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hysicochemical and sensory characterization

검색결과 16건 처리시간 0.031초

Chemical and Sensory Characterization of Korean Commercial Rice Wines (Yakju)

  • Lee, Seung-Joo;Kwon, Young-Hee;Kim, Hye-Ryun;Ahn, Byung-Hak
    • Food Science and Biotechnology
    • /
    • 제16권3호
    • /
    • pp.374-380
    • /
    • 2007
  • Chemical and sensory profiles of 5 Korean commercial rice wines (yakju) were developed using descriptive, physicochemical, and volatile analyses. Color, 6 aroma, and 5 taste attributes of these rice wines were evaluated by a panel of 13 judges. Sample wines were analyzed for titratable acidity, ethanol content, pH, Hunter colorimeter value, organic acids, and free sugars. Volatile analysis of the samples revealed the presence of 2 acids, 7 alcohols, 19 esters, and 5 miscellaneous compounds. Based on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of the descriptive data, rice wines were primarily separated along the first principal component, which accounted for 57% of the total variance between the rice wines with high intensities of 'color' and 'sweet aroma' versus 'ginseng' aroma.

Physicochemical and Sensory Characterization of Korean Blood Sausage with Added Rice Bran Fiber

  • Choi, Yun-Sang;Choi, Ji-Hun;Han, Doo-Jeong;Kim, Hack-Youn;Lee, Mi-Ai;Kim, Hyun-Wook;Lee, Chi-Ho;Paik, Hyun-Dong;Kim, Cheon-Jei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29권2호
    • /
    • pp.260-268
    • /
    • 2009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termine the effects of added rice bran fiber on the physicochemical and sensory characterization of blood sausage. Blood sausages were supplemented with rice bran fiber at levels of 0% (control), 1%, 2%, and 3%. The moisture, hardness, gumminess, and chewiness of treatments with added rice bran fiber were higher than those of controls (p<0.05). The pH, lightness, redness, and yellowness of uncooked as well as cooked blood sausages increased with increasing addition levels of rice bran fiber levels, but energy values were lower in blood sausage treatments with containing rice bran fiber than that of controls (p<0.05). As the increase levels of rice bran fiber in blood sausage the energy levels were decreased (p<0.05). All sensory scores of treatments containing rice bran fiber were higher than controls, and the highest overall acceptability was attained when 2% rice bran fiber was added to blood sausage. The blood sausage with 2% rice bran fiber can be manufactured with high quality characteristics.

야생효모의 분리, 동정과 이를 이용한 오미자 발효주의 이화학 및 관능 특성의 비교 (Isolation and Identification of Wild Yeasts from Schizandra (Schizandra chinensis) for Wine Production and Its Characterization for Physicochemical and Sensory Evaluations)

  • 이시형;박혜경;김명희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9권12호
    • /
    • pp.1860-1866
    • /
    • 2010
  • 오미자로부터 야생효모 Saccharomyces cerevisiae(S. cerevisiae) SH8094와 S. cerevisiae SH2855를 분리, 동정하였으며, 이 효모를 이용하여 오미자 발효주를 제조하였다. 야생효모 S. cerevisiae SH8094와 S. cerevisiae SH2855를 이용한 오미자 발효주와 시판효모 Lalvin 1118을 이용한 오미자 발효주의 이화학 특징과 관능 특성을 비교 분석하였다. 그 결과, 야생효모 S. cerevisiae SH8094로 제조한 오미자 발효주가 pH 2.8, 산도 1.1%, 당도 14.5oBrix, 알코올 함량 9%를 나타냈으며, 목넘김, 종합적 기호도에 있어서 높은 점수를 얻었다. 또한 오미자로부터 분리된 야생효모 S. cerevisiae SH8094와 S. cerevisiae SH2855를 이용하여 만든 오미자 발효주와 상업적으로 판매되는 오미자 발효주의 관능 특성을 비교한 결과, 생오미자에서 분리된 야생효모 S. cerevisiae SH8094로 제조한 오미자 발효주가 상업적으로 판매되는 오미자주보다 향, 색, 종합적 기호도에 있어서 우수하게 나타났다. 이로써 오미자로부터 분리한 효모 S. cerevisiae SH8094를 이용한 우수한 오미자 발효주 제조의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현미와 2분도미의 이화학적 품질 특성 (Physicochemical characterization of brown rice and milled rice at 2% degree of milling (DOM))

  • 최인덕;최혜선;박지영;김남걸;이석기;천아름;박장환;천지연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51권3호
    • /
    • pp.214-220
    • /
    • 2019
  • 본 연구에서는 현미의 최외층 약 1-2%에 해당하는 과피(pericarp)를 2% 제거한 2분도미와 현미의 이화학적 특성을 비교하고, 취반미의 물성 및 관능적 특성을 평가하였다. 찰벼(보석찰), 반찰벼(백진주) 및 메벼(설갱과 하이아미) 4품종에 대한 2분도미의 일반성분 및 호화특성은 현미와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으나 곡립의 색도는 2분도미의 명도값은 증가하고 적색도 및 황색도 값은 낮아지는 경향을 보였으나 모든 품종에서 통계적 유의성이 나타나지는 않았다. 하지만 육안으로 관찰되는 겉보기 곡립의 색도는 2% 도정에 의해 다소 밝아지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한편 쌀의 취반특성에 주요한 영향을 주는 수분흡수율은 2분도미가 현미에 비하여 현저하게 증가하여 취반시간 단축이 가능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취반미의 물성 측정 결과, 2분도미의 경도는 감소하고 부착성 및 찰기는 증가하는 경향을 보여 현미의 과피층 제거가 취반미의 조직감 개선이 가능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한편 취반미의 관능평가에서 찰벼 및 반찰벼는 현미밥에 대한 선호도가 높았고, 메벼는 2분도미 밥에 대한 모든 식미평가 항목에서 유의한(p<0.05) 증가를 보여서 소비자 선호도가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첨가원료 종류에 따른 전통발효주의 이화학 및 관능특성 (Physicochemical and Sensory Characterization of a Korean Traditional Rice Wine Prepared from Different Ingredients)

  • 김혜련;조성진;이승주;안병학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0권5호
    • /
    • pp.551-557
    • /
    • 2008
  • 첨가원료의 종류가 술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해 고문헌에서 보여지는 원료로 맥아, 옥수수, 감자, 콩, 차조, 현미, 찹쌀 그리고 멥쌀을 2단 담금 쌀 양의 30%(w/w)로 첨가원료 곡물을 달리하여 발효주를 제조하여 이화학적 특성과 관능특성을 비교하였다. 16일간 발효 후 최종 알코올 함량은 맥아와 찹쌀이 16.2%로 가장 높았고 pH는 4.14-4.57, 총산은 0.27-0.32% 수준으로 나타났으며 아미노산은 맥아가 0.36$\pm$0.02%로 가장 높게 감자가 0.18$\pm$0.01%로 가장 낮게 나타났다. 당도는 맥아가 11.1로 가장 높아 고형분 함량이 가장 많음을 나타냈고 감자가 8.35로 고형분 함량이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착색도, 자외부흡수, 환원당은 모두 맥아를 첨가한 술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고 감자를 첨가한 술에서 가장 낮게 나타나 원료에 따른 뚜렷한 차이를 알 수 있었으며 색도에서 명도는 맥아가 74.44로 가장 어둡게 나타났고 반대로 적색도는 맥아가 9.26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황색도 또한 맥아가 33.46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찹쌀이 10.98로 가장 낮게 나타났다. 유기산은 맥아, 차조 그리고 현미는 acetic acid>succinic acid>malic acid>citric acid>pyroglutamic acid, 옥수수와 감자는 citric acid>succinic acid>acetic acid>malic acid>pyroglutamic acid, 콩은 succinic acid>citric acid>acetic acid>malic acid>pyroglutamic acid, 찹쌀과 멥쌀은 succinic acid>acetic acid>citric acid>malic acid> pyroglutamic acid 순으로 나타났고 유리당은 모든 술에서 glucose>fructose>maltose 순으로 나타났다. 묘사분석 결과 찹쌀과 멥쌀은 전반적인 관능특성에서 단 향, 과일 향, 상쾌한 향이 높은 특성을 나타내어 유사한 관능특성을 보였고 반면 콩, 차조, 감자는 누룩 향, 구수한 향, 황색도가 강한 특성을 나타냈으며 옥수수는 전반적으로 각 특성이 강하지 않고 중간 정도 수준을 나타냈다. 전체적인 기호도는 현미와 옥수수가 6.0으로 가장 높았고 다음으로 찹쌀과 차조순서로 나타났으며 우리나라 전통주의 기본원료인 멥쌀과 이화학적 특성을 비교한 결과 기호도가 높게 나타난 옥수수와 현미가 첨가된 술의 아미노산도가 0.19-0.21$\pm$0.03%로 나타나 멥쌀 0.27$\pm$0.01%보다 0.07% 낮게 나타났고 유기산에서 acetic acid 함량이 옥수수는 1.06$\pm$0.35 mg/mL인데 반해 멥쌀은 2.97$\pm$0.50 mg/mL로 높게 나타났으며 유리당에서 fructose 함량이 멥쌀은 0.14$\pm$0.11 mg/mL인데 반해 옥수수와 현미는 0.34, 0.35$\pm$0.05 mg/mL로 0.2 mg/mL 정도 높게 나타난 것을 알 수 있었다.

다양한 소재가 첨가된 누룽지의 이화학 특성 분석 (Analysis of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Nurungji Added with Various Materials)

  • 김명기;조석철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10권2호
    • /
    • pp.102-108
    • /
    • 2020
  • 지속적으로 감소하는 쌀 소비량을 해결하기 위해 쌀을 주원료로 하며 식사대용식은 물론 스낵으로도 제공될 수 있는 누룽지 제품의 다양성을 확보하고자 기능성을 보유한 7종의 천연 소재를 첨가하여 기호도와 상품성을 증가시킬 수 있는 누룽지를 제조하고 이화학적 특성을 분석하였다. 물 결합력은 흑임자를 첨가한 누룽지에서 264.13%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경도는 갈색거저리를 첨가한 누룽지에서 0.36 N으로 가장 낮은 값을 보였다. 환원당 함량은 단호박을 첨가한 누룽지를 30분 침지하였을 때 1.47%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다양한 소재를 첨가한 누룽지의 2,2-diphenyl-1-picryl-hydrazyl 유리라디칼 소거활성을 측정한 결과 단호박과 비트 첨가 누룽지에서 높은 소거능을 보였다. 관능평가 결과 전체적 기호도는 흑임자 첨가 누룽지에서 4.3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여러 소재가 첨가된 누룽지의 이화학적 특성 분석과 관능평가 결과 다양한 식품으로서의 적용이 가능한 것을 확인하였다.

Characterization of Cooked Meat Models using Grasshopper (Sphenarium purpurascens) Soluble Protein Extracted by Alkalisation and Ultrasound as Meat-Extender

  • Cruz-Lopez, Salvador Osvaldo;Escalona-Buendia, Hector Bernardo;Roman-Guerrero, Angelica;Dominguez-Soberanes, Julieta;Alvarez-Cisneros, Yenizey Merit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42권3호
    • /
    • pp.536-555
    • /
    • 2022
  • The most abundant Orthoptera in Mexico is a small grasshopper (Sphenarium purpurascens) which is considered a food source with increased nutritional value due to its high protein content. Insect proteins have gained relevance because of their high potential as gelling, texturing, and extender agents in the food industry.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effect of substituting meat with a soluble protein extract from grasshopper obtained by alkalisation or alkalisation-piezoelectric ultrasound, on the techno-functional, physicochemical, and sensory characteristics of cooked meat models (sausages). The soluble protein was extracted in NaHCO3 pH 8 and a piezoelectric ultrasound 5-mm sonotrode at 20 kHz with 99% amplitude. Different formulations with meat substitution: 0%, 5%, 10%, and 15% were prepared and characterised for their rheological behaviour, emulsion stability, weight loss by cooking, total protein content, colour, and texture. Sensory evaluation was conducted with consumers using a test involving check-all-that-apply and overall liking. The alkalisation-piezoelectric ultrasound method improved the solubility and the techno-functional properties of the soluble grasshopper protein when applied in sausages at maximum levels of 10% meat substitution. The sensory evaluation indicated that the formulation with 5% meat substitution exhibited the same acceptability as the control sample. Given these results, the soluble protein treated with alkalisation and piezoelectric ultrasound could be used as an extender in meat products.

식초기반 샐러드 드레싱용 다시마 식초 제조 및 이화학적 특성 (Preparation and Physicochemical Characterization of Sea Tangle Vinegar for Utilization as Vinegar-Based Salad Dressing)

  • 한아름;서정희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33권3호
    • /
    • pp.300-306
    • /
    • 2017
  • Purpose: This study aimed to prepare sea tangle vinegar and test its applicability as a vinegar-based functional salad dressing in terms of physicochemical properties. Methods: Sea tangle vinegar was prepared by mixing sea tangle with sugar and vinegar and fermenting the mixture at room temperature for 3 months. The resulting sea tangle vinegar was examined for its physicochemical properties and antioxidant activity with brewed vinegar and persimmon vinegar as controls. Results: The sea tangle vinegar showed significantly higher viscosity than control vinegars, and shear thinning behavior that is typical for salad dressing containing polymers. In addition, storage modulus (G′) of sea tangle vinegar was relatively high in dynamic viscosity measurement while that of control vinegars remained negligible. Together with the high soluble solids content of sea tangle vinegar, rheological behavior indicates that sea tangle vinegar had soluble polysaccharides extracted from sea tangle, consequently leading to an increase in viscosity. Titratable acidity (TA) and pH were 2.52% and 3.58, respectively, which satisfies the TA and pH requirements for microbiological safety of a salad dressing. Absorbance at 285 nm and Folin Ciocalteu's reagent method revealed that sea tangle vinegar contained antioxidative phenolic compounds. Conclusion: This study demonstrates that sea tangle vinegar could be potentially developed as a vinegar-based functional salad dressing when combined with sensory evaluation in the future.

멘톨, 치몰, 유칼립톨, 메틸살리실레이트를 함유하는 구강청결용 과립의 제조와 특성 연구 (Preparation and physicochemical characterization of mouthwash granules containing menthol, thymol, eucalyptol and Methyl salicylate)

  • 김동욱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8권12호
    • /
    • pp.329-334
    • /
    • 2017
  • 본 논문은 새로운 과립형태의 구강청결제 개발에 있어 동등한 항균력을 가지면서 고형상에서 주성분간의 공융혼합물 생성에 따른 과립의 흐름성 부족을 개선하기 위해 과립의 표면을 흡착시키는 Magnesium aluminometasilicate (Neusilin)이라는 물질을 활용하여 흐름성을 개선하고 부가적으로 구강에서의 붕해시간 및 잔물감이 적은 특성을 가지는 새로운 과립형태의 구강청결제를 제조하였다. 제조된 과립의 흐름성, 밀도, 건조감량 등의 과립특성에 대한 확인을 통해 Neusilin의 양이 전체 과립양 대비 10%이상이 투입되었을 경우 과립의 특성이 개선되는 결과를 확인하였다. 또한 인공타액에서의 붕해시험 및 사람의 구강에서 붕해시간과 잔여물시험 등의 관능시험을 진행하여 보다 개선된 붕해특성 및 관능시험 결과를 확인할 수 있었으며 항균시험을 통해서 이미 시장에서 판매중인 액제형 구강청결제와 동등한 항균력을 보여주는 것으로 확인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제조된 과립형태의 구강청결제 조성물은 공융혼합물로서 유사한 특성을 가지는 서로 다른 약물을 동시에 함유하는 의약품의 개발에 활용될 수 있어 제약산업의 의약품 개발에서 유용할 것으로 사료된다.

활성건조효모를 이용한 오미자 발효주의 이화학 및 관능 특성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and Sensory Properties of Omija Wines Fermented by Active Dry Yeast Strains)

  • 이시형;박혜경;김명희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2권6호
    • /
    • pp.739-742
    • /
    • 2010
  • 오미자주 양조에 있어서 중요한 효모 발효의 최적화를 위하여 시중에서 판매되고 있는 다양한 활성건조효모 8종(Lalvin 1116, Lalvin 1118, Lalvin D-47, Lalvin Bourgovin, Parisienne, Fermivin, Red Star Monrachet, Red Star Premier Cuvee)을 선정하여 오미자주의 이화학 및 관능특성을 연구한 결과, pH 및 산도는 각각 3.0-3.3, 1.8-2.4%였으며, 당도는 발효초기 $24^{\circ}Bx$에서 24일 후 $8.4-10.2^{\circ}Bx$이었다. 활성건조효모 8종을 이용하여 제조한 오미자주의 알코올 함량은 10.8-13.0%로 나타났으며 Lalvin D-47과 Red Star Premier Cuvee로 제조한 오미자 발효주의 알코올 함량(13.0%)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효모수는 Lalvin 1118로 제조한 오미자 발효주가 5.8 log CFU/mL로 가장 낮게 나타났고, 7종의 효모수는 7.0-7.7 log CFU/mL로 비슷하게 나타났다. 색도는 효모의 종류에 따라 L, a, b 값에 모두 변화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Lalvin 1118을 사용한 오미자 발효주의 맛에 대한 기호도는 6.75로 가장 높았으며, 활성건조효모 8종을 이용한 오미자 발효주의 향과 색의 기호도는 각각 4.90-5.75, 5.25-6.05로 5% 수준에서 유의적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고, Lalvin 1118을 사용한 오미자 발효주의 목넘김은 6.65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위의 결과를 바탕으로, Lalvin 1118을 사용한 오미자 발효주는 알코올 함량(12.0%), 맛($6.75{\pm}1.68$), 목넘김($6.65{\pm}1.50$), 종합적 기호도($6.70{\pm}1.34$)에서 우수한 관능적 특성과 과실주로서의 적절한 알코올 함량을 나타냈으므로 Lalvin 1118은 오미자주 발효에 가장 적합한 것으로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