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ilot-ladder

검색결과 7건 처리시간 0.023초

도선사 승·하선 사고예방 방안에 관한 기초연구 (A Basic Study on the Accident Prevention Measures of Maritime Pilots during Embarkation and Disembarkation)

  • 이진우;김이완;이창희
    • 수산해양교육연구
    • /
    • 제29권1호
    • /
    • pp.137-147
    • /
    • 2017
  • An accident during pilotage may cause several problems such as crippling the harbour function, environmental disruption, loss of life. Since the pilot plays an important role in the safe operation of the port, securing their safety is directly connected to the vessel's safety coming into port in Korea. Pilotage service is offered on request without distinction of day and night. And traveling by helicopter and boarding/disembarking using a pilot ladder from and to a pilot boat have a high risk of falling into the sea. So, pilots can fall into the sea while boarding/disembarking from ship which can lead to serious injury by cardiac arrest. A number of pilots have died or severely injured due to fall from the pilot ladder during embarkation and disembarkation up to now. Current safety measures at embarkation and disembarkation required by pilotage act and IMO resolutions could not prevent all the pilot related accidents. Therefore, to prevent pilot accident during boarding/disembarking from ship, it is necessary to include safety training requirement for new pilots under the requirements for licensing of pilotage act. It is also necessary to compel pilots to take necessary personal protective equipment when they use a pilot ladder. In addition, the placement of emergency kit on pilot boats and first-aid training are required in order to deal with emergency situation promptly.

A Random Forest Algorithm-based Accident Prediction to Prevent Marine Pilot Occupational Accidents

  • Gokhan Camliyurt;Won Sik Kang;Daewon Kim;Sangwon Park;Youngsoo Park
    • 한국항해항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항해항만학회 2022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415-416
    • /
    • 2022
  • Marine pilot occupational accidents during transfer to/from the ship are at the top of the agenda after several safety campaigns by IMPA and individual attemptsThere is multiple transfer method for the marine pilot, but a most common way is to use the pilot cutter. This paper aims to predict marine pilot occupational accidents before it occurs by using historical data. Since the problem depends on several variables, this paper develops a model by using the random forest method to predict marine pilot accidents before happening with the random forest method by using RStudio software

  • PDF

조종사 탑승용 복합재 사다리 설계 (Analysis and Design of Composite Ladder for Pilot)

  • 김태환;김위대
    • Composites Research
    • /
    • 제32권2호
    • /
    • pp.108-112
    • /
    • 2019
  • 최근 복합재를 적용한 경량화에 관한 연구가 지속적으로 수행됨에 따라 탄소섬유 복합재료를 사용하여 강성대비 경량화를 목표로 하는 부품 연구가 증가하고 있다. 복합재료는 등방성 재료와는 달리 적층판의 방향과 적층 순서에 따라 물리적 특성이 변화한다. 그러므로 복합재료 사다리의 경우 계획한 설계를 검증하기 위해서 구조 해석을 수행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본 연구에서는 패브릭 소재를 적용하여 사다리를 설계하였다. 또한 유한요소해석을 통하여 하중 위치가 사다리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가장 문제가 되는 위치를 선정하여 구조적 성능을 분석하였다. 다양한 적층 순서를 적용하여 구조해석을 실시하고 각 층에서의 파손 값을 측정함으로써 적층 순서가 사다리의 구조 강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우리나라 항만 도선사 준사고에 관한 연구 (A Study on incident related to pilot at Korea)

  • 박상원;윤병재;박영수
    • 한국항해항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항해항만학회 2022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57-58
    • /
    • 2022
  • 도선사는 해상에서 도선사용 사다리나 갱웨이를 통해 선박에 승선하고 있어 예측할 수 없는 해상환경의 위험에 늘 노출되어 있다. 도선사는 항만으로 입항하거나 출항하는 선박의 안전을 확보하는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고 있으므로 도선사 부상은 선박 전체 안전에 큰 영향을 미친다. 본 연구의 목적은 도선사 관련 준사고를 분석하고 사고를 예측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도선사 상해사고 사례를 분석하고 설문조사를 통해 잠재상황을 식별하고자 한다. 그리고 도선사 상해 사고를 예측하였다. 결과는 도선사관련 사고에 예방 기초 자료로 활용할 수 있다.

  • PDF

Risk Assessment for Marine Pilot Occupational Accidents using Fault Tree and Event Tree Analysis

  • Camliyurt, Gokhan;Choi, Sea-Am;Kim, So-Ra;Guzel, Ahmet Turgut;Park, Young-Soo
    • 한국항해항만학회지
    • /
    • 제46권5호
    • /
    • pp.400-408
    • /
    • 2022
  • Maritime transportation is one of the most complicated and hazardous business fileds. Maritime accidents still occur despite several precautions since maritime is exposed to natural factors more than any other industries. In this harsh environment as a part of their job, marine pilots often embark/disembark to/ from vessels and confront life-endangering personal accidents. In the maritime field, several risk assessments are applied. However, all of them could not evaluate occupational accident risk for maritime pilot specifically. This paper performs specific risk analysis using the bow-tie method based on past accident records. This paper aims to qualify root causes and quantify root causes by importance level according to occurrence probability. As a result of analysis, occupational accident occurrence probability is found to be 14%, indicating that accident occurrence rate is significantly high. Hence, the probability of root causes triggering accidents and accident occurrence probability can be ascertained so that preventive measurements can be implemented. Besides theoretical achievement, this paper provides safety awareness to marine pilots, Marine Pilot Organizations, and ship crew who play a key role during marine pilots' transfer.

항만 도선사 상해사고와 준사고의 관계 (Relationship between Maritime Pilot Injury and Nearmiss)

  • 박상원;윤병재;김소라;박영수
    • 한국항해항만학회지
    • /
    • 제47권3호
    • /
    • pp.120-127
    • /
    • 2023
  • 도선사는 해상에서 도선사용 사다리나 승하선사다리를 통해 선박에 승선하고 있어 예측할 수 없는 해상환경의 위험에 늘 노출되어있다. 도선사는 항만으로 입항하거나 출항하는 선박의 안전을 확보하는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고 있으므로 도선사 부상은 선박 전체 안전에 큰 영향을 미친다. 본 연구의 목적은 도선사 관련 준사고를 분석하고 사고를 예측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도선사 상해사고 사례를 분석하고 설문조사를 통해 잠재상황을 식별하고자 했다. 그리고 도선사 상해사고 경향을 예측하였다. 설문조사의 분석은 IPA 분석법을 활용했으며, 상해사고 경향 예측을 하기 위해 이항분포 및 푸아송분포를 활용하였다. 연구결과 도선사 상해사고 1건당 316.8건의 준사고가 발생했으며, 사고관리 시스템의 현행 유지 시 3개월 내 도선사 상해사고가 발생할 확률은 64.4%로 나타났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도선사 상해사고 예방을 위한 관리 시스템의 필요성과 도선사 승선용 사다리에 대한 유지보수 및 설치 강화를 제언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