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itch

검색결과 4,227건 처리시간 0.041초

한국인과 원어민 영어 발화의 F0 고저 범위 차이와 발음 평가에 있어서 그 역할 (Korean & Native Speakers' High -low Range Differences in F0 and its Role in Pronunciation Assessment)

  • 이석재;조철현;문선영
    • 음성과학
    • /
    • 제10권4호
    • /
    • pp.93-103
    • /
    • 2003
  • This study examines the high-low pitch range differences between Korean and native English speakers' utterances of 36 English sentences, and explores the role of the pitch fluctuation range in the pronunciation assessment. Findings are: i) Korean speakers implement half as much pitch fluctuation as the native speakers with the achievement rate of, on an average, 47%. Especially, pitch fluctuation range is below the average in the sentence types of exclamation, yes-no & wh-questions, ii) the reason why Korean speakers' pitch fluctuation range is only half the range of the native speakers is that Korean speakers do not raise the pitch at certain sentence positions so much as the native speakers, and iii) the range of pitch fluctuation plays an important role in distinguishing the utterances of the native speakers from those of Korean speakers, but does not in rating the English utterances among Korean speakers.

  • PDF

Bladed S/W를 이용한 2MW급 풍력터빈에 대한 피치 PI 제어기의 계단응답 고찰 (An Investigation on Step Responses of Pitch PI Controller for a 2MW Wind Turbine Using Bladed S/W)

  • 임채욱
    • 한국유체기계학회 논문집
    • /
    • 제18권1호
    • /
    • pp.59-64
    • /
    • 2015
  • The pitch control system in wind turbines becomes more and more important as the wind turbines are larger in multi-MW size. PI controller has been applied in most pitch controllers and it has been known that gain-scheduling is essential for pitch control of wind turbines. A demo model of 2 MW wind turbine which represents the whole dynamics of wind turbine including dynamic behaviors of blade, tower and rotational shaft is given in the commercial Bladed S/W for real wind turbines. In this paper, some results on step responses of the pitch PI controller and effectiveness of gain-scheduled pitch PI controller are presented through the Bladed S/W for the 2 MW wind turbine.

슈퍼 커패시터를 장착한 풍력발전용 피치 시스템 개발 (The Development of Blade Pitch System Using Super Capacitor Storage)

  • Choi, Hee-young;Ryu, Ji-su;Lee, Sang-ho
    • 전력전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전력전자학회 2012년도 전력전자학술대회 논문집
    • /
    • pp.311-312
    • /
    • 2012
  • Blade pitch control system monitors and adjusts angle of the blades and controls rotation speed of blades. This paper shows 2MW pitch system hardware and electric part. Blade pitch system consists of pitch drive, gear box, motor and energy storage. Fieldbus is base on CANopen protocol. Fail-Safe system moves the blades to a safety position in case of any fault condition. The super capacitor energy storage provides emergency back up to the Pitch servo driver during feathering the blades. This paper studied Blade pitch servo driver and a bi-directional DC-DC converter for fail-safe system.

  • PDF

리튬이온전지용 하이브리드형 탄소의 탄소부극 특성 (The nagative carbon electrode properties of hybrid carbon for lithium ion batteries)

  • 양동복;박용필
    • 한국전기전자재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전기전자재료학회 2004년도 하계학술대회 논문집 Vol.5 No.2
    • /
    • pp.1199-1202
    • /
    • 2004
  • 리튬이온전지 음극활질용으로 Hybrid of pitch based graphite impregnating natural graphite와 Hybrid of pitch based carbon impregnating natural graphite로 탄소전극을 제작하여 전기화학적인 특성을 연구하였다. Natural graphite에 pitch based graphite나 pitch based carbon의 혼합은 흑연의 이론용량인 372 mAh/g를 초과하는 고용량을 나타내었다. 이것은 극소공동에 리튬종의 삽입과 탈삽입에 의한 것으로 파악된다. 그러나 충 방전이 계속 진행되면서 방전용량이 급격히 저하되는 현상이 관찰되었다. X-선 회절분석 결과로부터 Hybrid of pitch based carbon impregnating natural graphite 탄소전극에는 amorphous carbon이 상대적으로 다량 존재한다는 것을 확인하였고, 이는 리튬의 삽입된 상태의 전위에 분포가 있어 충 방전시에 완만한 전압의 구배를 만들며, 비가역용량을 증가시키는 요인으로 파악되었다.

  • PDF

Noise Whitening-Based Pitch Detection for Speech Highly Corrupted by Colored Noise

  • Byun, Kyung-Jin;Jeong, Sang-Bae;Kim, Hoi-Rin;Hahn, Min-Soo
    • ETRI Journal
    • /
    • 제25권1호
    • /
    • pp.49-51
    • /
    • 2003
  • Pitch estimation is important in various speech research areas, but when the speech is noisy, accurate pitch estimation with conventional pitch detectors is almost impossible. To solve this problem, we propose a new pitch detection algorithm for noisy speech using a noise whitening technique on the background noise and obtain successful results.

  • PDF

Variable LPF에 의한 피치검출 (The Pitch Detection Using Variable LPF)

  • 백금란
    • 한국음향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음향학회 1993년도 학술논문발표회 논문집 제12권 1호
    • /
    • pp.88-92
    • /
    • 1993
  • In speech signal processing, it is necessary to detect exactly the pitch. The algorithms of pitch extraction which have been proposed until now are difficult to detect pitches over wide range speech signals. Thus we propose a new algorithm which uses the G-peak extraction to do it. It is the method that finds the most MZI(maximum zero-crossing interval) at each frame and convolve it with speech signal ; this is the same with passing speech signals to variable LPF. Finally we obtained the pitch, improve the accuracy of pitch detection and extract it with the high speed.

  • PDF

Properties of Precursor Pitch Derived from Petroleum Residue

  • 유해일;이규동;권영배
    • 한국기계연구소 소보
    • /
    • 통권15호
    • /
    • pp.37-46
    • /
    • 1985
  • Properties of Precursor pitch derived from petroleum residue were studied physical and chemical analysis method for investigation of production of pitch fiber. For preparing of those precursor pitches it was carried out a temperature and time variation experiment i reactor. It was demonstrated the precursor pitch prepared in this study to have a similar properties to Ashland precursor pitch capable of bulk mesophase formation from the results of the basic analysis, that is, molecular weight distribution, coking yield, carbon content, chemical composition, etc.

  • PDF

음성신호의 피치 검출에 관한 알고리즘의 성능 비교 (Performance Comparison of Several Pitch Detection Algorithm in Speech Signal)

  • 김대현;유광복;이광형
    • 한국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통신학회 1984년도 춘계학술발표회논문집
    • /
    • pp.5-8
    • /
    • 1984
  • Several pitch detection algorithms are studied and compared with the standard pitch detector in a terms of some kinds of errors and each of speaders. Various types of errors are defined, and rank the performance of pitch detectors.

  • PDF

세기변조방사선치료에서 Pitch와 Roll 변화에 따른 선량전달 정확성 평가 (Evaluation of dose delivery accuracy due to variation in pitch and roll)

  • 정창영;배선명;이동형;민순기;강태영;백금문
    • 대한방사선치료학회지
    • /
    • 제26권2호
    • /
    • pp.239-245
    • /
    • 2014
  • 목 적 : 세기변조방사선치료에서(Intensity modulated radiation therapy,IMRT) 6D robotic couch의 pitch 와 roll 변화에 따른 선량전달의 정확성을 평가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 Trilogy(Varian Medical Systems, USA)와 6D robotic couch(ProturaTM 1.4, CIVCO, USA)를 사용하여 골반부위의 세기변조방사선치료를 진행한 14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영상유도 시 발생한 pitch 와 roll 방향의 오차 값과 발생빈도를 분석하였다. 오차의 변화에 따른 선량전달 정확성의 차이를 평가하기 위해 pitch 와 roll의 변화가 $0^{\circ}$인 상태의 측정치를 기준으로 각각 $1.0^{\circ}$, $1.5^{\circ}$, $2.0^{\circ}$, $2.5^{\circ}$로 변화시킨 경우에 대하여 2차원 이온전리함 배열 검출기(I'mRT Matrixx, IBA Dosimetry,Germany)와 MultiCube Phantom(IBA Dosimetry, Germany)를 이용하여 측정 후 감마지수(3 mm, 3%)의 비교평가를 실시하였다. 실험에는 Dynamic Multi-Leaf Collimator의 sliding window기법을 사용한 3명의 자궁경부암 치료계획을 적용하였다. 결 과 : 대상 환자의 영상(3D/3D Match 78건, 2D/2D match 79건)을 분석한 결과 pitch 와 roll의 평균 오차값은 $0.9^{\circ}{\pm}0.7$, $0.5^{\circ}{\pm}0.6$, 최대 값은 $2.8^{\circ}$, $2.0^{\circ}$로 분석되었고, 최소값은 pitch 와 roll 모두 $0^{\circ}$으로 나타났다. 각각의 조건에서 측정된 선량전달에 대하여 감마지수를 이용하여 비교한 결과, pitch가 $1.0^{\circ}$, $1.5^{\circ}$, $2.0^{\circ}$, $2.5^{\circ}$일 때 gamma pass rate의 평균은 각각 97.75%, 96.65%, 94.38%, 90.91%, roll의 경우 $1.0^{\circ}$, $1.5^{\circ}$, $2.0^{\circ}$, $2.5^{\circ}$에서 평균 93.68%, 93.05%, 87.77%, 84.96%로 나타났고, pitch 와 roll을 동시에 변화시킨 경우 $1.0^{\circ}$, $1.5^{\circ}$, $2.0^{\circ}$에서 평균 94.90%, 92.37%, 87.88%의 결과 값을 얻었다. 결 론 : 대상 환자의 영상 유도 시 pitch 와 roll의 오차 발생률은 전체 치료 횟수에서 각각 82.20%, 72.20%로 분석되었고, 감마지수를 통해 오차 값이 커질수록 선량전달의 정확성이 낮아진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세기변조방사선치료 시 선량전달의 정확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정확한 자세잡이와 더블어 적절한 영상유도를 통해서 pitch 와 roll 방향으로 발생할 수 있는 오차를 줄이도록 노력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리기다소나무의 구조용 집성재 이용기술 개발 -낙엽송 층재와의 혼합 구성을 통한 집성재의 휨성능 향상- (Development of Pitch Pine Glued Laminated Timber for Structural Use -Improvement of Bending Capacity of Pitch Pine Glulam by Using Domestic Larch Laminars-)

  • 김광모;심국보;박주생;김운섭;임진아;여환명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35권6호
    • /
    • pp.13-22
    • /
    • 2007
  • 주요 조림수종으로 도입 식재된 리기다소나무의 고부가가치 이용을 위한 구조용 집성재 이용 가능성을 검토하고, 이에 적합한 기술을 개발하기 위하여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국산 리기다소나무 제재목의 기계응력등급은 대부분 E7에서 E9등급으로 집성재 제조에는 다소 불량한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단일수종 및 혼합수종 구조용 집성재 제조에 필수적인 리기다소나무 및 낙엽소 판재의 접착성을 평가한 결과 전단접착력, 목파율, 침지 및 삶음박리율 모두 KS기준 이상으로 나타났다. 리기다소나무 단일수종 집성재의 휨성능을 측정해본 결과 휨강도는 KS의 집성재 강도등급에 따른 휨성능 합격기준을 만족한 반면 휨 탄성계수는 기준에 다소 못 미치는 결과를 나타내었다. 그러나 낙엽송 층재와의 혼합구성을 통해 리기다소나무 집성재의 휨성능(휨강도와 휨탄성계수)을 20% 향상시킬 수 있었으며, 층재 구성방법에 있어서는 판재의 탄성계수가 높고 품질이 우수한 낙엽송 층재를 외층에 배치하는 방법이 보다 효과적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결론적으로 리기다소나무의 부가가치 증진을 위한 구조용 집성재 이용은 그 가능성이 매우 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