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hytochemical content

검색결과 99건 처리시간 0.027초

Polyphenolic Profile of Fermented Houttuynia cordata Thunb. and Overall Contribution to Antioxidant and Lipolytic Activities

  • Lee, Soo Jung;Hu, Wensi;Lee, Eun Jung;Choi, Jin Young;Koo, Ok Kyung
    • 산업식품공학
    • /
    • 제22권4호
    • /
    • pp.295-303
    • /
    • 2018
  • Polyphenol profiles, physicochemical properties, antioxidant activities, and inhibitory effect of adipocyte differentiation of Houttuynia cordata fermented with Lactobacillus brevis B84 were evaluated. Six polyphenols were characterized for this plant by using high-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tandem mass spectrometry (HPLC-MS/MS), and the results were compared with total phenolic content by a spectrophotometric method. The total amount of the identified polyphenols was lower than that determined by the spectrophotometric method. However, the fermentation process influenced polyphenol composition such as content of vanillic acid and caffeic acid. The phytochemical profiles were evaluated by high-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with UV and electrospray ionization mass spectrometry detection ($HPLC-DAD-ESI-MS^n$). Total sugar and reducing sugar contents decreased after fermentation. Antioxidant activities such as DPPH, ABTS, and superoxide anion radical scavenging and reducing power were evaluated to compare the beneficial effect after fermentation. Fermented H. cordata increased the lipolytic effect in 3T3-L1 adipocytes. Overall, the results indicate that the fermentation of H. cordata with L. brevis B84 produces changes of phenolic compounds, antioxidant activity, and lipolytic effect.

Whitening and Anti-oxidative Activities of Chemical Components Extracted from Branches of Sorbus alnifolia

  • Bo Shi Liu;Jung Eun Kim;Nam Ho Lee
    • 대한화학회지
    • /
    • 제67권2호
    • /
    • pp.137-144
    • /
    • 2023
  • In this study were evaluated the whitening and anti-oxidative activities from the extracts of Sorbus alnifolia branches, and identified the chemical structures of the active ingredients. In the whitening tests using α-MSH stimulated B16F10 melanoma cells, the 70% ethanol extract and n-butanol (n-BuOH) fractions concentration-dependently inhibited cellular melanogenesis and intracellular tyrosinase activities without causing cell toxicity. The total polyphenol content of n-BuOH and ethyl acetate (EtOAc) fractions were measured to be respectively 241.1 ± 1.1 and 222.9 ± 2.4 (mg/g GAE), and the total flavonoid content of EtOAc fraction was 75.3 ± 2.0 (mg/g QE). Upon anti-oxidant studies with DPPH and ABTS+ radicals, potent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were observed in the EtOAc and n-BuOH fractions. Moreover, in the study of cell protection efficacy using HaCaT keratinocytes damaged by H2O2, the EtOAc and n-BuOH fractions showed a very positive results on prevention of oxidative stress. Phytochemical studies for this extract resulted in the isolation of four compounds; 2-oxopomolic acid (1), euscaphic acid (2), epi-catechin (3), prunasin (4).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the extract of S. alnifolia branches containing compounds 1-4 as natural ingredients could be used as whitening and anti-oxidant ingredients in cosmetic formulations.

Effects of arbuscular mycorrhizal fungi on enhancing growth, fruit quality, and functional substances in tomato fruits (Lycopersicon esculentum Mill.)

  • Thanapat Suebrasri;Wasan Seemakram;Chanon Lapjit;Wiyada Mongkolthanaruk;Sophon Boonlue
    • Journal of Plant Biotechnology
    • /
    • 제50권
    • /
    • pp.239-247
    • /
    • 2023
  •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efficiency of arbuscular mycorrhizal fungi (AMF) in enhancing plant performance and bioactive compound concentrations in tomatoes (Lycopersicon esculentum Mill.). This factorial pot experiment included nine replications over 120 days of cultivation. Three AMF species (Rhizophagus prolifer, Claroideoglomus etunicatum, and Acaulospora mellea) were utilized as inoculum, while non-mycorrhizal controls with or without synthetic NPK fertilizer were compared. Interestingly, C. etunicatum KS-02 inoculations effectuated the best fruit growth and weight, which were statistically higher than those of the control without AMF. However, only fruit fresh weight was higher in plants inoculated with C. etunicatum KS-02 than those treated with the synthetic NPK fertilizer. In addition, C. etunicatum KS-02 inoculations induced a ≥ 11% increase in DDPH (1,1-diphenyl-2-picrylhydrazyl) activity, lycopene content, and carotenoid content compared to the control. This study is the first to report Claroideoglomus species' effectiveness in promoting growth, fruit yield, and bioactive compound production in L. esculentum Mill. These findings substantiate the significant potential of C. etunicatum KS-02 for tomato cultivation without the adverse effects of excessive synthetic fertilizer use.

Anticancer Properties of Psidium guajava - a Mini-Review

  • Correa, Mariana Goncalves;Couto, Jessica Soldani;Teodoro, Anderson Junger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7권9호
    • /
    • pp.4199-4204
    • /
    • 2016
  • Cancer is a complex disease caused by a progressive accumulation of multiple genetic mutations. Consumption of fruits is associated with lower risk of several cancers, which is mainly associated to their phytochemical content. The use of functional foods and chemopreventive compounds seems to contribute in this process, acting by mechanisms of antioxidant, anti-inflammatory, anti-angiogenic and hormonal. The Psidium Guajava has high potential functional related to pigments who are involved in the process of cancer prevention by having antioxidant activity. The aim of the present review is to expose some chemical compounds from P. Guajava fractions and their association with anti-carcinogenic function. The evidences supports the theory of anticancer properties of P. Guajava, although the mechanisms are still not fully elucidated, but may include scavenging free radicals, regulation of gene expression, modulation of cellular signalling pathways including those involved in DNA damage repair, cell proliferation and apoptosis.

생약제제의 이화학적 품질평가에 관한 연구 -소청룡탕(小靑龍湯)의 분석- (Studies on Physical and Chemical Quality Evaluation of Crude Drugs Preparations -Analysis of So Cheong Ryong Tang-)

  • 정지형;박상일;박성수;박종희
    • 생약학회지
    • /
    • 제29권1호
    • /
    • pp.35-39
    • /
    • 1998
  • The famous prescription of So Cheong Ryong Tang (小靑龍湯)in Chinese herb medicine, which has been used for the treatment of common cold, influenza, asthmatic bronchitis, and bronchial asthma and, is being commercially produced in the form of decoction. However, the storage problem for this dosage form remains unsettled. The quantitative changes of the major constituents, at different temperature and time course, were examined employing HPLC and GC. Cinnamaldehyde, cinnamic acid, ephedrine, albiflorine, paeoniflorin, benzoic acid, glycyrrhizin, and liquiritin were choosen as phytochemical markers. The content of cinnamaidehyde significantly decreased when stored at increased temperature, while that of benzoic acid has increased. By overall consideration of the present experimental data, it was suggested that most constituents are considerably stable when preserved below freezing temperature.

  • PDF

신품종 장새미 마늘의 식물화학적 구성 및 생리활성 (Phytochemical composition and physiological activity of the new garlic (Allium sativum) cv. 'Jangsaemi')

  • 김주성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53권6호
    • /
    • pp.701-705
    • /
    • 2021
  • 장새미 마늘은 2012년에 품종보호권이 등록되었으나 재배 면적도 크지 않을 뿐만 아니라 관련 논문도 없어서 본 연구를 실시하였다. 장새미 마늘의 무기물 함량은 칼륨이 가장 많았으며 다음으로 질소, 황, 인 순이었다. 알리인과 알리신도 각각 9.73±0.97, 1.65±0.15 mg/g이었다. 고형물함량은 7.90±0.00°Brix였으며 환원당은 33.42±1.79 mg GE/g이었다. 총페놀 및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80.35±2.67 mg GAE/100 g, 33.80±2.17 mg QE/100 g였다. 장새미 마늘의 항미생물활성은 그람음성균보다 그람양성균에서 더 높았으며 특히 Staphylococcus epidermidis와 Micrococcus luteus에서 우수하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향후 장새미 마늘을 재배하는 농가에 유용한 정보를 제공해 줄 것으로 기대된다.

마늘 신품종 홍산과 한산의 식물화학적 구성 및 생리활성 비교 (Comparison of phytochemical composition and physiological activity of 'Hongsan' and 'Hansan', a new variety of garlic)

  • 김주성;라종환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51권2호
    • /
    • pp.147-151
    • /
    • 2019
  • 본 연구는 2016년 품종보호권이 등록된 홍산마늘과 한산마늘의 생리활성을 측정하기 위하여 실시되었다. 나트륨과 황 성분을 제외한 미네랄 성분들은 한산마늘에서 높게 측정되었으며 함유 황화합물 역시 한산마늘에서 높았다. 또한 고형물함량과 환원당 및 알파글루코시다아제 저해활성 역시 한산마늘이 높았다. 그러나 산도, pH, 총페놀 및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홍산마늘에서 높게 나타났다. 두 품종에서 항미생물활성은 그람음성균보다 그람양성균에 대한 저해활성이 높았으며 한산마늘보다 홍산마늘이 조금 높은 항미생물활성을 나타내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향후 위 품종을 재배하는 농가에 유용한 정보를 제공해 줄 것으로 기대된다.

블랜칭 처리 및 부형제 종류에 따른 곰취 착즙액 분무건조 분말의 phytochemical 성분 및 품질특성 (Phytochemical compounds and quality characteristics of spray-dried powders with the blanching condition and selected forming agents from pressed extracts of Ligularia fischeri leaves)

  • 김재원;박인경;윤광섭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20권5호
    • /
    • pp.659-667
    • /
    • 2013
  •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생리활성을 가지고 있는 곰취의 이용가치를 향상시키고자 블랜칭 처리 유무와 부형제로 당량이 다른 dextrin(DE=10~20) 및 ${\beta}$-cyclodextrin의 첨가에 따른 곰취 착즙액 분무건조 분말의 품질특성을 비교 분석하였다. 곰취 착즙액의 pH 범위는 6.36~6.38로 유사하였으며 가용성 고형분 함량 및 점도는 BT군에서 높았고 ${\beta}$-cyclodextrin > DE=10 > DE=20의 순으로 높은 점도를 나타내었다. 분무건조 분말의 수율은 BT군에서 높았고, 부형제에 따라서는 ${\beta}$-cyclodextrin > DE=20 > DE=10 순이었다. 수분함량은 유사한 수준을 나타내었고 색도는 BT군에서 밝기가 증가하고 녹색도는 강해지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beta}$-cyclodextrin에서 녹색도의 안정화가 높았다. 폴리페놀 및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블랜칭 처리 시 증가하는 반면 프로안토시아니딘 함량은 감소하였다. 비타민 C 함량에서는 블랜칭 처리에 의하여 열적 손실은 발생하나 미세 코팅으로 인하여 외부적 요인으로부터 산화되는 정도가 억제되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Chlorophyll 함량은 BT군에서 전반적으로 높은 함량을 나타 내었으며, Ca/Cb의 비율에서는 NT군 및 BT군 모두 ${\beta}$-cyclodextrin에서 높은 값을 나타내었다. 총 carotenoid 함량은 블랜칭 처리구에서 감소하였으나 ${\beta}$-cyclodextrin 첨가구의 경우 carotenoid 함량이 보존되었다. 수분흡수지수는 DE=10에서 낮았으며 블랜칭 처리 시 감소하는 반면 수분용해지수는 블랜칭 처리구에서 증가하는 양상을 보였으며 부형제 종류에 따라서는 DE=20 및 ${\beta}$-cyclodextrin에서 높은 수치를 나타내었다. 입자의 크기 및 분말의 형태를 검경한 결과 BT군에서 균일하고 작은 입자를 나타내었고 DE=20 과 ${\beta}$-cyclodextrin의 경우 보다 균일한 구형을 형성하였다.

큰눈벼와 일품벼의 발아에 의한 생리활성물질 함량 및 암세포 증식억제활성 변화 (Changes in Phytochemical Content and Antiproliferative Activity of Germinated Geunnun and Ilpum Rice Varieties)

  • 성지혜;이준수;오세관;이점식;최원석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2권7호
    • /
    • pp.1157-1161
    • /
    • 2013
  • 본 연구에서는 현미의 발아를 통해 큰눈벼와 일품벼 두 품종에서의 GABA(${\gamma}$-aminobutyric acid) 함량, 항산화성분 함량 및 암세포 증식억제 활성의 변화를 측정하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 두 품종의 현미는 발아 과정을 통해 GABA 함량이 증가하였으며, 특히 일품벼의 미강층에서 발아 후 가장 큰 증가율을 나타내었다. 항산화 성분의 경우, 큰눈벼에서는 발아 후 polyphenol 함량이 증가하였으나, flavonoid 함량의 경우 두 품종 모두 발아 후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암세포 증식억제활성 측정 결과, 폐암 세포주의 경우 두 품종 모두 현미상태에서는 발아 후 암세포 증식 억제활성이 증가하였으며, 위암 세포주에서 발아 후에 암세포 증식 억제활성이 보다 증가하였다. 따라서 현미의 발아 시 항산화 성분이 용출되는 현상을 방지하는 조건이 확립된다면, 향후 발아현미는 건강기능식품 및 건강보조제 등을 위한 기능성 식품 소재로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모링가 부위별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 및 파이토케미컬 함량 (Antioxidant activity and phytochemical contents of the extracts from different parts of Moringa oleifera)

  • 김주성
    • Journal of Plant Biotechnology
    • /
    • 제47권3호
    • /
    • pp.248-253
    • /
    • 2020
  • 열대 및 아열대 기후에서 자생하는 모링가가 기후변화로 인하여 국내에서도 재배가 되고 있으면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다양한 나라에서 식품 및 기능성제품으로 사용이 되면서 국내로 수입되는 모링가에 대한 분석이 필요하여 본 연구를 실시하게 되었다. 모링가의 부위별(잎, 가지 및 종자) 항산화 능력과 페놀 및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잎과 가지에서 높았으며, 정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무기물 함량 역시 잎과 가지에서 풍부하였으며 특히 칼륨 이온이 가장 많았다. 또한 7종의 페놀산과 4종의 플라보노이드 성분이 검출이 되었으며 페놀산에서는 페룰릭산이, 플라보노이드에서는 쿼세틴 함량이 높게 나타났다. 이 연구결과는 향후 국내 모링가 재배농가의 비교자료로 유용하게 이용될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