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hytotoxicity

검색결과 305건 처리시간 0.027초

수도(水稻) 담수직파재배(湛水直播栽培)에서 제초제(除草劑)의 안전성(安全性)에 관한 연구(硏究) (Phytotoxicity Herbicides in Water-seeded Rice Culture)

  • 변종영;오세현;김소년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8권1호
    • /
    • pp.59-63
    • /
    • 1988
  • 수도(水稻) 담수직파재배(湛水直播栽培)에서 제초제(除草劑) 처리(處理)에 따라 야기되기 쉬운 약해(藥害)가 안전성(安全性)이 있는 제초제(除草劑)를 선발하기 위하여 이앙답(移秧畓)에서 사용되고 있는 4종(種)의 제초제(除草劑)를 공시(供試)하여 간척답(干拓畓)과 보통답(普通畓)의 토양(土壤)을 사용하여 폿트실험으로 벼의 안전성(安全性)을 조사하였다. 1. Pyrazolate는 300, 600 g ai/10a에서 벼에 안전하여 입모율(立毛率)이 높고 벼의 초장(草長), 경수(莖數) 및 건물중(乾物重)의 감소가 적었다. 2. Bensulfuron methyl 5.1g ai/10a을 파종직후(播種直後)에 처리(處理)하면 약해(藥害)가 유발되었으나 파종(播種) 5 일 후(後)에 처리(處理)하므로써 약해(藥害)가 현저히 감소되었으며, 10.2g ai/10a에서는 다소 약해(藥害)가 크게 나타났다. 3. Chlormethoxynil은 210g ai/10a에서도 약해(藥害)가 나타나 입모율(立毛率)이 낮아지고 벼의 초장(草長), 경수(莖數) 및 건물중(乾物重)도 크게 감소되었다. 4. Benthiocarb는 210g ai/10a을 파종(播種) 5 일(日) 후(後)에 처리(處理)하면 약해(藥害)가 적었으나, 파종직후처리(播種直後處理)와 420g ai/10a 처리(處理)에서는 약해(藥害)가 많은 경향이었다.

  • PDF

온도상승에 따른 논 제초제의 약효 및 약해 변동 (Change of Efficacy and Phytotoxicity of Paddy Herbicide under Temperature Rise)

  • 박태선;황재복;배희수;박홍규;이건휘
    • Weed & Turfgrass Science
    • /
    • 제6권3호
    • /
    • pp.203-211
    • /
    • 2017
  • 본 연구는 기후변화로 인한 온도가 상승할 경우 현재 국내에서 널리 사용되어 지고 있는 되어 지고 있는 HPPD 저해 제초제에 대한 주요 벼 품종들의 약해와 논 잡초들의 약효 변동정도를 구명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온도가 높을수록 벼의 약해정도는 높게 나타났으며, 줄기보다 뿌리에서 약해정도가 더 심하게 나타났다. 대기온도 보다 약 $3^{\circ}C$ 높은 비닐하우스 조건에서 일반계 밥쌀용 자포니카 벼 품종들은 회복할 정도로 약해 경미하게 발생하였다. 그러나 찰벼, 초다수성벼, 통일벼 품종들은 수량이 감소될 정도로 약해가 발생하였다. 인공기상실 조건에서 일반계 밥쌀용 자포니카 벼 품종의 약해는 품종에 따라 차이가 있으나 고온조건인 $27.5^{\circ}C$에서 4-8로 생육이 심하게 억제되었거나 고사하였다. 그러나 찰벼와 통일벼 품종들은 $25^{\circ}C$ 이상에서 약해가 심각하게 발생하였으며, 통일계 품종인 남천은 $27.5^{\circ}C$에서 완전히 고사하였다. 논에서 이앙시기별 벼 약해실험에서 밥쌀용 자포니카 품종인 신동진벼는 6월5일(평균온도 $22.1^{\circ}C$) 및 6월15일(평균온도 $22.5^{\circ}C$)에 이앙한 논에서 약해는 경미하게 발생하였다. 그러나 6월30일 이앙(평균온도 $25.2^{\circ}C$)한 논에서는 약해가 3이상이었고, 고온인 7월15일에 이앙(평균온도 $27.9^{\circ}C$)한 논에서는 벼가 뚜렷한 억제현상을 보였다. 온도조건을 달리한 인공기상실에서 benzobicyclon+mefenacet+phenoxsulam액상수화제에 대한 물달개비, 올챙이고랭이, 올방개의 방제효과는 약제 처리 후 25일에 90% 이상의 높은 효과를 보였다. 그러나 강피의 방제효과는 $25^{\circ}C$까지는 95% 이상의 방제효과를 보였으나 고온조건인 $27.5^{\circ}C$에서는 40%의 낮은 방제효과를 보였다. 이앙시기가 서로 다른 논에서는 잡초발생량은 6월 30일 이후 이앙 논에서는 현저히 감소하였다. 일년생 잡초들인 물달개비, 올챙이고랭이, 여뀌바늘은 이앙시기에 관계없이 90% 이상의 높은 방제효과를 보였다. 그러나 강피는 7월15일 이앙(평균온도 $27.9^{\circ}C$)한 논에서 방제효과가 다른 이앙시기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낮은 73% 방제효과를 보였다. 다년생 잡초 올방개는 온도가 상승함에 따라 약효가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나 인공기상실에서 조사된 결과와는 차이가 있었다. 따라서 기후변화로 인한 대기의 온도가 상승할 경우 제초제에 대한 벼의 약해가 발생할 가능성이 높다. 논에서는 우점잡초 변화가 예상되고, 일년생 잡초들 중에서 물달개비 및 올챙이고랭는 온도상승으로 제초제 약효에 크게 영향을 받지 않으나 강피는 약 $27^{\circ}C$에서 방제효과가 저조하게 나타났다.

훈증방법이 살충력 및 절화장미·백합의 품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Fumigation Methods on Insect Disinfestation and Quality of Cut Rose and Lily)

  • 손기철;변혜진;김미경;윤재길;정순경
    • 원예과학기술지
    • /
    • 제16권3호
    • /
    • pp.374-376
    • /
    • 1998
  • 실제 검역시 이용되고 있는 훈증방법($MB\;48g{\cdot}m^{-3}$)과 새로 개발한 혼합 훈증방법($MB/PH_3,\;7/3g{\cdot}m^{-3}$)이 해충에 대한 살충력과 절화장미와 백합의 절화수명 및 식물약해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수송직후 저농도의 혼합훈증처리($MB/PH_3,\;7/3g{\cdot}m^{-3}$)는 2일간 모의수송 후 훈증처리($MB\;48g{\cdot}m^{-3}\;20^{\circ}C$)보다 진딧물, 응애, 총채벌레에 대한 살충력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절화별 식물약해에서는 차이가 있었으나, 절화의 품질과 수명은 수송직후 전처리와 상관없이 $10^{\circ}C$에서 $7/3g{\cdot}m^{-3}$으로 2.5-3시간 훈증 처리하는 것이 가장 좋은 효과를 나타내었다. 2일간 모의수송후 $MB\;48g{\cdot}m^{-3}$ 처리는 살충력은 높았으나, 전처리유무와 상관없이 백합, 장미 모두에게 식물약해를 미치며 절화수명을 단축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제주지역에서 귤응애에 대한 Petroleum Spray Oil의 방제효과 및 식물독성 (Efficacy and phytotoxicity of a petroleum spray oil for control of citrus red mite in Jeju island)

  • 김동환;김광식;현재욱;강시용;송정흡;류기중
    • 농약과학회지
    • /
    • 제4권4호
    • /
    • pp.87-92
    • /
    • 2000
  • 인축독성 및 잔효성이 낮은 환경친화적인 Petroleum spray oil(PSO; DC-Tron $Plus^{(R)}$)의 살포에 따른 귤응애에 대한 방제효과 및 약해발생에 관하여 포장조건하에서 검토하였다. PSO를 0.25%, 0.33%, 0.5% 및 1%를 처리한 결과, 귤응애에 대한 방제효과는 모든 농도에서 대조약제(tebufenpyrad, bifenazate, sun spray oil)와 비교하여 비슷하거나 뛰어났으며, 약효도 40일 이상 장기간 지속되는 경향을 나타냈다. 그런데 PSO 0.5% 이상 처리시에는 감귤잎에 유침상 증상이 일부 나타났으나 2개월후에 거의 사라졌으며, 낙엽율과 낙과율은 다소 증가하는 경향이었다. 그리고 PSO 1%를 감출 더뎅이병 및 검은점무늬병의 적용약제와 각각 혼용처리한 결과, 더뎅이병 방제약제인 Fluazinam 수화제와 혼용한 경우 일부 신초가 타거나 일부 신엽에 흑점이 발생하였다. 이러한 약효와 약해 결과를 고려해 볼 때 귤응애 방제를 위한 하절기 PSO 적정 살포농도는 0.25% 또는 0.33% 정도일 것으로 판단된다.

  • PDF

수도(水稻)에 있어서 제초제(除草劑)의 약해(藥害)에 미치는 살충(殺蟲), 살균제(殺菌劑)의 영향(影響) (Effect of Insecticide and Fungicide on Phytotoxicity of Herbicide in Rice)

  • 전재철;황인택;한민숙;장병춘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6권1호
    • /
    • pp.67-75
    • /
    • 1986
  • 제초제(除草劑)와 살충(殺蟲), 살균제(殺菌劑)와의 상호작용력(相互作用力)을 벼의 여러 생육(生育) 단계(段階)에서 검토(檢討)하였다. Carbamate 계(系) 살충제(殺蟲劑) BPMC는 단독처리(單獨處理) 및 제초제(除草劑)와의 혼합처리(混合處理)로 벼의 발아(發芽)를 심하게 억제(抑制)하였다. Thio- 및 dithiocarbamate 계(系)의 농약(農藥)은 carbamate 계(系)와는 달리 발아억제력(發芽抑制力)은 없었다. 제초제(除草劑)의 종류(種類)에 관계없이 BPMC가 혼용(混用)될 경우에는 벼의 발아후(發芽後) 생육(生育)에 심(甚)한 약해(藥害)를 나타내었다. Pendimethalin의 약해(藥害)는 유기인계(有機燐系) 농약(農藥)의 혼용(混用)으로 결항효과(結抗效果)를 나타내어 경감(輕減)되었다. 벼의 발아후(發芽後) 생육(生育)은 제초제(除草劑)와 살충(殺蟲), 살균제(殺菌劑)가 혼용(混用)되어 처리(處理)될 때 살충(殺蟲), 살균제(殺菌劑)보다는 제조체(除草劑)의 처리농도(處理濃度)에 의해서 더 크게 영향(影響)을 받는다. 대부분의 제초제(除草劑)는 살충(殺蟲), 살균제(殺菌劑)와 혼용(混用)하여 수도(水稻) 이앙(移秧) 5일(日) 후(後)에 처리(處理)하였을 때 수도(水稻)에 대해 약해(藥害)를 나타내지 않았다. Phenoxy 계(系) 제초제(除草劑)인 2, 4-D 및 MCPA의 경엽처리(莖葉處理) 활성(活性)은 cabamate 계(系) 및 요소계(尿素系) 살충(殺蟲), 살균제(殺菌劑)가 혼용(混用)될 때 증대(增大)되었다.

  • PDF

Molinate와 Simetryn 및 Imazosulfuron 수면부상성(水面浮上性) 입제(粒劑)의 시용효과(施用效果) (Effect of Molinate, Simetryn and Imazosulfuron U-Granule Application on Bioefficacy and Phytotoxicity in Rice Paddy)

  • 최상연;정봉진;채제천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18권4호
    • /
    • pp.341-347
    • /
    • 1998
  • 물에 부상하여 확산 이동되어 약효를 내도록 만든 특수제형인 수면부상성입제(U-Granule)의 효과를 검토하였다. 일년생 화본과 잡초인 피의 방제 약제인 carbamate계 제초제 molinate와 일년생 광엽잡초 방제약제인 triazine계 제초제 simetryn, 그리고 다년생 잡초인 올방개에 효과가 있는 imazosulfuron을 혼합 제제하여 1996년 시험하였다. 1. 담수직파 포장에서 molinate+simertyn 수면부상성업제를 투척처리할 때 주성분이 이동하는 데는 약 5분이 소요되었다. 2. Molinate와 molinate+simetryn 수면부상성입제로 제제하여 처리했을 때 처리 지점으로부터의 거리별 농도는 두 약제간 큰 차이가 없었으며, 72시간 후 1m 지점에서 2.8ppm, 3m 지점에서 2.2ppm, 5m 지점에서 0.9ppm, 7m 지점에서 0.6ppm을 나타내었다. 7m 지점에서의 피 살초효과는 molinate+simetryn 수면부상성성입제가 molinate 단제보다 약 23% 높았다. 3. 담수직파포장에서 molinate+simetryn+imazosulfuron 수면부상성입제는 molinate+imazosulfuron 수면부상성입제에 비해 피에 대한 살초효과는 높았고 올방개에 대한 살초효과는 비슷하였다. 4. 수면부상성입제 시용시 molinate+simetryn+imazosulfuron UG는 처리지점으로부터 약 5m, molinate+Imazosulfuron UG는 처리지점으로부터 약 2m 지점까지만 경미한 약해가 나타났으나 후기에는 회복되어 큰 문제가 되지 않았다.

  • PDF

농업용 멀티콥터를 활용한 무인항공기용 작물보호제에 대한 배추 파밤나방의 약제감수성 (Susceptibility of Spodoptera exigua to UVA Insecticides Using Agricultural Multi-copter on Cabbage Field)

  • 박부용;이상구;정인홍;박세근;이상범;김길하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58권4호
    • /
    • pp.271-280
    • /
    • 2019
  • 본 연구에서는 배추에 발생하는 파밤나방에 대하여 멀티콥터를 이용한 무인항공용 방제약제의 약효 및 약해를 조사하였다. 약해는 배추와 7개 주변작물에 대하여 시험대상 약제를 기준량과 배량으로 처리하여 살충 효과를 조사하였다. 배추 포장에 스피네토람 액상수화제(16배)와 메톡시페노자이드, 설폭사플로르 액상수화제(16배)를 살포하였고, 감수지를 이용하여 살포 약제의 낙하입자를 측정하고 피복도를 조사하였다. 두 가지 약제 모두 배추의 파밤나방에 대하여 97% 이상의 우수한 살충 효과를 보였다. 기준량 및 배량에서 배추와 7개 주변작물에 약해가 발생하지 않았다. 낙하입자 분석결과 바람 세기의 차이에 따라 낙하입자의 균일도가 다른 양상을 보였다.

옥수수에 대한 정수 슬러지(Alum sludge)의 시용효과와 Aluminum이 옥수수의 유식물 생장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Water Treatment Sludge Application on the Growth of Korean Local Corn(Zeas Mays L.))

  • 장기운;구자공;임재신;김영한
    • 유기물자원화
    • /
    • 제3권1호
    • /
    • pp.73-83
    • /
    • 1995
  • 본 실험은 옥수수에 대한 정수장 슬러지 (Alum 슬러지)의 시용효과와 다양한 pH별로 용출된 alum슬러지 추출물이 옥수수의 유식물 생육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기 위해서 수행되었다. Alum슬러지와 부숙된 Alum슬러지 퇴비를 각각 1500kg/ha를 시용하여 옥수수를 재배한 결과 수량, 엽록소함량, 초장 등의 평가에서 대조구에 비해서 비효가 인정되었으며, 뚜렷한 비해 현상은 나타나지 않았다. 처리구별 옥수수의 종실에 대한 식품화학적 분석에서도 뚜렷한 성분 변화는 발견되지 않았다. pH에 대한 옥수수 유식물의 생육은 pH4 미만에서 지상부와 지하부의 생육저해가 나타났으며 무기이온의 흡수는 pH4 이하에서 크게 장해를 받는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alum슬러지의 추출물에서는 pH가 낮아지면서 지속적인 생육저해와 양이온 흡수저해가 나타났다. 또한 Aluminum함량이 100ppm 이하에서 극심한 생육저해가 나타났다.

  • PDF

팥과 녹두 잡초방제체계(雜草防除體系) 수립(樹立)을 위한 제초제(除草劑) 병발(迸拔)에 관한 연구 (Selection of Appropriate Herbicides for Establishment of Weed Control System in Adzukibean and Mungbean)

  • 홍은희;이영호;김석동;황영현;문윤호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3권2호
    • /
    • pp.199-207
    • /
    • 1983
  • 팔 녹두에 적합(適合)한 제초제선발(除草劑選拔)을 위하여 1980~1983 년(年)의 4 개년(個年)에 걸쳐 작물시험장(作物試驗場)에서 포장시험(圃場試驗)과 pot 시험(試驗)한 결과(結果)를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제초제(除草劑)에 대한 내성(耐性)은 콩이 가장 컸으며, 녹두, 팥의 순서(順序)이다. 2. 출아전처리제(出芽前處理劑)로서 alachlor와 그외 7 종(種)의 제초제(除草劑)에 대한 약해(藥害)를 검정(檢定)한 결과(結果) 약해(藥害)를 비교적(比較的) 덜 일으키는 제초제(除草劑)는 팥에서 chloramben, linuron, metribuzin 등(等)이며, 녹두에 서 alachlor. butachlor 등(等)이었다. 3. 출아후처리제(出芽後處理劑)로서 팔, 녹두에 외관상(外觀上) 약해(藥害)를 일으키지 않는 제초제(除草劑)는 alloxydim, Dowco 453, fluazifop 등(等)이었다. 4. 출아전처리제(出芽前處理劑)로서 terbutryn 150g, a.i./l0a 처리(處理)가 팔과 녹두에 대한 잡초방제효과(雜草防除効果)가 가장 양호(良好) 하였으나 약해(藥害)의 우려가 있으며, 출아후처리제(出芽後處理劑)로서 acifluorfen 30g. a.i./10a 처리시(處理時) 잡초방제효과(雜草防除効果)가 가장 양호(良好)하였고 약해(藥害)도 20일(日) 이내(以內)에 회복(回復)되어 수량(收量)에는 영향(影響)을 미치지 않았다. 5 제초제(除草劑) 단일처리(單一處理) 보다는 혼합(混合) 및 조합처리시(組合處理時) 잡초방제효과(雜草防除効果)가 뚜렷하였으며 성분량(成分量)으로 10a당(當) 팥에서 linuron 50 g과 Dowco 453 l8g 또는 fluazifop 26g 조합처리(組合處理)가, 녹두에서 alachlor 131 g과 acifluorfen l5g 조합처리(組合處理)가 체초방제효과(體草防除效果)와 수량(收量)이 높았다.

  • PDF

제초제(除草劑) Bensulfuron methyl(DPX-F5384)의 작용특성(作用特性)에 관한 연구(硏究)- 제1보(第1報) 기계이앙답(機械移秧畓)에서의 약해(藥害) 및 약효(藥效) 변동요인(變動要因) (Studies on the Herbicidal Properties of Bensulfuron methyl(DPX-F5384) -1. Variation of Phytotoxicity and Weeding Effect Caused by Herbicide Treatment in Mechanically Transplanted Paddy Field)

  • 양환승;장익선;마상용;정수현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6권2호
    • /
    • pp.134-145
    • /
    • 1986
  • 신규(新規) 제초제(除草劑) bensulfuron methyl(DPX-F5384)의 약해(藥害) 및 제초효과(除草效果) 변동요인(變動要因)을 구명(究明)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結果)를 얻었다. 1) 이앙묘(移秧苗)(3.5 엽묘(葉苗), 삼강(三綱)벼)에 대하여 bensulfuron methyl 3~6g a.i./10a의 처리약량수준(處理藥量水準)에서는 대체로 안전(安全)하고 그 이상(以上)으로 약량(藥量)이 증가(增加)되면서 약해(藥害)는 약간식(若干式) 증대(增大)되었으나, 12g q.i./10a 처리(處理)에서도 그 약해(藥害)는 경미(輕微)하였다. 처리시기(處理時期), 누수량(漏水量), 온도(溫度), 이앙심도(移秧深度), 토양특성(土壤特性)의 차이(差異)에 따른 약해변동(藥害變動)은 거의 없었다. 품종간(品種間)에는 인도형(印度型) ${\times}$ 일본형(日本型)(삼강(三綱)벼) 벼보다 일본형(日本型)(동진벼) 벼에서 약해(藥害)가 다소(多少) 증대(增大)되었다. 2. Bensulfuron methyl은 일년생잡초(一年生雜草) 대부분(大部分)과 다년생잡초(多年生雜草) 중(中) 너도방동사니, 가래에 대해서는 탁월한 방제효과(防除效果)가 있고 올미, 벗풀, 올방개에 대해서도 그 효과(效果)가 우수(優秀)하였다. 일년생잡초중(一年生雜草中) 피해 대해서는 만족(滿足)스런 효과(效果)를 기대(期待)할 수 없었다. 본제(本劑)의 최적처리시기(最適處理時期)는 이식(移植) 5일후처리(日後處理)고 생각되지만 그보다 처리시기(處理時期)가 다소(多少) 빠르거나 늦어져도(3-10DAT) 효과(效果)의 변동(變動)은 적었다. 또한 토양(土壤)의 특성차이(特性差異)에 따른 효과변동(效果變動)도 크지 아니하였다. 그러나 누수량(漏水量)이 증가(增加)될 때와 온도(溫度)가 낮을 때 초종(草種)에 따라서는 효과(效果)가 약간(若干) 감소(減少)되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