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hysical and chemistry properties

검색결과 769건 처리시간 0.026초

유청(乳淸)과 대두 단백질(蛋白質)의 공동침전(共同沈殿) 특성(特性) (Coprecipitation Characteristics of Cheese Whey and Soybean Proteins)

  • 위재준;이형주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26권4호
    • /
    • pp.199-204
    • /
    • 1983
  • 대두(大豆) 단백질에의 함유황(含硫黃) 아미노산 강화원(强化源)으로서 유청(乳淸)단백질을 사용하기 위한 목적으로 유청과 두유(豆乳)의 혼합물로부터 응고물을 만들고 유청(乳淸) 및 대두(大豆) 단백질의 공동침전 최적조건과 특성을 조사하였다. 유청과 두유는 1:1 부피비로 혼합한 다음 응고제인 $CaCl_2$의 농도를 $0.005{\sim}0.5M$, pH$1.5{\sim}8.0$, 온도를 $60{\sim}100^{\circ}C$로 조정하여 응고시키고 이 때 얻어지는 커드 여액(濾液)의 흡광도가 가장 낮은 조건을 결정하였다. 공동침전 최적조건은 여액의 흡광도가 낮고 그 때 얻어지는 커드의 조직감이 좋은 때로 하였다. 공동침전 최적조건은 $CaCl_2$농도 0.0125M, pH$6.5{\sim}7.5$, 온도 $70{\sim}80^{\circ}C$로 나타났다.

  • PDF

4',5'-디히드로소랄렌과 테트라메틸에틸렌의 광고리화 첨가반응에 관한 연구 (Photocycloaddition Reaction of 4',5'-Dihydropsoralen to Tetramethylethylene)

  • 심상철;고종성
    • 대한화학회지
    • /
    • 제26권3호
    • /
    • pp.172-178
    • /
    • 1982
  • 4',5'-디히드로소랄렌(DHP)을 합성하여 상온 및 77K에서 이 화합물의 형광 양자수율은 0.08, 인광양자수율은 0.013, 형광수명은 0.95ns, 인광수명은 0.039s 임을 알았다. 이 결과로부터 형광수명은 5,7-디메톡시쿠마린보다 작은반면 소랄렌보다 크고 반면 인광수명은 DMC 보다 크고 소랄렌보다 작음을 알았다. 소랄렌 유도체들의 광독성을 분자적 차원에서 규명하고 DNA에의 광부가 반응을 알아내기 위하여 DHP와 TME의 광부가 반응을 연구하였다. 주 생성물은 TLC로 분석하고 Preparative TLC와 용매추출로 분리해냈다. 분리된 생성물의 구조는 질량분석기, UV, IR, NMR 그리고 원소분석결과에 의해 DHP와 TME외 광고리화첨가반응에 의한 생성물 임을 알았다. DHP는 형광의 자체소광 효과를 볼 수 없으며 TME, 에틸푸마레이트, 푸마로니트릴에 의해 형광이 효과적으로 소광된다. 광부가 반응의 양자수율과 소광실험에서 DHP의 광첨가반응은 단일상태와 삼중상태에서 다 일어나는 것으로 추측된다.

  • PDF

도정수율별(搗精收率別) 보리의 수화공정중(水和工程中) 물성변화(物性變和)에 관(關)한 연구(硏究) (The Changes of Physical Properties of Barley Grain at Various Polishing Yields during Hydration Process)

  • 목철균;남영중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26권1호
    • /
    • pp.47-52
    • /
    • 1983
  • 세도하다까의 도정수율별 곡립분포(穀粒分布)와 수화중(水和中)의 부피 및 곡립경도변화(穀粒硬度變化)를 온도별(溫度別)로 조사하여 속도론적(速度論的)으로 해석(解析)하였다. 보리곡립(穀粒)은 도정됨에 따라 장경(長徑)과 단경(短徑)이 모두 직선적(直線的)으로 감소하였으며 감소율(減少率)은 장경(長徑)의 경우가 컸다. 도정한 보리의 수화시(水和時) 부피증가는 수화시간의 멱수(冪數)로 표시될 수 있었으며 도정하지 않은 보리의 경우는 불연속적으로 증가하였다. 수화중(水和中) 보리곡립(穀粒)의 경도변화(硬度變化)는 1차반응에 속하였으며 반응속도상수는 도정수율이 감소할수록 증가하였다. 온도별 반응속도상수는 Arrhenius방정식에 의거하여 변화하였으며 활성화에너지는 도정한 보리의 경우 $5.1{\sim}7.8Kcal/mole$, 도정하지 않은 보리의 경우 13.3Kcal/mole이었다.

  • PDF

폴리카보네이트 판 위에 (3-glycidoxypropyl)trimethoxysilane과 Colloidal Silica의 졸-겔 반응을 이용한 하드 코팅 (Hard Coatings on Polycarbonate Plate by Sol-Gel Reactions of (3-glycidoxypropyl)trimethoxysilane and Colloidal Silica)

  • 김주연;오미혜;윤여성;신재섭
    • 접착 및 계면
    • /
    • 제8권2호
    • /
    • pp.1-8
    • /
    • 2007
  • 자동차의 유리를 폴리카보네이트로 대체하기 위하여 폴리카보네이트 판 위에 하드 코팅을 시도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3-glycidoxypropyl)trimethoxysilane (GPTMS), colloidal silica (CS), (3-aminopropyl) triethoxysilane (APS)으로부터 졸-겔 과정을 이용하여 코팅을 형성하였는데, 이 때 가장 우수한 물성을 갖는 조건들을 찾아보았다. GPTMS와 CS를 에탄올 용매 안에서 가수분해 시킨 후에, APS를 첨가하여 코팅 액을 제조하고 이 코팅 액을 가지고 폴리카보네이트 판 위에 코팅을 실시하였다. 제조된 코팅 액으로부터 경도 2H의 투명하고 고른 면을 갖는 코팅 막을 형성할 수 있었으며, 형성된 코팅 막은 매우 우수한 내마모성과 접착력을 나타내었다.

  • PDF

PAN-PVDF-PEGME Blend계 고분자전해질의 전기화학적 특성 (The Electrochemical Properties of PAN-PVDF-PEGME Blend Polymer Electrolyte System)

  • 류광선;이계중;류광경;강성구;장순호
    • 대한화학회지
    • /
    • 제43권2호
    • /
    • pp.199-205
    • /
    • 1999
  • PAN-PVDF-PEGME 블랜드(blend)계의 고분자전해질을 만들어 전기화학적인 특성을 조사하였으며 PEGME의 첨가에 따른 물성변화를 측정하였다. PEGME가 첨가되면서 PVDF의 결정성은 감소하고, 이온 전도도는 대부분 $∼10^{-3}S/cm$의 이온전도도를 나타내므로 고분자전해질로 사용이 가능하다. 또한 이온전도도의 온도의존성으로부터 PEGME의 첨가양이 증가할수록 효과적으로 높은 이온전도도를 갖는 통로가 생겨 이온전도도가 증가하는 것으로 예상할 수 있다. SPE 2(10 wt% PEGME)에서 가장 큰 양이온 수율을 나타내고 있으며 PEGME의 양이 증가할 수록 감소하는 것을 알 수 있다. PEGME를 첨가하지 않은 SPE 1(PAN-PVDF계) 고분자전해질의 전기화학적으로 안정한 영역은 ∼4.3 V인 반면에 PEGME를 첨가한 SPE 2-4(PAN-PVDF-PEGME계) 고분자전해질은 ∼4.6 V까지 전기화학적으로 안정한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이 고분자전해질을 사용하여 전지를 구성하여 충방전 성능을 비교하여 보면 PEGME를 첨가함에 따라 방전 용량이 증가함을 알 수 있다. 즉 PEGME를 첨가함에 따라 이온전도도가 증대되며, 전기화학적으로 안정한 영역이 넓어질뿐만 아니라 전지구성시 방전 성능도 향상됨을 알 수 있다.

  • PDF

생체적합성과 생분해성을 갖는 키틴유도체의 합성 및 물성 III -에스테르 키틴 유도체의 합성과 용해 특성- (Synthesis and Physical Properties of Biocompatible and Biodegradable Chitin Derivatives III. -Synthesis and Solubility of Ester Chitin Derivatives-)

  • 김선정;이영무;성용길;강인규;박영훈
    • 공업화학
    • /
    • 제4권4호
    • /
    • pp.785-790
    • /
    • 1993
  • 키틴의 글루코오스 단위에 메탄술폰산 존재하에서 아세트산 무수물, 프로피온산 무수물과 n-부틸산 무수물을 반응시켜 아세틸 키틴(AC), 프로피오닐 키틴(PC) 그리고 n-부티릴 키틴(BC) 등의 에스테르 형태를 갖는 개질화 키틴을 합성하였고 이들의 구조를 FT-IR과 solid state CP/MAS $^{13}C-NMR$ spectra로 확인하였다. 에스테르 형태의 키틴유도체는 대체로 키틴의 글루코오스 단위의 6번 탄소위치에 치환되었다. 유도체를 유기용매와 수용성 약산 유기용매에서 용해성을 검토하여 포름산에서 세 가지 유도체 모두 좋은 용해성을 나타냈고, 수용성 약산에서는 대부분의 유도체는 팽윤되는 것을 고찰할 수 있었다.

  • PDF

수용성 규산나트륨의 물리 · 화학적 특성 (Physical and Chemical Properties of Soluble Sodium Silicate)

  • 하윤식;박경일;서무룡
    • 대한화학회지
    • /
    • 제43권2호
    • /
    • pp.172-181
    • /
    • 1999
  • 수용성 규산나트륨 빌더를 개발하기 위하여 물유리와 수산화나륨을 적정비율로 혼합한 후 메탄올에 분산시켜 $SiO_2/Na_2O$의 몰 비율이 2.4∼2.8인 무정형 규산나트륨 고체분말을 제조하였다. 이때 규산나트륨의 $SiO_2/Na_2O$의 몰비, 용해도, thermogram, SEM, BET 등을 통하여 그 물리적 특성을 조사하였으며 빌더로서의 기본적인 특성을 규명하기 위해 $SiO_2/Na_2O$의 몰비가 1.0, 2.4, 2.8인 규산나트륨 빌더와 제올라이트를 사용하여 pH 유지능력, 온도에 따른 칼슘이온 결합능, 계면활성제 흡착능 등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수용성 규산나트륨 화합물이 세제용빌더로서 가져야할 특성인 pH 유지능력 및 용해도에 있어서 제올라이트 보다 우수한 성능을 나타냈으나 칼슘이온 결합능 및 계면활성제 흡착능은 낮게 나타났으며, 규산나트륨의 $SiO_2/Na_2O$의 비율이 증가할수록 pH 유지능력과 이온교환능력은 감소하지만 계면활성제 흡착능력은 다소 증가함을 알 수 있었다.

  • PDF

Characteristics of (Sr1-xBax)NdFe3+1-τFe4+τO4-y System Heat-treated in Air

  • Lee, Eun-Seok;Hag, Jang-Chun
    • Transactions on Electrical and Electronic Materials
    • /
    • 제13권1호
    • /
    • pp.39-42
    • /
    • 2012
  • To study the physical and chemical properties, solid solutions of $(Sr_{1-x}Ba_x)NdFe{^{3+}}_{1-\tau}Fe{^{4+}}_{\tau}O_{4-y}$ system with x=0.0(SBN-0), 0.1(SBN-1), 0.2(SBN-2) and 0.3(SBN-3) were synthesized in air at 1,473 K and annealed in air at 1,073 K for 24 h. X-ray powder diffraction assured that the four samples had tetragonal symmetries (I4/mmm). Their lattice volumes increased gradually with x values. Nonstoichiometric chemical formulas were formulated using the data such as $\tau$(amount of $Fe^{4+}$ ion) and y(oxygen deficiency) values using Mohr salt analysis. It was found out that all the four samples had excessive oxygen (4-y>4.0). All the samples started to lose some of their oxygen at around 613K(TG/DTA thermal analysis). They exhibited semiconductivities in the temperature range of around 283-1173K. All the four specimens had sufficient tensile strength to endure the force of 19.6 N (2 kg of weights) and the conductivity values of the ECIAs which were painted on pieces of glass with the area of $150mm^2$ ($10mm{\times}15mm$) and it was in the order of ECIA-0${\rightarrow}$ECIA-1${\rightarrow}$ECIA-2${\rightarrow}$ECIA-3 at a constant temperature.

신재생 에너지로서 DME 기술개발 현황 (Current Status and Technical Development for Di-Methyl Ether as a New and Renewable Energy)

  • 조원준;김승수
    • 공업화학
    • /
    • 제20권4호
    • /
    • pp.355-362
    • /
    • 2009
  • 석유를 기반으로 한 연료는 가까운 미래에 고갈될 것이다. 디메틸에테르(Di-methyl Ether, DME)는 청정에너지이며 천연가스,석탄 및 바이오매스 등으로 생산이 가능하다.DME는 분자구조 내에 탄소-탄소 결합이 없는 함산소 연료로 연소시 그을음과 황산화물을 발생하지 않으며, 물리적 특성이 액화석유가스(Liquified Petroleum Gas, LPG)와 매우 유사하여 LPG 유통인프라를 그대로 활용할 수 있다. DME는 세탄값이 55~60 정도로 높아 디젤 자동차용 연료로도 활용이 가능하다.차세대 청정연료로 혹은 차세대 화학공업 원료물질로 전력생산,디젤 연료, 가정용 연료 및 연료전지 등에 사용이 가능하다.본 총설에서는DME의 특성, 표준화, 국내외의 기술개발현황, 대체연료로서의 활용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PE계 불균질 양이온 교환막의 제조와 특성 : 2. 후처리에 따른 특성 변화 (Preparation and Characteristics of Heterogeneous Cation Exchange Membrane : 2. Characteristics Change on Post-treatment)

  • 양현수;조병하;김웅기;이창소
    • 공업화학
    • /
    • 제8권1호
    • /
    • pp.67-75
    • /
    • 1997
  • LLDPE와 미분말 상태인 강산성 양이온 교환 수지를 사용하여 압출기를 통해 막상으로 성형한 후 증류수와 NaCl 포화 수용액상에서 후처리하여 불균질 양이온 교환막을 제조하고 특성화하였다. 증류수 및 NaCl 포화 수용액 중에서 후처리를 통하여 양이온 교환 수지 입자가 함수, 팽윤되어 폴리에틸렌과 이온 교환 수지 사이에 cavity가 발생하며 동시에 양이온 교환 수지의 팽윤 압력에 의해 결합제에 큰 힘이 작용하기 때문에 폴리에틸렌에 micro-crack이 생성되므로 전기 화학적, 물리적 특성 값이 향상되었다. 또한 후처리 시간 30분과 후처리 온도 $90^{\circ}C$에서 최적의 조건을 갖는 우수한 불균질 양이온 교환막이 제조되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