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hysical treatments

검색결과 1,043건 처리시간 0.029초

스트레스 음파 처리에 따른 아메리카잎굴파리(Liriomyza trifolii)의 생리 변화와 프로테오믹 분석 (Effects of Sound Stress on Physiological Processes of the American Leafminer, Liriomyza trifolii, and Proteomic Analysis)

  • 박정아;;김용균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50권2호
    • /
    • pp.131-139
    • /
    • 2011
  • 본 연구는 음파 처리에 따른 아메리카잎굴파리(Liriomyza trifolii)의 생리 변화를 발육 시기별로 분석하였다. 유충의 섭식량은 섭식을 통해 형성된 잎 내부 갱도의 길이로 분석했다. 이때 5,000 Hz (95 dB)의 음파 처리는 섭식 행동을 크게 둔화시켰다. 이러한 스트레스 음파는 또한 용발육에 영향을 주어 315 - 5,000 Hz 음파 범위에서 발육 지연 효과를 나타냈고, 1,000 - 5,000 Hz 음파 범위에서 우화를 억제하였다. 스트레스 음파는 암컷의 산란 행동을 억제시켰으나 성충의 주광성 행동에는 영향을 주지 않았다. 스트레스 음파(5,000 Hz, 95 dB)를 받은 용은 이차원 전기영동 분석 결과 단백질 발현 양상에서 무처리구와 뚜렷한 차이를 보였다. 특정 단백질에 대한 MALDI-TOF 분석 결과는 trafficking protein particle complex I, triosephosphate isomerase, hypothetical protein TcasGA2_TC013388, polycystin-2, paraneoplastic neuronal antigen MA1 및 tropomyosin I (isoform M)의 단백질들이 무처리구에서 발견되고, 음파 처리구에서는 소멸되었다. 반면에 DOCK9, cytoskeletal keratin II 및 $F_0F_1$-ATP synthase beta subunit은 스트레스 음파 처리에 따라 새롭게 나타나는 단백질로 판명되었다. 이러한 스트레스 음파는 아메리카잎굴파리의 살충제에 대한 감수성을 크게 증가시켰다. 이상의 결과는 아메리카잎굴파리의 생리 과정을 교란하는 스트레스 음파가 작용한다는 것을 제시하고 있다. 또한 본 연구는 이러한 스트레스 음파를 이용하여 아메리카잎굴파리에 대한 새로운 물리적 해충 방제 기술 개발 가능성을 제시하고 있다.

쌀의 전처리 과정을 달리하고 해당화로 가향한 탁주의 발효특성 비교 (Comparison of Takju Characteristics Manufactured using Rosa rugosa Thunb. and Two Different Pre-treatments of Rice)

  • 한우철;이재철;손은화;남궁승;이제혁;유진현;장기효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21권4호
    • /
    • pp.514-519
    • /
    • 2011
  • 해당화 150 g을 각각 증자법과 무증자법으로 처리한 쌀 3,000 g에 첨가하여 막걸리를 제조하였다. 이때 스타터균으로 누룩(150 g)과 효모(60 g)를 사용하여 $25^{\circ}C$에서 14일 동안 발효하였다. 무증자법으로 제조한 막걸리는 당도 $13.0^{\circ}$Bx, pH 4.3, 에탄올 농도 11.8%였으며, 증자법으로 제조한 막걸리는 당도 $14.0^{\circ}$Bx, pH 4.6, 에탄올 농도 14.4%였다. 최종 막걸리의 유산과 초산 함량은 무증자법으로 제조한 막걸리에서 유의적으로 높게(p<0.05) 나타났다. 또한, 아미노산 분석에서는 무증자법으로 제조한 막걸리에서 ${\gamma}$-amino-n-butyric acid 함량이 증가하여 생리 기능성이 향상된 결과를 보였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 결과는 쌀의 전처리 공정이 막걸리의 맛과 기능성에 큰 영향을 준다는 것을 보여준다.

RBM 처리된 임플란트 표면의 인공치태 제거 효과 연구 (COMPARATIVE STUDY OF REMOVAL EFFECT ON ARTIFICIAL PLAQUE FROM RBM TREATED IMPLANT)

  • 박재완;국민석;박홍주;;최충호;홍석진;오희균
    • Maxillofacial Plastic and Reconstructive Surgery
    • /
    • 제29권4호
    • /
    • pp.309-320
    • /
    • 2007
  • Purpose: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removal effect on artificial plaque from RBM treated implant surfaces that are exposed due to peri-implantitis. Materials and methods: Artificial plaque with Streptococcus mutans and acquired pellicle adhered to RBM treated implant discs. Study materials divided into one control and six test groups. In test groups, physical and chemical methods used to remove plaques. Prophyflex, Professional Mechanical Tooth Cleaning (PMTC) and interdental brush as mechanical treatments and 0.1% Chlorhexidine, Citric acid, HCl tetracycline as a chemical treatment were used. To analyses the study, disc weight was measured for remaining plaque quantities and SEM(Scanning Electronic Microscope) findings was taken for evaluation of surfaces. Results: 1. In weight changes,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each treatment group and the control group (p<0.05). Therefore all treatment methods using this study have good ability for remove plaques. 2. In weight change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mechanical and chemical group, and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each groups (p>0.05). 3. SEM findings after mechanical treatment disclosed as follows; Prophyflex group looked like sound implant surface, and there were some paste on implant surface at PMTC group, and there were some artificial plaque at interdental brush group. 4. SEM findings after chemical treatment disclosed as follows; there were some dark lesions which were supposed as the product from Streptococcus mutans at Chlorhexidine, Citric acid and HCl tetracycline groups. Conclusion: All six methods using in this study have good ability to remove artificial plaque on RBM treated implant. According to SEM findings, prophyflex is a superior method for removing of dental plaque among test groups.

The Anti-calcification Effect of Dithiobispropionimidate, Carbodiimide and Ultraviolet Irradiation Cross-linking Compared to Glutaraldehyde in Rabbit Implantation Models

  • Park, Samina;Kim, Soo Hwan;Lim, Hong-Gook;Lim, Cheong;Kim, Yong Jin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46권1호
    • /
    • pp.1-13
    • /
    • 2013
  • Background: Glutaraldehyde (GA) is a widely used cross-linking agent for improving mechanical properties and resistance to enzymatic degradation of collagenous tissue, but it has several drawbacks such as calcification and cytotoxicity.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find the alternative effective cross-linking methods to GA. Materials and Methods: Bovine pericardium was processed with GA with ethanol+octanol and glycine detoxification, and polyethylene glycol (PG) space filler, dimethyl 3,3'-dithiobispropionimidate (DTBP), 1-ethyl-3-(3-dimethylaminopropyl) carbodiimide (EDC) treatment, and the physical fixation of ultraviolet irradiation were done. The biologic material properties of variously treated pericardial tissues were assessed by biochemical, mechanical and histological tests. Treated pericardial tissues were also implanted subcutaneously or intramuscularly into the rabbit for 10 weeks to assess the xenoreactive antibody response of immunoglobulin G and M, their anti-calcification effect. Results: The biochemical and mechanical properties of EDC fixed pericardial tissues were comparable to the GA fixed tissue. The cytotoxicity was lowest in space filler treated GA fixed group. In rabbit subcutaneous or intramuscular implantation models, decellularization, space filler, EDC treatment group showed significantly lower calcium content than GA only and DTBP treatment group (p<0.05, analysis of variance). The titer of anti $Gal{\alpha}1-3Gal{\beta}1$-4GlcNAc-R antibodies did not change in the postimplantation serial enzyme-linked immunosorbent assay. Hematoxylin and eosin and von Kossa staining showed that decellularization, space filler, EDC, and ultraviolet treatment had less inflammatory cell infiltration and calcium deposits. Conclusion: The decellularization process, PG filler, and EDC treatments are good alternative cross-linking methods compared to GA only fixation and primary amine of DTBP treatment for cardiovascular xenograft preservation in terms of the collagen cross-linking stability and in vivo anti-calcification effects.

우리나라 우점(優占) 잡초종(雜草種)의 휴면(休眠)에 관한 생리(生理) 생태학적(生態學的) 연구(硏究) (Physiological and Ecological Studies on the Seed Dormancy of Dominant Weed Species in Korea)

  • 강병화;심상인;이상각;신현원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12권2호
    • /
    • pp.193-207
    • /
    • 1993
  • 잡초종자(雜草種子)의 휴면(休眠)은 불량(不良)한 외부환경(環境)에 대한 방어(防禦) 기작으로 잡초(雜草)의 불균일(不均一)한 발아(發芽)를 유도하여 잡초방제(雜草防除)의 어려움을 초래하므로 잡초(雜草)의 휴면(休眠)에 대한 연구(硏究)는 제초제(除草劑)의 사용면에서도 중요하다. 잡초(雜草)의 휴면(休眠)은 종(種)에 따라 여러가지 다른 원인이 작용한다. 잡초(雜草)의 휴면(休眠)의 원인을 밝히기 위하여 여러가지 휴면타파처리(休眠打破處理)를 실시한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1. 우리나라의 주요잡초(主要雜草)에 속하는 54종(種) 중 20종(種)의 잡초(雜草)가 휴면(休眠)이 있는것으로 나타났으며, 화본과(禾本科)와 마디풀과(科)에 속하는 것이 많았다. 2. 여러가지 물리적(物理的), 화학적(化學的) 처리(處理)에 대한 휴면종(休眠種)들의 반응은 서로 상리(相異)하게 나타났으나 층적처리(層積處理)에 의하여 휴면(休眠)의 타파(打破)가 가장 크게 일어났다. 3. 대부분의 경우 항온(恒溫) 보다는 변온조건(變溫條件)이 휴면타파(休眠打破)에 효과적이었으며, 변온(變溫)은 발아(發芽)촉진에 있어서 다른처리(處理)와의 상승작용(上昇作用)을 나타냈다. 4. ${\alpha}-amylase$와 가용성(可溶性) 단백질함양(蛋白質含量)은 휴면종자(休眠種子)의 발아률(發芽率)이 증가함에 따라 높아지는 경향이었다.

  • PDF

The Effects of Raw and Physical Processed Common Vetch Seed (Vicia sativa) on Laying Performance, Egg Quality, Metabolic Parameters and Liver Histopatology of Laying Hens

  • Kaya, Hatice;Celebi, S.;Macit, M.;Geyikoglu, F.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24권10호
    • /
    • pp.1425-1434
    • /
    • 2011
  • This experiment was designed to evaluate the effects of the processing method of common vetch seed (CVS) (Vicia sativa) on laying performance, egg quality, metabolic parameters and liver histopatology during the peak production period in hens. Lohman layers, 46 wk of age in 6 replicate cages each containing 4 hens, were allocated randomly to one of four dietary treatments. Diets were control (C) diet containing no common vetch and experimental diets containing 25% raw common vetch (RCV), 25% soaked in water for 72 h with exchange of water every 24 h (SCV) and 25% soaked&boiled at $100^{\circ}C$ for 30 minute common vetch (SBCV). Inclusion of RCV into the diet deteriorated all laying performance variables. SCV did not alleviate the adverse effect of raw common vetch on feed intake, egg weight, feed conversion, final weight and weight change. SCV partially alleviated egg production (p<0.001). SBCV diminished the adverse effect on feed intake, egg weight, feed conversion, final weight and weight change compared to raw vicia sativa (p<0.001). No significant difference was detected between SBCV and the control group in terms of egg production, feed conversion, final weight and weight change. Regardless of the processing method, all the common vetch groups had lower shell strength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Haugh units did differ between all groups (p<0.001). Inclusion of RCV and SCV into the basal diet decreased triglyceride, cholesterol, total protein and serum glucose concentrations (p<0.001). Hovewer, inclusion of SBCV into the basal diet increased these parameters. Liver samples were stained with Hematoxylin and eosin (HE) and evaluated by light microscopy. A biopsy of native liver tissue was used as a control. No histopathologic finding was present in the control group. Raw V. sativa compared with the control caused lipid accumulations in hepatocytes, severe congestion of hepatic blood vessels, inflammation, increased numbers of Kupffer cells and sinusoidal dilatations. Whereas, the livers from groups given treated V. sativa showed only different degrees of sinusoidal dilatations. Findings from the present study point out the risk of increased hepatic damage due to use of raw Vicia sativa. Increasing treatment of V. sativa lead to a decrease of liver damages. Inclusion of raw and soaked vetch seeds in rations affected adversely all parameters examined in laying hens. But alleviation was observed when soaked and boiled vetch seeds (SBCV) were fed. The results of these experiments indicated that soaked&boiled Vicia sativa seeds may safely be used at a 25% level in rations of laying hens.

폴리카보네이트 필름 표면 처리가 증착 SiOx 베리어층 접착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Surface Treatment of Polycarbonate Film on the Adhesion Characteristic of Deposited SiOx Barrier Layer)

  • 김관훈;황희남;김양국;강호종
    • 폴리머
    • /
    • 제37권3호
    • /
    • pp.373-378
    • /
    • 2013
  • 폴리카보네이트(PC) 필름을 유연기판으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SiO_x$ 증착에 의한 베리어 특성 개선이 필요하며 이때 베리어 층과 PC 계면 접착력이 매우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언더 코팅, UV/$O_3$ 및 저온 플라즈마와 같은 다양한 표면 처리 방법에 의하여 PC 필름 표면을 개질하여 표면의 물리적 화학적 변화가 증착된 베리어 층 계면 접착력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표면 처리 전의 PC 필름은 표면 거칠기 및 표면 에너지가 매우 낮아 $SiO_x$ 베리어 층과의 접착력이 현저히 떨어짐을 알 수 있었다. PC 필름을 저온 플라즈마로 표면 처리한 결과, 표면의 거칠기 증가와 극성 관능기 생성에 의하여 극성 표면 에너지가 향상되는 반면 UV/$O_3$ 처리의 경우, 표면 거칠기 변화 없이 표면에 생성된 극성 관능기에 의해 극성 표면 에너지가 증가됨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표면의 변화는 베리어층과 PC 기판의 계면 접착력 증가에 기여함을 알 수 있었다. 표면 처리 방법으로 언더 코팅을 사용하는 경우 표면에 에너지를 가하지 않아도 코팅제의 아크릴산과 $SiO_x$의 접착력 향상에 의하여 PC 필름과의 계면 접착력이 증가되며 유무기 하이브리드 다층 구조에 의한 베리어 특성 개선이 함께 일어남을 알 수 있었다.

무기물처리 목재의 기초물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Basic Properties of Wood Impregnated with Inorganic Compounds)

  • 김건형;오태경;이원희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34권4호
    • /
    • pp.15-21
    • /
    • 2006
  • 본 연구는 목재에 무기물인 규산나트륨과 붕산, 인산을 단독 또는 혼합 침지처리하여 시험편의 중량증가율 및 수축률, 흡습성과 휨강도와 압축강도 및 경도의 기계적 성질을 측정하였다. 또한, $300^{\circ}C{\sim}500^{\circ}C$의 온도에서 시험편을 탄화시킨 후, 중량손실을 측정하여 무기물 처리재의 내열성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1) 물유리 침지 주입 시 중량증가율은 처리온도보다는 농도에 더 큰 영향을 받았으며, 물유리와 붕산 및 인산의 혼합처리가 단독처리에 비해 높은 중량증가율을 나타내었다. 2) 무기물 처리재의 수축율은 물유리처리를 제외하고는 무처리재보다 낮은 수축율 값을 나타내었으며, 흡습성 실험 결과 물유리나 인산이 포함된 경우에 높은 흡습성을 나타내었다. 3) 기계적 성질에 있어 휨강도는 대부분의 무기물처리재가 무처리재보다 낮은 값을 보였으나, 압축강도와 표면경도는 물유리나 붕산이 처리된 시험편의 경우 무처리재와 비슷하거나 보다 높은 값을 나타내었다. 4) 무기물 처리재를 $300^{\circ}C{\sim}500^{\circ}C$에서 탄화시킨 결과, 중량손실율의 약 50~70% 정도를 나타내어 무처리재보다 우수한 내열성을 나타내었다. 특히, $400^{\circ}C$까지의 온도에서는 시험편의 형태가 그대로 유지되었다.

불소를 첨가한 10% Carbamide Peroxide의 법랑질표면 변화와 미백효과 (Effect of Fluoridated 10% Carbamide Peroxide on Enamel Surface Change and Whitening)

  • 이혜진;김현대;김민영;권태엽;김교한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10권2호
    • /
    • pp.95-100
    • /
    • 2010
  • 본 연구는 자가 미백제로 많이 사용되고 있는 10% Carbamide Peroxide에 NaF를 첨가하여 사용하였으며 미백 후 인공적으로 변색시킨 법랑질의 색, 경도 및 표면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관찰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10% CP 미백처리군과 10% CP+NaF 미백처리군의 색조변화량은 미백 후 색조 변화를 보였으며 통계적으로도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으며 NBS unit로 환산해본 결과 미백처리군 모두 very much에 해당되어 임상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나타났다(p<0.001). 2. 10% CP 미백처리군은 미백처리 후의 법랑질 표면경도 값이 미백처리 전에 비해 감소하였으며 통계적으로도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불소첨가 미백군은 미백처리 전과 비교하여 표면경도 값이 거의 변하지않았다. 3. 미백처리 전 후의 법랑질 표면에 대한 미세구조를 분석하기 위해 주사전자현미경과 원자현미경으로 관찰한 결과 미백처리 후 탈회현상에 의해 법랑질 표면이 거칠어짐을 관찰 할 수 있었으며 미백제와 함께 불소를 적용한 처리 군에서는 미백 처리에 의해 거칠어진 법랑질 표면이 불소에 의해 재광화가 됨을 관찰 할 수 있었다. 이상의 결과를 미루어볼 때 10% CP 치아 미백은 법랑질 표면에 영향을 미쳐 미백 후 치아의 시림이나 표면의 형태변화, 경도 값의 감소 등과 같은 부작용을 야기 할 수 있으므로 불소를 포함한 미백제의 사용이나 치아미백 후 불소도포를 시행함으로써 법랑질 표면의 재광화를 유도하여 치아미백 후 발생할 수 있는 여러 부작용을 감소시킬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Comet assay를 이용한 방사선 조사육의 판별 (Discrimination of Irradiated Beef Using Comet Assay)

  • 정석규;박종흠;지승택;박금주;김해홍;현창기;신현길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2권4호
    • /
    • pp.747-754
    • /
    • 2000
  • Comet assay를 이용하여 방사선 조사육의 조사여부 및 조사량을 판별해내는 방법을 개발하기 위해 1-10 kGy의 감마선 조사량으로 조사한 육조직에서 일어나는 DNA 손상을 측정하였다. Comet assay에 있어 최적의 comet image를 얻기 위해 세포 분리, 세포 lysis 및 전기영동에 대한 여러 조건들을 적용하여 최적의 조건을 확립하였다. DNA 손상도는 관찰되는 comet의 평균 tail length와 tail length에 의해 구분된 4 손상 등급에의 분포, 그리고 그 분포비율에 의해 본 연구에서 제시한 식에 의해 계산한 relative damage index(RDI) 값 등으로 비교 판정하였다. 평균 tail length와 RDI 값은 조사량이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여 DNA 손상도가 증가됨을 나타내었으며, 평균 tail length으로는 조사량 간의 차이를 명확히 분별하기가 어려웠던 반면 RDI 값에 의하면 조사여부 및 조사량을 판별하기에 적합함을 알 수 있었다. 국내산 한우육과 수입 냉장육에 대하여 blind test를 실시한 결과 수입육이 높은 DNA 손상도를 나타내었는데 그 RDI 값은 방사선 조사에 의한 값보다는 비교적 낮은 것이어서 수입육의 DNA 손상은 방사선 조사가 아닌 저온처리의 결과인 것으로 판단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로부터 Comet assay가 우육의 방사선 조사여부 및 조사량 판별에 유용한 기술로 응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