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hytosociology

검색결과 122건 처리시간 0.035초

대전 장태산, 해태산, 안평산과 구봉산 지역의 산림식생 (Forest Vegetation of the Jangtaesan, Haetaesan, Ahnpyoungsan and Gubongsan area in Daejeon Metropolitan City, Korea)

  • 김효정;이미정;권오원;신동훈;이규석;서병기;송호경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7권5호
    • /
    • pp.47-56
    • /
    • 2004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analyze forest vegetation of the Jangtaesan, Haetaesan, Ahnpyoungsan and Gubongsan in Daejeon. Employing the releve method of Braun-Blanquet, 76 plots were sampled. The communities were classified into Quercus mongolica community, Quercus variabilis community, and Pinus densiflora community. Average coverage rate was 85% in tree layer, 44% in subtree layer, 37% in shrub layer, 25% in herb layer, respectively. The importance values were 58.76 in Pinus densiftora, 44.86 in Quercus monegolica, 44.06 in Quercus variabilis, 33.00 in Quercus serrata, 18.73 in Rhus trichocarpa, 18.07 in Prunus sargentii. DBH range of most Pinus densiflora, Quercus mongolica and Quercus variabilis was between 5cm and 20cm. Therefore, Pinus densiflora, Quercus mongolica and Quercus variabilis will be dominant species in the study area for several more decades. Quercus mongolica community was distributed mainly on the north and east slope in a high-altitude and relative good nutrition condition. Querucus variabilis community was distributed mainly on the south slope in a middle-altitude and medium nutrition condition. Pinus densiflora community was distributed mainly in a low-altitude and poor nutrition condition.

금호강(대구, 경북)본류에서 유수변초본식생의 군락분류와 그 분포특성 (Syntaxonomy and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of the Herbaceous Vegetation on Running Waterside in the Main Stream of Geumho River, Daegu and Gyeongsanbuk-do, Korea)

  • 이호준;정흥락
    • 환경생물
    • /
    • 제19권4호
    • /
    • pp.239-247
    • /
    • 2001
  • 1994년 6월부터 8월까지 금호강 본류의 유수변 초본식생을 식물사회학적으로 조사하였으며, 수질환경과 관련된 식생의 분포특성을 밝혔다. 금호강 본류의 하변식생은 여뀌-미꾸리낚시군락(Persicaria sieboldi-Persicaria hydropiper community), 고마리군락(Persicaria thunbergii community), 물봉선군락(Impatiens textori community), 줄군락(Zizania latifolia community), 갈대군락(Phragmites communis community), 물피군락(Echinochloa crus-galli var. oryzicola community)의 6군락으로 분류되어있다. 수질오염의 정도를 나타내는 BOD와 COD는 상류에서 각각 0.9ppm과 1.6ppm을 보였으며, 하류로 갈수록 증가하여 최하류에서는 각각 15.9ppm과 24.8ppm으로 나타났다. 하변식생의 분포유형은 최상류에 물봉선군락, 상류에서 중상류까지 여뀌-미꾸리낚시군락, 상류에서 중류까지 고마리군락, 중류에서 중하류까지 줄군락, 중하류에서 하류까지는 갈대군락 및 물피군락이 주로 우점하였다. 특히, 여뀌-미꾸리낚시군락과 고마리군락은 수환경의 생물지표로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었다.

  • PDF

Plant Assemblages Along an Altitudinal Gradient in Northwest Himalaya

  • Gupta, Bhupendar;Sharma, Navneet
    • Journal of Forest and Environmental Science
    • /
    • 제31권2호
    • /
    • pp.91-108
    • /
    • 2015
  • The study investigates herbage communities along the altitudinal gradient in northwest Himalaya and highlights the effect of trees on its understory floristic diversity and phytosociology. The study was conducted in nine forests at three elevations viz., chir pine (Pinus roxburghii), mixed and khair (Acacia catechu) forests at elevation $E_1$ (850-1150 m), chir pine, mixed and ban oak (Quercus leucotrichophora) forests at elevation $E_2$ (1151-1600 m) and ban oak, mixed and chir pine forests at elevation $E_3$ (>1600 m) in a sub-watershed located in Solan district of Himachal Pradesh, India. These were compared grasslands located adjacent to forests. In all, 20 grass, 3 sedge, 2 forb and 4 legume species were recorded in study sites. Jaccard's coefficient of herbage vegetation was highest between chir pine forests and grasslands, and lowest in khair and ban oak forests. TWINSPAN dendrogram of herbage composition exhibited three subtypes with Apluda mutica, Arundinella nepalensis and Dichanthium annulatum as indicator species. Three groups of plant communities were identified on the basis of their moisture requirement. Peak density and basal area of herbage in forests and grasslands occurred by September. Density and basal area of herbage in grasslands at different elevations ranged from 649.6 to $1347.9tillers/m^2$ and 30.0 to $65.7cm^2/m^2$, respectively, while, in forests it varied from 351.2 to $1005.3tillers/m^2$ and 14.9 to $43.9cm^2/m^2$, respectively. Density and basal area of the herbage in plant communities decreased along the elevation. Under trees in forests the density of herbage decreased up to 77% and basal area up to 62% of their respective values in grasslands.

낙동간 상류부의 하천변 관목 및 초본성 식생의 식물사회학적 연구 (A Phytosiciological Study of the Shrubby and Herbaceous Vegetation of the Riverside in the Upper Stream of Nak-dong River, Korea)

  • 송종석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15권2호
    • /
    • pp.104-117
    • /
    • 2001
  • 경상북도 낙동상 상류부에 위치한 하천변 식물군락에 대해 식물사회적 조사를 하였다. 그 결과 아래처럼 10군강에 속하는 30군락단위와 상급단위 미결정의 1군락단위를 식별하였다. 특히, 과거에 인위적 영향을 반영하여 쑥군강에 속하는 군집 군락이 가장 많이 출현하였다. A. 관목식물군락-A-1나도버들군장, 버드나무군단: 버드나무-왕버들군집, 버드나무군집, 시무나무군집, 갯버들군집, 눈갯버들군집, 선버들군집, A-2 찔레꽃 군강: 국수나무군락, 구기자나무군락: A-3 상급단위 미결정의 군락: 누리장나무군락; B, 초본식물군락 B-1 가래군강: 노랑어리연꽃군집, 마름군락, B-2 좀개구리밥군강: 좀 개구리밥-개구리밥군랍, B-3 가막사리군강: 고마리군집, 미꾸라지낚시-여뀌군집, 개기장-여뀌군집, B-4 갈대군강; 창포군집, 갈풀-미나리군집, 달뿌리풀군집, 물억새군집, 갈대군락, B-5 쑥군강:물쑥군집, 쑥군락, 물봉선군락, 왕고들빼기-환삼덩굴군집, 칡-환삼덩굴군집, 수크려군랑, B-6 명아주군강: 물피군락, 바랭이군란, 큰개여뀌군락, B-7 억새군강: 억새군락, B-8 질경이군강: 비노리-질경이군락, 이들 식생단위는 거의가 일본의 것과 공통하고 있어 한국에 고유한 하천변 식생은 매우 드물다는 사실을 나타내었다. 한편 하천에는 고유한 군강의 군집, 군락은 하류에서 상류로 감에 따라 양적으로 증가 하였으마, 귀화식물의 수는 그 반대였다. 또, 각 군락과 환경과의 관계, 하천변 식생의 복원생태 및 자연보호 등에 관해 상세히 논하였다.

  • PDF

한국 난온대 식생분포대의 식물기후학적 재검토 (A Phytoclimatic Review of Warm-temperate Vegetation Zone of Korea)

  • 엄병철;김종원
    • 생태와환경
    • /
    • 제53권2호
    • /
    • pp.195-207
    • /
    • 2020
  • 난온대 동백나무군강의 한국 내 분포 북한계는 연평균 기온 13℃와 14℃, 한랭지수 -10℃로 제안된 바 있다. 본 연구는 이들 기후요소의 지리적 공간분포 실체를 검토하였다. 세 기후요소의 공간분포 양상은 티센망법과 크리깅법으로 분석하였으며, 세 가지 기후도를 생산하여 난온대 주요 상록활엽수종의 현존분포와 그 대응성을 비교·분석하였다. 결과로 난온대 식생의 분포 북한계는 한랭지수 -10℃가 연평균기온 14℃보다 일치하였으나, 연평균기온 13℃가 더욱 정교한 일치를 보여주었다. 한반도에서 연평균기온 13℃를 북한계로 한 난온대 식생역의 잠재 분포 면적은 20,334 ㎢로 다른 두 온도요소의 경우보다 넓었다. 본 연구는 가공하지 않은 직접 기후요소인 연평균기온 13℃가 가공으로부터 생겨난 간접 기후요소인 한랭지수 -10℃보다 난온대 식생 분포 북한계에 대응하는 특정 온도 요소인 것으로 밝혀졌다. 더불어 식물구계학적 특정종의 평가 기준으로 사용되는 난온대 경계선에 대한 학술적 재고의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휴경논이 식생유형 및 토양환경에 미치는 영향 (Vegetation Types and Soil Environment as Affected by Fallow Paddy)

  • 오영주;이병모;손수인;이용기;남홍식;이상범;강충길;지형진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30권4호
    • /
    • pp.405-411
    • /
    • 2010
  • 휴경논에 분포하고 있는 식생구조에 대해 식물사회학적 연구를 수행하였다. 총 22개 조사구에 대한 식생자료의 분석은 Zurich-Montpellier 학파의 방법을 이용하였다. 휴경논 식생조사 결과 1아군집, 5군락으로 구분되었다. 고마리군집(Polygonetum thunbergii Lohm. et Miyawaki 1962)의 고마리전형아군집, 골풀군락, 갈대군락, 물달개비군락, 사마귀풀군락, 부들군락. 요인분석에서 식생단위와 환경과의 상관관계를 보면, 사마귀풀군락과 물달개비군락은 토양 전질소와 음의 상관관계, 갈대군락과 고마리아군집은 토양 pH가 낮은 지역에 분포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內延山 一帶 森林植生의 群落分類에 關한 硏究 (A Study on Community Classification of Forest Vegetation in Mt. Naeyeon)

  • 윤충원;이병천
    •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 /
    • 제25권2호
    • /
    • pp.83-91
    • /
    • 2002
  • 내연산의 삼림식생을 대상으로 ZM 식물사회학적 방법에 의해 군락단위 및 그 하위 단위를 분류하고, 분류된 각 단위와 환경사이의 상관관계를 서열법으로 해석하여 내연산 산림식생관리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할 목적으로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군락단위는 신갈나무군락, 굴참나무군락, 소나무군락, 서어나무군락, 느티나무군락이 구분되었고, 하위단위는 철쭉꽃군과 참회나무군, 굴참나무군락에서 우산나물군, 털조록싸리군 및 찰피나무군, 느티나무군락에서 까치박달군과 고욤나무군이 각각 세분되었다. 따라서 내연산 일대의 산림은 5개군락, 7개군으로 총 9개의 식생단위로 분류되었다. CCA 방법으로 식생과 환경사이의 상관관계 분석 결과 내연산 지역의 식생단위는 해발과 가장 높은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신갈나무군락의 철쭉꽃군과 참회나무군은 해발고와 지형이 높은 곳과 노암율이 낮은 곳에 각각 분포하는 경향이 있다. 한편 느티나무군락은 신갈나무군락과 역의 관계로 나타났다. 앞으로 산림식생관리시 특히 계곡림에 대해서는 교목층의 우점종들이 상관적으로 이질적인 모습을 하고 있더라고 하나의 관리단위로 고려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상관적 방법과 수리군락분류학적 방법에 의한 경북 북부지방 산지의 삼림식생의 식물사회학적 연구 (Phytosociological Study of the Forest Vegetation in the Mountainous Areas of the Northern Part, Kyungpook Province using the Methodology of Physiognomy and Numerical Syntaxonomy)

  • 송종석;노광수;정화숙;송승달
    •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 /
    • 제22권5호
    • /
    • pp.241-254
    • /
    • 1999
  • 상관적, 수리군락분류학적 방법에 의해 경상북도 북부지역의 일월산, 청량산, 미림산, 홍림산, 영등산, 아기산, 607고지 일대에 분포하는 삼림식생을 분류, 기슬하였다. 우점도에 기본을 두어 교목층의 종조합에 따른 상관적 의미의 분류에서는 크게 세 군(소나무군, 굴참나무군, 신갈나무군)에 통합되는 10군락이 구분되었다. 이 상관적 의미의 분류를 몇가지 군으로 통합할 때, 그것은 cluster분석의 결과와 잘 일치하였다. 그러나 TWINSPAN에 의한 분류에서는 크게 두 군락으로 구분되었으며, 상관적 의미에 있어서 굴참나무군과 소나무군의 차이는 뚜렷하게 나타나지 않았다. DCA서열은 TWINSPAN의 분류 결과와 잘 조화되었으며, 몇가지 환경경도를 설명하였다. 이상의 결과는 교목층의 종조합이 군락분류에 의미가 있음을 암시하였다. 또 위의 군락분류를 ZM식물사회학의 기존 군락체계와 비교, 고찰하였다.

  • PDF

구룡산의 산림군집구조와 환경요인의 상관관계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Forest Community Structure and Environment Factor in Mt. Guryong, Gyeongsangbuk-Do Province)

  • 이서희;김혜진;윤충원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01권3호
    • /
    • pp.526-537
    • /
    • 2012
  • 본 연구는 경상북도 봉화군 구룡산 일대의 산림식생을 대상으로 2010년 7월부터 2010년 8월까지 72개의 방형구를 설치하여 Z-M 식물사회학적 방법으로 식생구조의 유형분류를 실시하였다. 최상위 단계에서 신갈나무군락군이 분류되었고, 군락단위에서는 금강소나무군락, 고로쇠나무군락, 신갈나무전형군락이 구분되었으며, 인공식재림은 일본잎갈나무군락, 잣나무군락으로 분류되었다. 금강소나무군락은 군단위에서 굴참나무군과 금강소나무전형군으로 세분되었으며, 고로쇠나무군락은 개벚지나무군과 물참대군의 2개 군으로 세분되어 총 7개의 식생단위로 분류되었다. 그리고 분류된 식생단위와 해발고와 지형의 환경요인이 상관관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층위별 상대우점치를 분석한 결과, 금강소나무군락(식생단위 1, 2)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각 층위에 우점치가 높은 신갈나무, 굴참나무 등의 참나무류에 대한 지속적인 숲가꾸기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되었다.

논둑 식생의 식물사회학적 군락분류 (Phytosociological Classification of vegetation in paddy levee)

  • 오영주;손수인;김창석;김병우;강병화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27권4호
    • /
    • pp.413-420
    • /
    • 2008
  • 논둑에 분포하고 있는 식생구조에 대해 식물사회학적 연구를 수행하였다. 총59개 조사구에 대한 식생자료의 분석은 Zurich-Montpellier 학파의 방법을 이용하였다. 논둑 식생조사 결과3군단, 3군집, 3군락으로 구분되었다: 쑥-수크령군단(바랭이-돌피군집, 쑥-개망초군락, 띠군락, 한삼덩굴-돌콩군락), 참억새-새군단(억새군집), 미국가막사리-개기장군단(고마리군집). DCA분석에서 식생단위와 환경과의 상관관계를 보면, 쑥-개망초군락과 띠군락은 토양 경도와 양의 상관관계, 습한 논둑에 서식하는 고마리군집과 서식폭이 넓은 억새군집은 전질소와 높은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