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

검색결과 149건 처리시간 0.041초

호소 퇴적물 내부생산성 오염도 영향 평가 및 용출특성에 관한 연구 (The evaluation of pollution level and release characteristics by inner productivity in the sediment of lake)

  • 이상은;최이송;이상근;이인호;오종민
    • 환경영향평가
    • /
    • 제21권1호
    • /
    • pp.81-91
    • /
    • 2012
  • In this study, it is grasped the status of nutrients through an investigation of release characteristics and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sediments on reservoir. And then the effect of sediments is evaluated on the water quality in reservoir. In the results of physicochemical analysis, the pollution level of midstream is the highest, which shows the traits that the water is more deeper and takes place a deposition consistently. Then, the pollution level of upstream is higher than downstream's because inflow has influence on the upstream directly. The downstream is located near tidal gate so that the soil particles can be moved easily and are difficult to be deposited due to the distribution of seawater by control of tidal gate. Therefore, the downstream is showed the lowest pollution level than the others. Also, the concentration of SOD(Sediment Oxygen Demand) in the upstream which is influenced on the effect of inflow is highest than the others. When it analyzes under anaerobic and aerobic condition to understand the release characteristic of sediment, it shows that the release rate is low or negative under the aerobic condition. Whereas the release rate is usually positive under the unaerobic condition relatively. According to these results, it is necessary to maintain the proper environmental factors of water body for decreasing the release rate of sediment. Because the release rate is changeable under the different condition of water body. Therefore, proper strategies are required for increasing the self-purification of water as well as keeping the aerobic condition of sediment and managing a sediment layer directly to control the inner-pollution by the sediment of reservoir.

대봉감 퓨레의 첨가량에 따른 감 젤리의 이화학적 및 관능적 특성 (Physicochemical and Sensory Characteristics of Persimmon Jelly Added with Different Levels of Daebong Persimmon Puree)

  • 민지현;은종방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8권1호
    • /
    • pp.54-58
    • /
    • 2016
  • 대봉감 퓨레 첨가량을 달리하여 제조한 감 젤리는 대봉감 퓨레를 더 첨가할수록 조단백질, 조지방, 비타민 C, 식이섬유 및 베타카로틴 함량이 증가하는 것을 볼 수 있었다. 그러나 색도 결과 대봉감 퓨레를 더 첨가할수록 명도 값이 감소하였으며, 적색도 값은 퓨레 5% 및 7% 중량부를 첨가한 시료에서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또한 조직감 결과 대봉감 퓨레를 더 첨가할수록 경도와 씹힘성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나 소비자들에게 불편함을 줄 수 있으며 관능검사 결과 외관, 색, 맛, 향, 씹힘성 및 전체적인 기호도가 퓨레 5% 중량부를 첨가한 것이 가장 높은 점수를 나타내었다. 대봉감 퓨레를 더 첨가할수록 영양학적으로 더 우수한 결과를 나타내었지만 색도, 조직감 및 관능검사의 결과 대봉감 퓨레를 첨가한 감 젤리의 개발은 퓨레 5% 중량부를 첨가하는 것이 가장 적합한 것으로 판단된다.

단체급식 및 외식업체에서 이용되는 양상추의 식초수 소독의 적용을 위한 연구;이화학적 특성 및 관능적 특성 분석을 중심으로 (Applying Vinegar as a Disinfectant for Lettuce in Foodservice Operations;A Focused Evaluation of Its Physiological and Sensory Characteristics Effects)

  • 김혜영;김현정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24권2호
    • /
    • pp.228-235
    • /
    • 2008
  • In this study, vinegar disinfection was evaluated as a novel method for the preparation of raw food ingredients used in foodservice operations. The test materials were washed and disinfected using three different methods, and were then stored at temperatures of $3^{\circ}C\;and\;10^{\circ}$ for 7 days; Following storage, physicochemical and sensory characteristic comparisons were performed. Temperature for all test materials ranged between 15.2-20. $9^{\circ}C$, water activity was maintained near 0.96, and the pH levels of the samples were 6.44, 6.29, and 6.35, respectively. Residual chlorine levels were generally low, ranging between 0.01 and 0.02. The physicochemical qualities of the samples were evaluated according to the storage method and temperature. Brightness(L value), redness(a value), and yellowness(b value) tended to increase with increasing storage time. The evaluated sensory characteristics included appearance, color, smell, taste, texture, and overall acceptance. With regard to storage temperature the vinegar-treated samples were evaluated as superior, receiving a score of 7.00, and the ingredients stored at $3^{\circ}C$ were evaluated as significantly (p< 0.001) superior to those stored at $10^{\circ}C$. Overall, vinegar is an effective disinfectant to apply in the preparation of raw vegetables that are typically served without heating, and which can cause serious food safety issues when contaminated.

자몽종자 추출물 첨가에 따른 양파 퓨레의 이화학적 및 미생물학적 특성 조사 (Effect of Grapefruit Seed Extract Addition on Physicochemical and Microbial Characteristics of Onion (Allium cepa L.) Puree)

  • 이교연;한채연;박채은;최성길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36권6호
    • /
    • pp.515-525
    • /
    • 2023
  • This research aimed to examine the effects of grapefruit seed extract (GSE) at various concentrations on the microbial safety and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onion puree (0.01~0.1%). The onion puree was kept at 4℃ for 14 days. The results of the study indicated that the addition of GSE did not cause any significant changes in the sample's brix degree and viscosity in onion puree (p<0.05). However, as the concentration of GSE increased, the pH level decreased. On the other hand, as GSE was added, the lightness of the onion puree increased, while the redness and yellowness decreased. Compared to pure onion puree, the GSE-incorporated onion puree had higher levels of total flavonoid and total polyphenol content, indicating that it helps to maintain antioxidant activities. Based on the microbial safety test, aerobic bacteria, yeast, and mold were absent until day 14 of storage. In conclusion, the study suggests that the addition of GSE to onion puree increases its antioxidant activity and shelf-life.

Differences in Physicochemical and Nutritional Properties of Breast and Thigh Meat from Crossbred Chickens, Commercial Broilers, and Spent Hens

  • Chen, Yulian;Qiao, Yan;Xiao, Yu;Chen, Haochun;Zhao, Liang;Huang, Ming;Zhou, Guanghong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29권6호
    • /
    • pp.855-864
    • /
    • 2016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physicochemical and nutritional properties of breast and thigh meat from commercial Chinese crossbred chickens (817 Crossbred chicken, 817C), imported commercial broilers (Arbor Acres broiler, AAB), and commercial spent hens (Hyline Brown, HLB). The crossbred chickens, commercial broilers and spent hens were slaughtered at their typical market ages of 45 d, 40 d, and 560 d, respectively. The results revealed that several different characteristic features for the three breeds. The meat of the 817C was darker than that of the other two genotypes. The 817C were also characterized by higher protein, lower intramuscular fat, and better texture attributes (cooking loss, pressing loss and Warner-Bratzler shear force [WBSF]) compared with AAB and HLB. The meat of the spent hens (i.e. HLB) was higher in WBSF and total collagen content than meat of the crossbred chickens and imported broilers. Furthermore, correlation analysis and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revealed that there was a clear relationship among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chicken meats. With regard to nutritional properties, it was found that 817C and HLB exhibited higher contents of essential amino acids and essential/non-essential amino acid ratios. In addition, 817C were noted to have highest content of microelements whereas AAB have highest content of potassium. Besides, 817C birds had particularly higher proportions of desirable fatty acids, essential fatty acids, polyunsaturated/saturated and (18:0+18:1)/16:0 ratios. The present study also revealed tha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on breast meat and thigh meat for the physicochemical and nutritional properties, regardless of chicken breeds. In conclusion, meat of crossbred chickens has some unique features and exhibited more advantages over commercial broilers and spent hens. Therefore, the current investigation would provide valuable information for the chicken meat product processing, and influence the consumption of different chicken meat.

가야산 수계 내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의 군집특성과 이화학적 수질요인과의 상관관계 (A Community Characteristic on Benthic Macroinvertebrates and Correlation of Physicochemical Water Quality Factors in Stream of Gaya Mountain)

  • 김형곤;윤춘식;정선우
    • 한국습지학회지
    • /
    • 제20권4호
    • /
    • pp.322-329
    • /
    • 2018
  • 본 연구에서는 가야산 수계에 분포하는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 군집의 특성을 밝히고 이화학적 수질요인과의 상관관계를 확인하였다. 연구기간동안 확인된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은 총 4문 6강 13목 36과 100종이었으며 종수 점유율은 하루살이목, 날도래목, 강도래목, 파리목, 비곤충류, 노린재목, 잠자리목의 순으로 나타났다. 우점종은 민하루살이(Cincticostella levanidovae)로 우점도 17.72%였으며, 아우점종은 띠무늬우묵날도래(Hydatophylax nigrovittatus)로 우점도 6.15%였다. 생물지수 중 전체조사지역에 대한 다양도는 5.17, 풍부도는 12.44로 나타난 반면, 우점도는 0.24, 균등도는 0.78로 가야산 수계에 서식하는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은 특정종이 우점하지 않는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주요 분류군과 이화학적 수질 요인간의 상관관계를 확인해 본 결과 하루살이목과 강도래목은 수온과 음의 상관관계를 나타내고 용존산소량과는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는데 이는 청정수계의 지표군인 하루살이목과 강도래목의 서식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이화학적 수질요인으로 수온과 용존산소량을 들 수 있음을 의미한다.

우리밀 Semolina의 이화학적 특성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 of Korean Wheat Semolina)

  • 김연주;김래영;박재희;주종찬;김원태;전순실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9권6호
    • /
    • pp.837-842
    • /
    • 2010
  • 우리밀 semolina의 면류가공 산업현장에 적용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고자 제분과정 중 발생하는 coarse semolina (CS), medium semolina(MS), fine semolina(FS)의 이화학적 특성을 비교 분석하였다. 실험에 사용한 semolina 모두가 FS를 제외하고는 $250{\mu}m$ 이상의 큰 입자가 약 75% 이상을 차지하였고, MS의 경우 durum semolina(DS)와 가장 유사한 입도분포를 나타내었다. 조단백, 조회분은 DS가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고, 우리밀 semolina는 CS, MS, FS 순으로 감소하였다. 조지방은 DS가 가장 낮게 나타났고, CS, MS, FS는 유의적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L값은 작은 입도분포를 많이 가질수록 높게 나타났고, 손상전분은 DS와 FS에서 낮게 나타났으며, CS에서 가장 높은 손상전분을 나타내었다. 아밀로오스 함량 또한 비교적 작은 입도분포를 가지는 DS와 FS에서 각각 29.80%과 29.08%로 높게 나타났으며, 물결합력은 DS가 가장 높았고, 우리밀 semolina의 경우 FS에서 높게 나타났다. 용해도와 팽윤력에서도 낮은 손상전분과 작은 입도분포를 가지는 FS에서 높게 나타났다. 미세구조 관찰시 FS와 MS에서 가루로부터 깨끗하고 뚜렷한 작은 전분입자가 파열되지 않고 전분 입자형태를 유지하면서 가루 표면에서 떨어져 나와 있는 전분립들을 관찰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로부터 제분에 의한 semolina의 이화학적 특성변화가 많이 일어남을 알 수 있으며, 부가적인 제면특성 검사를 통해 FS의 면류가공 적용이 가능하리라 생각된다.

한국산 잡곡류의 이화학적 특성과 항산화활성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 and Antioxidant Activites of Cereals and Legumes in Korea)

  • 이하규;황인국;김현영;우관식;이성희;우선희;이준수;정헌상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9권9호
    • /
    • pp.1399-1404
    • /
    • 2010
  • 잡곡의 이용 증진을 위하여 국산 잡곡 12종에 대한 이화학적 특성 및 항산화 활성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조단백질 함량은 두류(20.60~34.47%)가 곡류(8.96~15.45%)에 비하여 높았으며, 조지방 함량은 대두와 흑태에서 각각 17.73 및 18.79%로 높았으며 그 밖의 잡곡류에서는 0.68~5.39% 범위였다. 잡곡의 주요 무기성분은 칼륨, 칼슘 및 나트륨 등 이었으며, 특히 두류에서 칼슘 및 칼륨 함량이 높았다. 지방산 조성은 불포화지방산이 66.79~84.84%로 많았으며, $\Omega$-3 지방산(linolenic acid) 함량은 두류에서 7.47~48.25% 범위로 곡류의 0.36~3.71%보다 높았다. 총 폴리페놀과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두류의 80% 에탄올 추출물이 곡류보다 많았으며, DPPH 및 ABTS radical 소거능은 수수의 에탄올 추출물이 2 mg/mL의 농도에서 각각 62.60% 및 264.20 mg AA eq/g으로 가장 우수하였으며, 강낭콩 및 팥에서 높은 항산화 활성을 나타내었다. 이와 같은 잡곡별 성분함량 및 항산화 활성 결과는 기능성식품 개발을 위한 자료로서 활용될 수 있으리라 생각된다.

홍국 쌀 첨가량을 달리하여 제조한 약주의 이화학적 및 관능적 특성 변화 (Changes in Physicochemical and Sensory Characteristics of Rice Wine, Yakju Prepared with Different Amount of Red Yeast Rice)

  • 김철암;김은수;은종방;왕승진;왕명현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9권3호
    • /
    • pp.309-314
    • /
    • 2007
  • 멥쌀에 홍국 쌀을 각각 0, 10, 20, 30, 40% 첨가하여 제조한 약주의 이화학적 특성 및 관능적 특성의 변화를 조사하였다. 홍국 쌀 첨가량의 증가에 따라 pH는 감소되었고 총산의 함량은 증가된 것으로 나타났다. 총당의 함량은 홍국 쌀 첨가량의 증가에 따라 증가하였고 알코올 함량은 감소하였다. 색도 중 L값은 홍국 쌀 첨가량의 증가에 따라 감소되었으나 a와 b값은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향기성분은 esters, aldehydes, alcohols, acids로 분류되었고 과일향의 주성분인 esters의 함량은 10% 홍국 쌀을 첨가한 시험구에서 제일 많이 생산된 것으로 나타났다. 관능검사 결과 전체적 기호도에서 10% 홍국 쌀을 첨가하여 제조한 약주가 제일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화학적 특성이나 관능적 특성으로 보아 10% 홍국 쌀을 첨가하는 약주를 제조하는 것이 적합하다고 생각된다.

건조방법에 따른 생식 원료 곡류의 이화학적 특성 및 기능성 성분의 변화 (Changes of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 and Functional Components of Cereals for Saengsik, Uncooked Food by Drying Methods)

  • 김철암;오덕환;엄애선;이헌옥;은종방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2권5호
    • /
    • pp.442-448
    • /
    • 2005
  • 생식 제조공정 중 주요공정인 건조방법에서 효율적인 방법을 찾기 위하여 건조방법에 따른 생식 원료 곡류의 이화학적 특성 및 기능성 성분의 변화를 조사하였다. 쌀, 현미, 찹쌀, 보리의 단백질, 지방, 탄수화물, 회분, 식이섬유 등 성분의 함량은 열풍건조(50$\circC$, 55$\circC$, 60$\circC$) 및 동결건조를 통하여서는 거의 변화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색도 중의 b값이 열풍건조를 실시한 시료가 동결건조를 실시한 시료에 비하여 높게 나타났다. niacin의 함량은 60$\circC$에서 열풍건조를 실시한 백미, 현미, 찹쌀, 보리가 각각 0.77 mg %, 1.84 mg%, 0.68 mg%, 1.00 mg%로 다른 시험구 보다 낮게 나타났다. 보리 중의 $\beta$-glucan의 함량은 열풍건조 및 동결건조 통하여 거의 변화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beta$-glucan과 같은 기능성 물질을 함유한 보리 등의 생식 원료는 열풍건조방법을 이용하는 것이 경제적일 것으로 생각되며 niacin과 같이 열에 약한 비타민을 많이 함유한 생식 원료는 동결건조 방법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으로 생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