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iety

검색결과 163건 처리시간 0.025초

한국 대학생들의 세대 간 커뮤니케이션에 대한 인식 : 문화적 요인을 중심으로 (Korean University Students' Perception on Intergenerational Communication: Focusing on cultural factors)

  • 양정은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0권9호
    • /
    • pp.86-98
    • /
    • 2020
  • 이 연구의 목적은 한국인의 세대 간 커뮤니케이션에 영향을 미치는 문화적인 요인들을 살펴보는 것이다. 20대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일반문화변수인 효 규범, 그리고 한국적 고유문화변수인 유교주의(장유유서)와 체면의식이 세대 간 커뮤니케이션 태도와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였다. 위계적 회귀분석 결과 일반문화변수 중 공경심은 세대 간 커뮤니케이션에 긍정적인 영향을, 경외심은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고유문화변수 중 장유유서는 세대 간 커뮤니케이션에 긍정적 영향을, 체면은 부정적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한국적 특징을 보여주는 고유문화변수는 전체 모델의 설명력을 유의미하게 변화시켜, 한국인들의 세대 간 커뮤니케이션을 설명할 수 있는 유용한 변수임이 입증되었다. 한편 여학생들보다 남학생들이 상대적으로 세대 간 커뮤니케이션에 대한 만족도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간호학생과 학부모의 부모부양행동과 관련요인 (Supporting Behavior of Parents and Related Factors of Nursing Students and Their Parents)

  • 배영숙;이숙희;김정선;김미희;선광순
    • 한국간호교육학회지
    • /
    • 제14권1호
    • /
    • pp.46-54
    • /
    • 2008
  •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research the supporting behavior and various-correlations in nursing students and their parents. Method: The research design was a descriptive survey. Data was collected from 320 nursing students and parents from May to Aug. 2007. Result: The relationship among supporting behavior of parents, filial piety awareness, and awareness of parents' support was high. As the above variables were high for the parents, they were also high for nursing students. The awareness of parents' support parents' supporting behavior, and filial piety awareness of students explained the supporting behavior of 28.1% of nursing students. In addition, the awareness of parents' support was the most influential variable. Conclusion: It is essential to devise educational strategies for nursing students to experience supporting behavior and to become aware of parents' support.

공간행태적 측면에서 본 퇴계의 ‘경’사상과 도산서당 공간의 상관성에 관한 연군 (A Study on Interrelation between Toegye′s ‘Piety’ Notion and Space of the Dosan Saudang from an Behavioral point of view)

  • 안민선;권영걸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13권5호
    • /
    • pp.3-10
    • /
    • 2004
  • A built space reflects its society's philosophy, culture and technology of its time period. The study explores interrelation between Toey-Gae's 'Kyung' (Piety) philosophy and architectural designs of the 'Do-San' Sau-Dang (School). Toey-Gae is a leading scholar during Chosun Dynasty who built the Do-San School to teach and showcase Sung Confucianism. He is known for his teachings and practice of 'Kyung' philosophy in all aspects of his life including his work and designs. It is also known that he personally picked and purchased the land best suited to display spirit of 'kyung' philosophy while directing the base design and construction of the building. His attentions to details are evident in his choice of city, building site, and way he arrange his designs within the natural environment. Thus, we can safely presuppose the design of Do-San Sau-Dang was created following Toey-Gae's ideology in its buildings and environment. By examining Toey-Gae's philosophy of 'Kyung' through his writings, physical location and actual designs of Do-San Sau-Dang, we can understand how this ancient philosophical ideology and thoughts were translated to a physical form and its space. The study will also explore the importance of such ideology in the society at the time and how it influenced physical and mental activities of its people.

속담을 통해서 본 조선족의 부모-자녀 관계 가치관 (The Examination of Korean-Chinese Parent-Child Relationships through Korean Proverbs)

  • 조복희;이주연;이영환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47권8호
    • /
    • pp.37-52
    • /
    • 2009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Korean-Chinese parent-child relationship values through Korean proverbs on parent-child relationships. A total of 233 Korean-Chinese who reside in Yungil, China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 participants were recruited through Korean-Chinese preschools and elementary schools. They completed a questionnaire which asked to what extent they agreed or disagreed with Korean proverbs. The items were classified into four categories: filial piety (duty), child-care and education, childrearing practices, and traditional son preference (and daughter discrimination). The results showed that, although the participants highly agreed to the meaning of the proverbs, they seldom used Korean proverbs in their daily lives. The findings concluded that the participants generally manifested a traditional value of filial piety or duty. Also, the findings showed that more fathers acclaimed the value of traditional son preference (and daughter discrimination) than mothers. Finally, the degree of familiarity with Korean culture was found to be a major factor in explaining differences in levels of agreement or disagreement to the proverbs. Since Korean-Chinese ethnic minority groups in China tend to adhere to traditional Korean values, they might encounter more challenges assimilating into the mainstream Chinese culture.

다산(茶山) 『대학공의(大學公議)』에서 교육주체들의 관계 고찰 - 효(孝)·제(弟)·자(慈)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Relationship of Educational Subjects in Dasan's 『Dàxuégōngyì』 - piety(孝), admiration(弟), mercy(慈) -)

  • 조문숙
    • 한국교육논총
    • /
    • 제40권2호
    • /
    • pp.17-33
    • /
    • 2019
  • 본고는 다산(茶山) 정약용(丁若鏞:1762~1836)의 『대학공의(大學公議)』에서 나타나는 교육 주체들의 관계에 대하여 고찰하여 그가 『대학공의(大學公議)』에서 주장하고자 하였던 궁극적인 실천윤리를 밝히는 데에 목적이 있다. 다산의 『대학공의』는 그가 53세일 때 유배지인 강진의 다산초당에서 저술한 책으로써 특히 '공의(公議)'라는 명칭을 통하여 알 수 있듯이, 『대학공의』는 『대학』에 관한 다산의 공정하고도 공평한 견해라고 볼 수 있으며, 당시 보편화된 주자의 『대학장구(大學章句)』에 대한 비판의식이 전제된 것이기도 하다. 주자는 훈고(訓詁)에서 『대학(大學)』을 대인(大人)의 학문이라 풀이하여 어린이의 학문과 대소(大小)로 대조를 이루어 온 세상 사람들이 모두 배워야 하는 학문으로 그 중요함을 강조하였다. 그에 반해 다산은 『대학』을 가리켜 경문(經文)에서 말한 '태학의 도[太學之道]'는 태자를 가르치는 도이지, 분명 백성을 가르치는 도가 아니며, 이를 '태학의 도'라 말할 수는 있지만 '향학의 도[鄕學之道]'라고 말할 수 없다고 하여 『대학』을 나라의 태자를 교육시키기 위한 장소로써 해석한다. 또한 『대학』에서는 유학의 이념으로 명명덕(明明德), 친민(親民), 지어지선(止至於善)의 삼강령(三綱領)을 제시하고 있는데, 다산은 『대학』의 실천윤리는 효·제·자(孝·弟·慈)이며 효·제·자야 말로 명덕(明德)이라고 풀이한다. 또한 효·제·자를 가리켜 백성을 효도로써 가르치면 백성 가운데 아들된 사람은 그 부모에게 친하게 하며, 백성을 공경으로써 가르치면 백성 가운데 동생 된 사람은 그 형에게 친하게 하고 백성 가운데 어린 사람은 그 웃어른에게 친하게 하며, 백성을 자애로써 가르치면 백성 가운데 어버이 된 사람이 그 자식에게 친하게 하고 백성 가운데 웃어른 된 사람이 그 어린 사람에게 친하게 한다. 그러므로 태학의 도는 친민(親民)에 있다고 하여, 주자의 신민(新民)을 부정하고, 효·제·자를 친민(親民)의 실천윤리로 제시한다. 다산은 임금이 이러한 효·제·자를 실천하면 백성에게까지 그 가르침이 미치어 백성들에게 또한 효·제·자의 실천이 이루어진다고 하였다. 효·제·자라는 대학의 실천윤리가 단지 나라의 태자에게만 교육되어져야 할 것이 아닌 백성들에게도 필요한 덕목이라는 것을 나타낸다. 즉 효·제·자(孝·弟·慈)는 인륜(人倫)이라 정의할 수 있다. 이렇듯 다산이 유학의 실천윤리로 제시한 효·제·자(孝·弟·慈)에는 『대학』에서의 교육적 내용과 교육적 관계들이 포함되어 있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효·제·자(孝·弟·慈)가 인륜이라고 할 경우 그 안에 내포되어 있는 교육적 관계들은 구체적으로 가장 기본적인 가정 안에서부터 이루어진다고 할 수 있다. 그렇다면 이러한 효·제·자(孝·弟·慈)에 내포되어있는 교육적 관계들의 주체와 객체를 구체화 시키는 것으로부터 우리는 다산이 『대학공의』에서 주장하고자 하였던 구체적인 실천윤리를 더욱 명확히 밝힐 수 있을 것이며, 그것을 통하여 다산이 풀이한 『대학공의』를 더욱 구체적으로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 PDF

대순진리회 도장 건축물 내정(內庭)에 대한 연구 - 내정의 문헌 출처와 그 맥락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Naejeong (內庭) of Daesoon Jinrihoe Temple Complexes: Focusing on Literary Sources and Context)

  • 차선근
    • 대순사상논총
    • /
    • 제37집
    • /
    • pp.1-52
    • /
    • 2021
  • 대순진리회의 도장 건축물들 가운데 하나인 내정(內庭)은 대순진리회의 통솔·감독·운영을 상징하는 공간이다. 내정의 사전적 의미가 '궁(宮) 안에서 정사(政事)가 이루어지는 곳'이라는 점을 고려하면, 건물의 명칭과 기능은 일치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그런데 내정이라는 명칭은 어느 도교 경전의 한 구절과 관련이 있다는 이야기가 종단 내에서 구전으로 전해오고 있다. 그 경전이란 게 실재하는지, 또 어떤 내용과 문맥을 담고 있는지는 밝혀진 바가 없다. 이 글은 이에 주목하여, 대순진리회 내정의 전거(典據)로 알려진 문헌을 추적하고 그것이 『여조전서(呂祖全書)』 속에 휘집(彙集)된 『전팔품선경(前八品仙經)』의 「오행단효(五行端孝)」임을 소개하며, 그 문헌의 내용과 도교사적(道敎史的) 맥락을 고찰한다. 이 문헌의 탄생은 명말 청초로 거슬러 올라간다. 당시 중국의 여러 지역에는 백성을 구제하고 신선술을 가르쳐준다는 이유로 여동빈을 신앙하는 일단의 지식인들이 있었다. 이들은 난단도교(鸞壇道敎) 공동체를 형성하여, 강신술(降神術)로 여동빈을 응하게 하고 강계(降乩)라는 방법을 사용하여 그에게 가르침을 받아 여러 도교 경전을 만들었다. 그들 가운데 몇몇은 1589년부터 1626년 사이에, 중국 광릉(廣陵) 만점(萬店)의 집선루(集仙樓)에서 여동빈으로부터 '오토결중곡(烏兎結中谷: 까마귀와 토끼는 중곡에서 모이고) 구사반내정(龜蛇盤內庭: 거북과 뱀은 내정에서 서로 얽혀있네)'이라는 문구가 든 경전을 강계로써 받아 「오행단효」라고 이름 지었다. 이 문구는 인체 내에 존재하는 음양과 수화(水火)의 두 기(氣)가 교구(交媾)하는 내단(內丹) 수련으로써 신선의 경지에 오름을 상징적으로 표현한 것이다. 그 수련은 효행을 극진히 해야만 가능하다고 한다. 구사합체(龜蛇合體)가 이루어지는 '내정'은 바로 그러한 수련으로써 신선으로 변하는 것을 상징적으로 표현한 용어였다. 「오행단효」는 여동빈의 다른 가르침을 담은 경들과 묶여 『전팔품선경』으로 합본되었고, 1744년에는 32권 분량의 여동빈 전집(全集) 『여조전서』에 포함되어 처음으로 세상에 나오게 되었다. 이처럼 여동빈이 도교 경전을 통해 전한 '내정'이라는 용어에는 백성을 구제하고 신선술을 가르쳐준다는 여조신앙(呂祖信仰)과 난단도교, 효사상, 그리고 수화 교구의 내단술이 배경으로 자리하고 있다.

부산시내 일부 대학생들의 노인 부양의식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ollege Student's Awareness of Supporting the Elderly in Pusan)

  • 김수혜;김병성;박형종
    • 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지
    • /
    • 제10권2호
    • /
    • pp.56-72
    • /
    • 1993
  • In our society the value system has changed to individualized one, so that the awareness of supporting the elderly is changing now. This study aims to provide basic materials for the welfare policy for the elderly and to foresee the probability of maintenance and development that the most ideal system of supporting the elderly by analyzing the male and female students' attitude toward the elderly and the degree of their awareness of supporting the elderly according to several factors. A questionnaire was developed with this purpose, the study subjects of this study were 365 college students who were recruited from 6 colleges(179 male students and 186 female students) living in Pusan, and the study period was from November 9. to November 23. 1992.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In the factors related to attitude toward the elderly, male students had more positive attitude than female students toward the desire of living with their parents in the future(P=0.000). 2. In the expectant awareness of being supported by their offsprings and the desire of living together with their offsprings male students were more highly than female students(P=0.000). 3. The subjects who want to live together with their parents in the future desired more to live with their offsprings in the period of old age(P=0.000). 4. As results of hypotheses verification about the awareness of supporting the elderly,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according to the relationship between mother-in-law and daughter-in law(P=0.001), the receptive attitude toward the elderly(P=0.000) and the desire of living with their parents in the future(P=0.000) 5. In the correlations between all variables and the awareness of supporting the elderly, the economical and emotional awareness of supporting the elderly had positive correlations with the relationship between mother in-law and daughter-in-law and their parents' filial piety to grandparents(P<0.01), and service awareness of supporting the elderly had positive correlations with age, sex, the relationship between mother-in-law and daughter-in-law and their parents' filial piety to grandparents(P<0.01). In the correlations between each of the awareness of supporting the elderly, the correlations between each one had high positive correlations(P<0.001).

  • PDF

제주도 100세이상 노인의 장수요인 규명을 위한 현상학적 연구 (A Phenomenological Study for the Inquiry into Long Life Factors in Persons of One Hundred and Above on Cheju Island)

  • 김성혁
    • 지역사회간호학회지
    • /
    • 제9권1호
    • /
    • pp.40-63
    • /
    • 1998
  • A long life is the desire of many peopl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scribe long life factors for people aged one hundred and above on Chju island. The research was conducted using a phenomenological method to add understanding to this subject. The field work for this study was done from July, 1997 to February, 1998 on Cheju island. The sample consisted of 10 persons of one hundred or above and 12 families. They were audio-recorded and analyzed using Colaizzi's (1978) method. The results of the present study shows the following: The thoughts of the persons one hundred and above showed ten important concepts; 'dietary regimen', 'mental regimen', 'sleep regimen', 'residence regimen', 'health regimen', 'labor regimen', 'exercise regimen', 'being born', 'filial piety and posterity', 'attachment to life'. Concerning 'Dietary Regimen': Dietary regulation, Preferential food intake, Living on vegetables, Light eating, and concern for longevity in food intake were important. Concerning 'Mental Regimen' : Harmony, Clearheadedness, Mildness, Abstinence, Generosity, Relaxation, Gaiety, Inspiration and Strength were important. Concerning 'Sleep Regimen'; Enough sleeping hours, Sound sleep, Curved sleeping posture, and Comfortable bedding were important. Concerning 'Residence Regimen' ; Clean dwelling, Pleasant surroundings, Thatched house life, Living in the village with good-hearted people, and Regular life were important. Concerning 'Health Regimen'; Temperance of drug, use Proper temperature, Proper humidity, and a Clean body were important. Concerning 'Labor Regimen'; Agricultural labor, Diligence, and Domestic labor were important. Concerning Exercise Regimen': Proper exercise, and Sunbathing were important. Concerning 'Being Born' ; Strong physical constitution, Longevity lineage, and Destiny were important. Concerning 'Filial Piety and Posterity' : Showing respect to a long-lived elder and Reducing anxiety were important. Concerning 'Attachment to Life' ; The desire to live long was important. The following conclusion was made from the above results. Human beings cannot avoid death, but the span of life can be prolonged to the maximum span of human life by wisdom, health care, and proper environmental conditions. As a result, a health regimen must be imposed for longevity such as controling food intake, having positive thoughts, being relaxed, sleeping enough, clean dwelling, taking care of oneself which can improve immunity and resistance to decrease, as well as proper labor and exercise. In addition, when filial piety is served, the desire of longevity and retaining one's youthfulness for a long time can be achieved. These should be done to live long and lead a qualitative life. By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the following is suggesed for nursing. To satisfy the basic nursing principle that nursing must be practiced to help people live long, education must be spread to people who are nursed and their family so that they can lead a healthy life. And in nursing elders, nurses must recognize that elders have a strong desire for life, even though they may have negative thoughts about life at times. Therefore nurses have to respect the elders' value of life, and help them improve their self-esteem and self -fulfilment.

  • PDF

퇴계학파(退溪學派)의 철학사상과 현실인식 (Philosophical Thoughts and Reality Percetions of the Toege School)

  • 이상익
    • 한국철학논집
    • /
    • 제32호
    • /
    • pp.7-41
    • /
    • 2011
  • 퇴계(退溪)의 철학사상은 '이기호발론(理氣互發論)과 경사상(敬思想)'으로 대변된다. 이기호발론(理氣互發論)은 개인적 차원에서는 '천리(天理)와 인욕(人欲)' 또는 '도심(道心)과 인심(人心)'의 대립을 반영하고, 사회적 차원에서는 '군자(君子)와 소인(小人)'의 대립을 반영하는 것이다. 한편 경사상(敬思想)은 '천리(天理)의 주재(主宰)' 또는 '군자(君子)의 주도권'을 확립하는 것과 관련된 것이다. 퇴계의 후학들 역시 이러한 구도를 그대로 따랐다. 이들의 현실인식의 특징은, 만사(萬事)를 '근본(根本)과 말단(末端)'으로 구분하여 '먼저 근본(根本)에 치중했다'는 점과 '군자(君子)와 소인(小人)' 또는 '의(義)와 리(利)'를 엄격히 구별하여 '타협을 용납하지 않았다'는 점이다. 요컨대 이들은 '의(義) 리(利)의 구별'을 '만사(萬事)의 근본'으로 설정하고, 근본에 힘쓴다면 변통(變通)이 없이도 아름다운 세상을 만들 수 있다고 본 것이다. 이들의 이러한 태도는 율곡이 '종본이언(從本而言)과 종사이언(從事而言)'을 적절하게 구사하면서 변통(變通)을 모색했던 것, 그리고 동(東) 서(西)의 조제(調劑)를 추구했던 것과는 구별되는 것이다.

퇴계 이황의 도덕교육론 - 『성학십도』 체계와 내용을 중심으로 - (Toegye(退溪) Yi Hwang(李滉)'s Moral Education Theory - Focused on the system and contents of the 'Ten Diagrams of Sage Learning')

  • 지준호
    • 한국철학논집
    • /
    • 제59호
    • /
    • pp.287-312
    • /
    • 2018
  • 사람과 사람 사이의 올바른 관계를 추구하는 유학은 수기(修己)와 치인(治人)이라는 논리구조를 통하여 도덕적 개인이 공동체의 발전에 기여하는 이상향을 그린다. 16세기 한국 성리학의 태두인 퇴계 이황은 자신의 교육적 의도와 관심을 반영하고 성리학의 본체와 공부의 전 과정을 그림 열 폭에 정리하여 "성학십도"를 만들었다. "성학십도"에서 표방하는 교육의 목적은 성인(聖人)이 되는데 있으며, 이는 성찰적이며 실천적인 도덕인이 되고자 하는 도덕교육의 목적과도 궁극적으로 그 궤를 같이 한다. "성학십도"의 전체 주제는 경(敬)을 기초로 인륜과 도덕의 원리를 밝혀 인간의 본성을 회복하기 위한 것과 연관된다. 경(敬)은 또한 수양의 목적이자 방법이며, 주요 내용이다. 전통 유학의 교육 방식은 교육의 목적 내용 방법 간의 유기적 통합성을 지향하고 있으며, 내용과 방법에 있어서 지(知)와 행(行)의 병진이라는 일관성을 드러내고 있다. 전통문화가 가지고 있는 보편적 가치를 탐구하고, 전통교육의 측면에서 도덕문화를 다시 일으키는 것은 현재와 미래에 유효한 것들이 과거의 전통으로부터 연원한다는 점을 논의하는 것으로서 오늘의 교육 문제를 해결하는 데 있어서 유용할 수 있다. 특히, 전통교육이 추구했던 도덕교육의 본질을 분석하여 교육의 궁극적 목적인 '자신을 실현하고' '공동체를 배려'할 수 있는 인재를 배양하기 위한 반성적 접근은 매우 의미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