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hytotoxic symptom

검색결과 12건 처리시간 0.03초

비선택성 제초제 Glufosinate-ammonium 오용이 사과나무의 품종별 생육반응 및 수확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Apple Tree Growth and Apple Yield from the Misuse of Non Selective Herbicide, Glufosinate-ammonium)

  • 이인용;박용석;김성민;강철아;전병철;박재읍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30권4호
    • /
    • pp.454-459
    • /
    • 2010
  • 비선택성 제초제인 글루포시네이트암모늄액제를 농작업자의 오판에 의한 오용으로 사과나무에 직접 살포된 경우 품종별, 수령별로 나타나는 약해반응과 수확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사과나무 품종에 따라 약해정도가 다르게 나타났다. 약제살포 당해연도에는 산사 > 쓰가루 > 홍로 > 후지 순으로, 약제살포 다음해에는 후지 > 쓰가루 > 홍로 > 산사 순으로 피해가 나타났으나, 그 피해정도는 당년에 비해 경미하였다. 이듬해, 후지에서는 꽃과 착과정도에서만 30%정도 감소하였으나 쓰가루, 홍로, 산사에서는 개화상태, 착과율 등에서 전혀 피해증상이 관찰되지 않았다. 약해를 받은 당년에 조생종 쓰가루와 중만생종후지 대상으로 각각 수확기 10일전에 사과 중 잔류량을 검사한 결과, 잔류량은 검출한계(0.04ppm) 미만이었다. 그리고 오용 2년 후(2009년)에는 후지, 쓰가루, 홍로, 산사 모두에서 약해증상이 나타나지 않았다.

논피잎마름병균(Exserohilum monoceras)의 독소생산과 그 기주반응 (Production of a Phytotoxic Substance by Exserohilum monoceras, the Causal Fungus of Barnyardgrass Leaf Blight, and its Response on Host Plants)

  • 조재민;홍연규;엄재열
    • 한국식물병리학회지
    • /
    • 제13권2호
    • /
    • pp.132-137
    • /
    • 1997
  • Phytotoxicity of the culture filtrate and culture conditions for the production of the phytotoxin by Exserohilum monoceras 92-044 were examined. The necrotic lesions were developed on the leaves of Echinochloa crus-galli within 48 hrs after inoculation of the culture filtrate, and the leaves were completely blighted within 5∼7 days. Maximum toxicity was found in the culture broth containing 20% V-8 juice. Phytotoxin accumulation and fungal growth reached their highest peak at around 11 days. Typical symptom appeared on the leaf of E. crus-galli within 48 hrs. Only a weak chlorosis appeared on rice, Arundinella hirta (THUNB) and henry crabgrass (Digitaria sanguinalis SCOP.), but no further symptom developed.

  • PDF

못자리용(用) 제초제(除草劑)의 약해발생(藥害發生) 요인(要因)과 해독제(解毒劑) "CGA 123' 407" 효과(效果) (Factors Affecting Herbicidal Phytotoxicity and Efficacy of Antidote, CGA 123' 407, in Rice Nursery)

  • 김순철;이수관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5권1호
    • /
    • pp.63-72
    • /
    • 1985
  • 보온절충식(保溫折衷式) 못자리 잡초방제(雜草防除), 체계수립(體系樹立)을 위햐 제초제(除草劑) 약해발생(藥害發生) 요인(要因)을 구명(究明)하고, 제초제(除草劑) 해독제(解毒劑) CGA123'407의 효과(效果)를 포장시험(圃場試驗)과 실내시험(室內試驗)으로 나누어 1982년(年)과 1984년(年)에 걸쳐 영남작물시험장(嶺南作物試驗場)에서 시험(試驗)을 실시(實施)한 결과(結果)를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못자리에서 제초제(除草劑)에 의(依)한 약해발생(藥害發生) 요인(要因)은 복토방법(覆土方法), 상판(床板)굳히기 정도(程度), 최아유무(催芽有無), 물 관리방법(管理方法), 상내(床內) 기온조건(氣溫條件) 등(等)으로 나눌 수 있었으며, 복토방법(覆土方法)에서는 상면(床面) 진압구(鎭壓區)가 모래 복토(覆土)나 무복토(無覆土)에 비(比)해 6% 정도(程度) 더 약해(藥害)가 심(甚)하였고, 최아방법별(催芽方法別)로는 최아종자(催芽種子)가 무최아종자(無催芽種子)보다, 그리고 못자리 상면(床面)을 적당(適當)히 굳혀 제초제(除草劑)를 뿌리 부위(部位)로만 흡수(吸水)시킨 것이 뿌리부위(部位)와 유아부(幼芽部) 다같이 흡수(吸收)시킨 것에 비(比)해 약해발생(藥害發生) 위험(危險)을 크게 경감(輕減)시켰다. 2. butachlor를 상면(床面)에 처리(處理)한 후(後) 1회(回)(24시간(時間)), 2회(回), 3회(回) 상면(床面)위까지 관수(灌水)하여 씻어내줌으로써 butachlor의 제초효과(除草效果)는 떨어지지 않으면서 약해(藥害)는 경감(輕減)되었는데 환수(換水)에 의(依)한 약해(藥害) 경감효과(輕減效果)는 환수회수(換水回數) 증가(增加)할수록 높았고, 복토방법별(覆土方法別)로는 진압구(鎭壓區)에서 가장 컸고, 다음으로 모래복토(覆土), 무복토(無覆土) 순(順)이었다. 3. 제초제(除草劑) 해독제(解毒劑)(antidote)인 CGA 123'407는 잡초방제(雜草防除) 효과면(效果面)에서 변화(變化)를 가져오지 않으면서 pretilachor에 대(對)해서는 거의 완전(完全)한 보호능력(保護能力)을 보여 주었으며 파종(播種) 1일전(日前) 처리(處理)가 파종(播種) 직후처리(直後處理)보다 벼 생육(生育)이 약간 더 좋은 경향(傾向)이였다. 한편 단일제초제처리(單一除草劑處理)로서는 pretilachlor가 가장 약해(藥害)가 심(甚)하였고 그 다음으로 thiobencarb, butachlor 순(順)이었으며, chlornitrofen은 거의 약해(藥害)가 발생(發生)되지 않았다.

  • PDF

벼 재배 환경 중 molinate의 휘산과 공기 중 고추약해 발현농도 (Volatilization of molinate in paddy rice ecosystem and its concentration in air causing phytotoxicity to chili pepper)

  • 박병준;최주현;김찬섭;임건재;오병렬;심재한
    • 농약과학회지
    • /
    • 제9권1호
    • /
    • pp.70-80
    • /
    • 2005
  • 수도용 제초제 molinate에 대하여 벼 재배환경에서 휘산양상과 공기 중 고추에 대한 약해증상 및 발현 농도설정 시험을 수행한 결과 물 중 휘산양상은 $35^{\circ}C$, 20 L/min에서 47시간 후의 누적 휘산비가 22.7%였고, $25^{\circ}C$, 10 L/min에서는 3.2%로 7배 이상이 차이를 보였다. 벼 재배 포장에 150 g/1,000 $m^2$의 약량으로 살포된 molinate의 공기 중 농도는 지면으로부터 60 cm 높이에서 곡간지와 평야지는 각각 18.17과 11.59 ${\mu}g/m^2$ 수준으로 살포 당일에 최고 휘산량을 보였고, 처리 후 20일에는 $0.18{\sim}0.51{\mu}g/m^3$로 95% 이상이 감소되었으며, 두 지역 모두 휘산 양상은 비슷하였다. 높이 간의 공기 중 molinate 농도는 지표면으로부터 60 cm 높이에서 180 cm높이 보다 2배 이상이 분포되었다. 한편 인근에 재배되고 있는 고추 신엽에서 엽록소가 파괴되면서 잎 표면이 오므라드는 증상이 약제 살포 3일만에 발생하였으며, 약해가 심하게 나타난 잎의 molinate 잔류량은 $0.004{\sim}0.006$ mg/kg 수준으로 검출되었다. 공기 중 molinate에 의한 고추 생육저해는 $6.8{\mu}g/m^3$ 농도에서는 노출 3일째에 약해가 발현되어 4일째는 약해 증상이 심하게 나타났고, $13.6{\mu}g/m^3$ 농도에서는 노출 2일째에 발현되었다. 한편 수경재배에 의한 고추약해는 물 중 $300{\mu}g/L$ 농도에서 10일 후에 약해가 발현되었다. 약해고추의 회복은 신선한 공기가 공급되었을 때 시일이 경과되면서 약해 받은 잎은 고사되어 없어지고 신엽이 새로 발생되어 4주 후에 정상고추와 비슷한 생장을 하였다.

식물 병원균 Bipolaris cynodontis로부터 분리한 세스퀴테르펜류 화합물의 구조 분석 (Structure Elucidation of Sesquiterpenoid from Pathogenic Fungus Bipolaris cynodontis)

  • 임치환
    • 분석과학
    • /
    • 제9권1호
    • /
    • pp.107-111
    • /
    • 1996
  • Bipolaris cynodontis의 배양 추출물로부터 이탈리안 라이그라스 뿌리의 생육저해 활성을 나타내는 물질을 분리 정제한 다음에 2차원 NMR을 포함한 각종 기기분석을 이용하여 구조를 결정하였다. 이 화합물의 분자식은 $C_{24}H_{30}O_5$ 이었으며 세스퀴테르펜류 화합물로 이탈리안 라이그라스 및 벼와 같은 벼과식물에 대해서 100ppm에서 100%의 활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보아 병원균의 병징 발현에 관여하는 것으로 보여진다.

  • PDF

인삼역병에 대한 Metalalryl의 방제효과 (Effect of Metalaxyl on Controlling Phytophthoyra Disease of Korea Ginseng)

  • 유연현;오승환
    • Journal of Ginseng Research
    • /
    • 제9권2호
    • /
    • pp.163-169
    • /
    • 1985
  • The efficacy of fungicides was compared for control of root rot as well as leaf blight caused by Phytophthora cactorum on ginseng plants. Growth of P. cactorum in rlitro was completely or highly inhibited by metalaxyl, tetracyclin, captafol, carbendazim, and thiophanate + thiram. In field trials, the disease was significantly reduced not only in the root rot but also in the leaf blight when metalaxyl was applied at 4.17 mg a.i. per plant for soil drenching and 1.25 mg a.i. for foliage application. Also captafol was effective on control of the leaf blight but its effect was inferior to that of metalaxyl. Metalaxyl lost its effectiveness in vivo between the 5th and 7th week after soil wren ching. Phytotoxicity was, however, observed on 2 years old ginseng plants when metalaxyl was drenched at 8 mg a.i. while no phytotoxic symptom was developed on 2 years old ginseng plants at 4k mg a.i. and 3 years old at 16 mg a.i. per plant, respectively.

  • PDF

지모, 일황련 및 황백나무 추출액의 항균활성 (Antifungal Activity of Anemarrhena asphodeloides, Coptis japonica and Phellodendron amurense Extracts against Phytophthora Blight)

  • 도은수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10권4호
    • /
    • pp.351-359
    • /
    • 1997
  • 3가지의 식물체 추출액을 공시하여 P. capsici에 대한 항균 활성 검정, 고추 역병에 대한 방제효과 및 고추에 미치는 약해를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3가지 식물체 물 추출액 중에서 일황련 추출애기 균새장 억제효과가 가장 뛰어났으며, 2배의 희석농도에서 70% 이상의 억제 효과가 있었고, methanol 추출액의 경우 1,000배 이상의 희석농도에서도 74.4%의 억제 효과가 있었다. 지모 및 일황련 추출액의 2개 희석농도와 황백나무의 추출원액 처리에 의해 P.capsici의 유주자낭의 발아는 완전히 억제되었다. 2. Methanol에 의한 추출액이 상온에서 물에 의해 추출하거나, 끓여서 추출한 액보다 항균력이 우수하였다. 3. 세 가지 식물체 추출액 모두 저장기간이 길어짐에 따라 고추 역병균에 대한 항균력은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4. 세 가지 추출액 모두 고추 역병에 대해서 방제효과가 있었고, 그 중 일황련 추출액이 가자 효과적이며 황백나무 및 지모의 순이었다. 5. 수경 재배형식의 유모검정에서는 고추묘에 약해가 있었으나, pot시험에서는 약해가 없었다. 또한 고추 종자에 추출액을 처리했을 때 발아가 저해되거나 유근의 신장이 억제되는 등 약해가 유발되어쓰나, 고추 잎과 고추 과실에 추출애글 엽면살포 하였을 때에는 아무런 해가 나타나지 않았다.

  • PDF

인삼 탄저병에 대한 항균성식물의 탐색과 이용 (Screening and Utilization of Antifungal Plant against Ginseng Anthracnose (Colletotrichum gloeosporioides))

  • 도은수;길기정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14권3호
    • /
    • pp.206-212
    • /
    • 2001
  • 16과 20종의 공시 식물체 중 양파(Allium cepa), 대황(Rheum undulatum) 및 황련(Coptis japonica) 등의 추출액이 인삼 탄저병균(C. gloeosporioides)에 대해 균사생장 억제 효과가 우수하였다. 양파와 대황은 배지내의 추출액 농도가 1.0% 이상일 때 균사 생장억제 효과가 인정 되었고, 황련의 추출액은 배지 내의 농도가 0.5% 이상일 때에도 균사 생장 억제 효과가 50% 이상으로 나타나 공시된 식물체 추출액 중에서 항균 활성이 가장 우수하였다. 양파의 추출액은 10.0% 희석농도에서는 60% 이상의 발아 억제 효과가 있었고, 대황의 추출액은 2.0% 그리고 황련의 추출액은 1.0%의 희석 농도에서도 포자 발아억제율이 90% 이상으로 나타나 황련추출액이 가장 우수함을 알 수 있었다. 양파와 대황의 추출액은 2.0%의 희석농도에서는 어느 정도 방제 효과가 있었으나 1.0% 이하의 희석 농도에서는 효과가 많이 떨어졌고, 황련의 추출액은 1.0%의 희석농도에서도 50%이상의 방제 효과가 있었으나, 3가지 식물체 추출액 모두 대조약제인 Mancozebwp에 비해서는 그 효과가 상당히 떨어지는 경향이 었다. 세가지 식물체 추출액 모두 10.0%의 희석농도에서는 인삼 잎의 엽육이나 엽맥이 갈변하는 등의 약해의 징후가 나타났고, 황련의 추출액은 2.0%의 희석 농도에서도 약간의 약해 징후가 관찰되었다.

  • PDF

제초제(除草劑) Metolachlor에 대한 수도(水稻)의 생리적(生理的) 반응(反應) (Physiological Response of Rice to Metolachlor Herbicide)

  • 이태희;김길웅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2권1호
    • /
    • pp.13-19
    • /
    • 1982
  • ${\alpha}$-chloroactamide 계(系)의 제초제(除草劑) Metolachlor의 수도(水稻)의 생육(生育) 및 생리적(生理的) 작용(作用)에 대하여 어떠한 영향(影響)을 미치는 가를 조사(調査)하여 수도용(水稻用) 제초제(除草劑)로 이용(利用)키 위한 기초자료(基礎資料)를 얻고져 본(本) 시험(試驗)을 수행(遂行)하였던 바 얻어진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1, Metolachlor $10^{-6}$M과 $GA_310^{-3}$M의 동시처리구(同時處理圖)가 무처리구(無處理區)에 비하여 189.7%, Metolachlor처리(處理) 24시간(時間)전(前)의 $GA_310^{-3}$M 처리구(處理區)에서 135.4%, 48 시간전(時間前) 處理(처리)는 117.5%로 Metolachlor $10^{-6}$M 단독처리구(單獨處理區)에서의 29%에 비하여 $GA_3$ 처리구(處理區)는 공(共)히 第1本葉(제1본엽)이 신장(伸長)되어 Metolachlor의 억제작용(抑制作用)을 극복(克服)하는 효과(効果)를 나타내었으며 뿌리에서 보다 신초(新鞘)에서의 반응도(反應度)가 컸다. 2. 벼 종자내(種子內)의 주된 저장물질(貯藏物質)인 전분(澱粉)과 단백질(蛋白質)은 Metolachlor 처리(處理)에 의해서 분해(分解)가 크게 억제(抑制)되었으며 동시(同時)에 전분(澱粉)의 분해(分解)에서 생성(生成)왼 당(糖)의 함량(含量)도 처리구(處理區)에서 적었다. 3. ${\alpha}$-amylase의 total activity는 Metolachlor 처리구(處理區)와 무처리구간(無處理區間)에 5%의 유의(有意)한 차(差)가 인정(認定)되었으며 처리후(處理後) 시일(時日)이 경과(經過)할수록 차(差)는 컸다. ${\alpha}$-amylase의 specific activity는 시일(時日)에 관계(關係)없이 처리구(處理區)와 무처리구간(無處理區間)에 유의(有意)한 차(差) 인정(認定)되지 않아 Metolachlor은 ${\alpha}$-amylase의 생성(生成)에 억제영향(抑制影響)을 마치는 것 같다.

  • PDF

제초제의 사용법 개발에 관한 연구 제4보 Metribuzin 사용시간에 따른 대두품종의 생육반응 (Improvement of Herbicide Use in Crop Production w. Growth Responses of Soybean (Glycine max) Cultivars to Application Time of Metribuzin Herbicide)

  • 구자옥;정순주;이종영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26권2호
    • /
    • pp.179-184
    • /
    • 1981
  • 본 시험은 1980년도에 전남대학교 시험포장에서 수행된 것으로서, Metribuzin의 처리시기에 따른 품종반응차이를 알기 위하여 광교외의 5대두품종과 Pre-sowing 외에 4처리 시기를 공시하여 작물의 초기생육반응을 조사하여 다음의 결과를 얻었다. 1. 공시품종내에서는 약제에 대한 저항성 차이가 뚜렷하지 않았다. 2. 품종차이보다는 약제처리시기에 따른 반응차이가 헌저하였으며, 대부분 대두품종의 저항성 크기는 E. Post-emg.< L.Post-emg $\ll$re-sowing=Control의 순으로 컸다. 3. Metribuzin의 약해 Symptom은 주당엽수 < 초장 $\ll$주당분지수의 순으로 뚜렷한 감소를 보이는 특징이었다. 4. 우리나라 대두품종에 대한 Metribuzin의 사용은 Pre-sowing이나 Pre-emg.가 추천되며, 특히 Pre-sowing에 대한 토양혼화법 연구와 단제보다는 혼용처리의 이점을 찾을 필요가 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