 따라서 지경수와 영화수를 많게 하여 이삭중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해석된다. 5. 1차지경 1개당 영화수와 대유관속 1개당 영화수는 1R25588이 IR58보다 많았는데, 이는 소얼성품종의 sink strength가 다얼성품종의 그것보다 큰 것으로 사료된다. 6. 분얼종류에 따른 유관속수는 IR25588과 IR58모두 주간>1차분얼>2차분얼>3차분얼의 순으로 많았다.

  • PDF

톨페스큐 뿌리생장부위의 종적해부구조, 세포역학 및 생리적 반응에 대한 질소효과 (Longitudinal Root Anatomy, Cell Dynamics, and Physiological Cell Responses in Root Growth Zones of Two Tall Fescue Genotypes at Two Nitrogen Levels)

  • 송범헌;커티스 제이 넬슨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40권3호
    • /
    • pp.285-296
    • /
    • 1995
  • 본 시험은 톨페스큐의 잎과 뿌리신장 및 동화산물의 생장점부위의 종적인 해부학적 고찰을 통해 세포분열, 신장, 그리고 성숙속도등 세포역학 및 세포의 생리적 반응에 대한 질소의 효과를 연구하고자 수행하였다. 공시품종은 경당 수량성이 높은 HYT 품종과 경당 수량성이 낮은 LYT 품종이었으며, 이들은 엽신장 및 분얼성 등 생리적 특성이 다른 품종이다. 1. 근관, 표피세포, 피층세포, 도관세포로 크게 구분되는 뿌리생장부위는 약 3.2mm로 잎생장부위(약 25~30 mm)보다 훨씬 짧았으며, 근관부위는 약 0.4~0.5 mm였다. 2. 근관세포의 경우 분열시 크기는 약 5 $\mu{m}$, 최종크기는 약 40 $\mu{m}$였으며 피층세포와 도관세포의 분열시 크기는 각가 8.5 $\mu{m}$와 13.0 $\mu{m}$, 최종 크기는 각각 120$\mu{m}$와 650$\mu{m}$로 큰 차이가 있었다. 3. 뿌리생장부위의 피층세포와 도관세포의 분열 직후 또는 최종크기는 질소시용수준에 영향을 받지 않았으나, 세포신장속도는 질소시용수준에 영향을 받아 높은 질소수준(200ppm)에서 보다 낮은 질소수준(50ppm)에서 약 2배 정도 빨랐다. 4. 뿌리세포의 분열속도는 질소의 영향을 받아 피층세포의 경우 50ppm N 수준에서 시간당 약 4.5 세포, 200ppm N 수준에서는 시간당 약 2.3 세포였으며, 도관세포의 경우는 각각 시간당 0.9 세포와 0.6 세포였다. 5. 뿌리세포가 분열 후 최대로 신장하기까지는 시간은 피층세포의 경우 50ppm N에서 약 21 시간, 200ppm N에서 약 43시간이 소요되었으며, 도관세포의 경우는 각각 약 37 시간과 73 시간이 소요되었다. 6. 뿌리생장부위의 피층세포와 도관세포의 비율을 조사한 결과, 세포 분열부위에서는 1:1이었으나, 세포신장부위에서는 그 비율이 증가해 생장점으로부터 1.0 mm 위치에서 5:1로 증가해 계속 유지되었다. 7. 뿌리생장에 대한 질소의 효과를 분석해 볼 때, 질소는 뿌리세포의 크기보다는 세포분열과 세포신장속도에 크게 영향함을 알 수 있었다.

  • PDF

Allium Jesdianum Extract Improve AcetaminophenInduced Hepatic Failure through Inhibition of Oxidative/Nitrosative Stress

  • Sohrabinezhad, Zohreh;Dastan, Dara;Asl, Sara Soleimani;Nili-Ahmadabadi, Amir
    • 대한약침학회지
    • /
    • 제22권4호
    • /
    • pp.239-247
    • /
    • 2019
  • Objectives: Allium jesdianum (Aj) is a medicinal plant that has highlighted pharmacological features. In this study, the effects of Aj extract were examined on acetaminophen (APAP)-induced hepatic failure in rats. Methods: Methanolic fraction of hydro-alcoholic extract of Aj was obtained by silica gel column chromatography method. Animals were randomly divided into four groups each containing six rats and treated by gavage as follows: the first and second groups received normal saline, the third and fourth groups were received with 50 and 100 mg/kg of Aj extract, respectively. After two consecutive weeks, the groups 2-4 were given a single dose of APAP (2 g/kg). After 48 hours, blood and liver samples were collected for biochemical and histological examinations. Results: The findings of the study demonstrated that APAP caused a significant increase in ALT (P < 0.001), AST (P < 0.001), LDH (P < 0.001), ALP (P < 0.001) serum levels, hepatic lipid peroxidation (LPO; P < 0.001) and nitric oxide (NO; P < 0.001). In this regard, APAP led to the depletion of the total antioxidant capacity (TAC; P < 0.001), glutathione and total thiol groups (TTGs; P < 0.001), and structural change in the liver. In the Aj extract groups, a considerable improvement was found in the hepatic function alongside the histopathologic changes. Conclusion: This investigation indicated that the influential effects of Aj extract in APAP-induced hepatic failure might depend on its effect on improving oxidant/antioxidant balance in hepatic tissue.

채송화(Portulaca grandiflora Hook)의 계절에 따른 동종이형현상과 돌나무과형 유기산대사에 관한 연구 (Characteristics of CAM and Seasonal Dimorphism in the Succulent $C_4$ Dicot, Portulaca grandiflora Hook.)

  • Chang, Nam Kee;Chang Duck Jin
    • 환경위생공학
    • /
    • 제5권2호
    • /
    • pp.89-99
    • /
    • 1990
  • Morphology, anatomy and diurnal acid fluctuations were investigated monthly for the succulent C4 dicot Portulaca grandiflora Hook. growing under natural environmental conditions. Modified Kranz-Type sturcture and typical CAM-like cells were shown in leaves and stems, respectively. Values of indices of mesophyll succulence inleaves stems were 5.62 and 16.68, respectively. The number of stomata were 1476$\textrm{cm}^{-2}$ in leaves while the stomata in stems were not observed through growing seasons from spring to summer. However, on Sep. 16, 1981 in defoliate autumn season, stomata were begun to be produced for the first time in stems and the number were increased gradually to 216$\textrm{cm}^{-2}$ on Oct. 29. This feature can be interpreted as a seasonal plant dimorphism. P. grandiflora exhibited a diurnal fluctuation of titratable acidity in leaves and stems. Seasonal amplitudes of acid fluctuation in stems were as follows: 27 $\mu$eq./g.f.wt. on Sep. 21; 57$\mu$eq/g.f.wt. on Oct. 3; 80$\mu$eq./g.f.wt. on Oct. 21. Such the results in seasonal amplitude were able to consider due to decrease of light period and cool night air temperature according to change of season. Also, the naturally defoliated stems which had already stomata exhibited usual diurnal acid fluctuation, on the other hand the treated stems which possessed artificially closed stomata showed a few of acid fluctuation. Especially, stomata in stems are developed by seasonal dimorphism and activated stomata participate in CAM behavior of stems.

  • PDF

홍화(Carthamus tinctorius L.)씨 분말의 랫드 골절에 대한 치유 효과 (Effects of Safflower (Carthamus tinctorius L.) Seed Powder on Fracture Healing in Rats)

  • 박창현;엄창섭;배춘식
    • Applied Microscopy
    • /
    • 제31권4호
    • /
    • pp.307-314
    • /
    • 2001
  • 12주령 랫드의 비골의 골절을 유발한 후 골절치유에 미치는 홍화씨 분말의 영향을 알아보고자 실험을 실시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비골의 골절은 골절유발 후 5주에 성숙된 신생골 조직으로 충만되어 조직형태학적으로 완전한 유합이 이루어지는데, 홍화씨 분말을 투여한 결과 골절유발 후 4주에 성숙된 신생골 조직으로 골절단이 충만되어 완전한 유합을 이룬 후 5주에서는 골수강도 개통되는 등 대조군과 비교하여 유합시기를 기준으로 1.5주 정도의 빠른 골절의 치유가 이루어졌다. 이상의 결과는 홍화씨 분말에 골절의 치유를 촉진시키는 성분이 포함되어 있을 가능성을 시사한다고 사료된다.

  • PDF

절패모(浙貝母) 에탄올 추출물의 멜라닌 생성 억제 효과 (Inhibitory Effect of Fritillaria Verticillata Willd. var. Thunbergii Bak Ethanol Extract on Melanin Biosynthesis)

  • 하태광;이부균;윤정록;문연자;우원홍;박성하;이장천
    • 동의생리병리학회지
    • /
    • 제25권3호
    • /
    • pp.510-515
    • /
    • 2011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depigmenting properties of ethanol extract from a Fritillaria verticillata Willd. (EFV) in B16F10 cells. Fritillaria verticillata Willd., a perennial herbaceous plant, has been used as a stimulator of mammary gland, expectorant, blood pressure depressant, antitussive agents in Korean herbal medicine. In the present study, we observed that melanin synthesis of B16F10 cells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by EFV without cytotoxicity. However, EFV could not suppress tyrosinase activity in B16F10 cells and mushroom tyrosinase activity. Furthermore, EFV did not effect the protein expression of tyrosinase, tyrosinase-related protein -1 (TRP-1), and TRP-2. These results suggest that EFV inhibited melanin synthesis and the hypopigmentary effect of EVF was not due to regulation of tyrosinase protein.

기내 수분과 배양에 의한 화본과 사료작물 종속간 수정과 배의 발육 (Fertilization and Embryo Development in Pollination and Culture for Interspecific and Intergeneric Crossing of Forage Crops)

  • 이호진;한지연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32권4호
    • /
    • pp.455-461
    • /
    • 1987
  • Festuca속의 토올페스큐와 메도우페스큐, 그리고 Lolium속의 이탈리안라이그라스들 간에 종속간 잡종을 얻기 위하여 기내수분과 기내배양을 실시하였다. 이들 작물들의 자방과 화분을 채취하여 소독을 하고 주두수분, 주두제거 수분, 배주수분의 3가지 방법으로 기내수분을 실시하였다. 그리고 이들의 배발육상태를 MS, N6 , White's의 배지종류와 IAA Kinetln, BA의 생장조절물질의 처리로서 비교하였다. 1. 토올페스큐, 메도우페스큐, 이탈리안라이그라스의 상호 조합간 기내수분에서 44~92%의 수정율을 나타내었다. 이들의 주두수분은 평균 67.8% 주두제거 수분은 평균 89%의 수정율을 보였으나 배주수분은 평균 61 %로 낮았다. 2. 화본과 수정배주에서 배발육을 촉진하는데는 White's 배지가 가장 효율적이었고 식물생장조절물질의 처리는 IAA(10mg/$\ell$)와 Kinetin(0.2 mg/$\ell$)의 혼합처리가 무처리보다 효과적이었으나 발아율은 극히 저조하였다 3. 기내배양으로 성숙 배주의 배부조직에서 유관책의 형성과 시원체조직의 분화를 확인할 수 있었으며 배주 내부에 후막세포들의 형성이 관찰되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