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hysical activity levels

검색결과 543건 처리시간 0.032초

Evaluation of in vitro anti-oxidant and anti-inflammatory activities of Korean and Chinese Lonicera caerulea

  • Lee, You-Suk;Cho, Il Je;Kim, Joo Wan;Lee, Sun-Kyoung;Ku, Sae Kwang;Lee, Hae-Jeung
    • Nutrition Research and Practice
    • /
    • 제12권6호
    • /
    • pp.486-493
    • /
    • 2018
  • BACKGROUND/OBJECTIVE: The honeysuckle berry (HB) contains ascorbic acid and phenolic components, especially anthocyanins, flavonoids, and low-molecular-weight phenolic acids. In order to examine the potential of HB as a hepatoprotective medicinal food, we evaluated the in vitro anti-oxidant and anti-inflammatory activities of Korean HB (HBK) and Chinese HB (HBC). MATERIALS/METHODS: Antioxidant and anti-inflammatory effects of the extracts were examined in HepG2 and RAW 264.7 cells, respectively. The anti-oxidant capacity was determined by DPPH, SOD, CAT, and ARE luciferase activities. The production of nitric oxide (NO) as an inflammatory marker was also evaluated. The Nrf2-mediated mRNA levels of heme oxygenase-1 (HO-1), NAD(P)H dehydrogenase [quinone] 1 (Nqo1), and glutamate-cysteine ligase catalytic subunit (Gclc) were measured. The concentrations of HB extracts used were 3, 10, 30, 100, and $300{\mu}g/mL$. RESULTS: The radical scavenging activity of all HB extracts increased in a concentration-dependent manner (P < 0.01 or P < 0.05). SOD (P < 0.05) and CAT (P < 0.01) activities were increased by treatment with $300{\mu}g/mL$ of each HB extract, when compared to those in the control. NO production was observed in cells pretreated with 100 or $300{\mu}g/mL$ of HBC and HBK (P < 0.01). Treatment with $300{\mu}g/mL$ of HBC significantly increased Nqo1 (P < 0.01) and Gclc (P < 0.05) mRNA levels compared to those in the control. Treatment with $300{\mu}g/mL$ of HBK (P < 0.05) and HBC (P < 0.01) also significantly increased the HO-1 mRNA level compared to that in the control. CONCLUSIONS: Thus, the Korean and Chinese HBs were found to possess favorable in vitro anti-oxidant and anti-inflammatory activities. Nrf2 and its related anti-oxidant genes were associated with both anti-oxidant and anti-inflammatory activities in HB-treated cells. Further studies are needed to confirm these in vivo effects.

노년기 취업이 우울에 미치는 종단적 영향의 성차 (The Gender Difference in the Longitudinal Effect of Employment on Depressive Symptoms among Older Adults)

  • 전혜정;김명용
    • 한국노년학
    • /
    • 제34권2호
    • /
    • pp.315-331
    • /
    • 2014
  • 본 연구에서는 고령화의 심화로 생산적 노화 및 성공적 노화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음에 주목하여 노년기 취업이 우울에 미치는 종단적 영향과 그 성별 차이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본 연구는 한국고령화연구패널조사(Korean Longitudinal Study of Ageing: KLoSA)의 2차년도(2008년)와 3차년도(2010년) 자료를 활용하여 2차년도에 만 60세 이상이었던 노인을 대상으로 시차효과모델(lagged effect model)을 적용하여 사회인구학적 변수와 더불어 2차년도의 우울 수준을 통제한 후 2차년도의 취업이 3차년도의 우울 수준에 미치는 영향력, 그리고 2차와 3차년도의 지속적 취업이 3차년도의 우울 수준에 미치는 영향력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첫째, 전체 노인을 대상으로 한 분석에서는 2차년도 취업이 3차년도 우울에 종단적으로 영향을 미친다는 증거가 발견되지 않았다. 그러나 다집단분석(multi-group analyses)를 통해 취업 효과의 성차를 분석한 결과, 노년기 취업이 우울에 미치는 종단적 영향은 노인의 성별에 따라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남성 노인의 경우에는 2차년도 취업이 3차년도 우울을 낮추는 효과가 있었지만, 여성 노인의 경우에는 이러한 취업의 긍정적 효과가 발견되지 않았다. 둘째, 지속적 취업의 경우 전체 노인을 대상으로 한 분석에서 2차와 3차에 걸친 지속적 취업은 3차년도 우울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대한 성차를 분석한 결과 2차와 3차의 지속적 취업은 남성 노인의 우울에만 바람직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여성 노인의 경우에는 지속적 취업과 우울 간의 유의미한 관계가 발견되지 않았다. 이는 임금노동에의 참여 기회 및 노동의 조건에 있어 노년기에도 지속되는 성별에 따른 사회적 불평등을 반영하는 결과라고 해석할 수 있다. 이러한 결과는 노년기 취업이 노인 자신에게 미치는 영향은 노인이 처한 사회적 맥락에 따라 차이가 있을 수 있음을 보여주는 것으로, 성공적 노화의 구성 요소를 규명하고자 하는 연구에서 개인적 특성에 대한 고려와 더불어 노인 개인이 처한 사회적 맥락에 대한 고려가 함께 이루어져야 함을 시사한다.

코로나19 전후 남자청년의 우울, 건강 관련 습관, 식습관 및 영양소 섭취량의 변화 -2018년, 2020년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 분석- (Depression, Health-Related Habits, Eating Habits, and Nutrient Intake of Male Youth Before and After the Outbreak of the COVID-19 Pandemic -Analysis of the 2018 and 2020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 박경애
    • 대한영양사협회학술지
    • /
    • 제29권4호
    • /
    • pp.211-229
    • /
    • 2023
  • This study analyzed the differences in the general characteristics, mental and health-related factors, eating habits, and nutrient intake of Korean male youths before and after the outbreak of the coronavirus disease 2019 (COVID-19). The data of a total of 1,231 subjects, from among the participants in the 2018 and 2020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 were analyzed. The 2020 group had fewer married members than the 2018 group. The subjects in the 2020 group weighed more (P<0.05), had a higher waist circumference (P<0.01), and showed greater weight gain (P<0.05) than the 2018 group subjects. The aerobic physical activity of the 2020 group was lower (P<0.01) compared to the 2018 group. The members of the 2020 group had higher depression scores (P<0.01), suicidal tendencies (P<0.01), and need for counseling for mental problems (P<0.05) than those of the 2018 group. The prevalence of high fasting blood sugar levels and diabetes was higher in the 2020 group compared to the 2018 group. The frequency of breakfast (P<0.01) and dining out (P<0.001) and the proportion of breakfast (P<0.01) and dinner (P<0.05) taken with the family or non-family members was lower in the 2020 group than in the 2018 group. The rate of dietary supplement intake of the 2020 group was higher than that of the 2018 group (P<0.01).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protein (P<0.05), riboflavin (P<0.01), and carbohydrate (P<0.01) intakes between the two groups. These results suggest that male youths had a higher waist circumference and high levels of depression, and showed a decrease in frequency of breakfast intake and dining out after the out break COVID-19 pandemic. Therefore, nutrition and health promotion programs are urgently needed to improve mental health, other health-related factors and nutritional status of male adults that are associated with the COVID-19 pandemic.

자립생활 패러다임에 따른 장애인의 사회통합에 관한 연구 : 생애주기를 중심으로 (A Study on Social Integration of Person With Disabilities based on Independent Living Paradigm : Life Span)

  • 박수경
    • 한국사회복지학
    • /
    • 제58권1호
    • /
    • pp.237-264
    • /
    • 2006
  • 최근 장애 정의에 있어 환경적인 요인이 중요한 비중을 차지하게 됨에 따라 새로운 패러다임에 근거 한 사회통합 논의의 필요성이 대두하게 되었다. 한편 장애문제를 비장애인과 마찬가지로 장애의 경험에 국한되지 않고 총체적인 삶의 경험에 초점을 맞추어야 한다는 생애주기별 접근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생애주기별로 자립생활 패러다임에 따른 사회통합 수준을 측정하고 영향요인에 대해 분석함으로써 질적 측면에서 정책적, 실천적 함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자립생활 패러다임에 따른 사회통합의 하위차원은 일상생활 자율성, 물리적 접근성, 사회적 지지의 적절성, 경제적 안정정도, 선택권, 심리적 임파워먼트의 6개 차원으로 구분하였다. 조사대상자는 서울과 경기지역에 거주하는 지체 및 뇌병변장애인 591명이며, 전화설문조사방법을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생애주기별로 사회통합의 하위차원에 따라 다른 특성을 보였고 사회통합의 각 차원별로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상이하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얻을 수 있는 중요한 함의는 사회통합의 증진을 위한 장애정책의 방향은 생애주기별로 차별화 되어야 하며 장애인의 일상 활동이나 접근성의 향상뿐만 아니라 선택권이나 심리적 임파워먼트의 증진을 위한 노력이 병행될 필요가 있다는 것이다.

  • PDF

반하(半夏)가 스트레스로 인한 생쥐의 뇌조직 유전자변화에 미치는 영향 연구 (Genome Wide Expression Analysis of the Effect of Pinelliae Rhizoma Extract on Psychological Stress)

  • 정종효;조수인;송영길;김하나;김경옥
    • 동의신경정신과학회지
    • /
    • 제26권1호
    • /
    • pp.63-78
    • /
    • 2015
  • Objectives: Pinelliae Rhizoma has traditionally been used as an anti-depressant in oriental medicine.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Pinelliae Rhizoma extract (PRe) on psychological stress in genome wild expression of mice. Methods: After giving physical stress to mice, PRe was orally administered with 100 mg/kg/day for five days. After extracting whole brain tissue from the mice, their genome changes were observed by micorarray analysis method. The genome changes were analyzed by IMAGENE 4.0, TREEVIEW, FatiGo algorithems, BOND database, cytoscape program, etc. Results: 1. PRe administered group were remained at normal level; 60% of increase was shown in expressed genes by physical stress, and 65% of decrease was shown in expressed genes by psychological stress. 2. Genes with increased expression in control group that remained at a normal state in PRe administered group were involved with the gene of a cellular metabolic process on biological process, protein binding on molecular function, and cell part on cell composition. The pathway was found to be cytokin-cytokin receptor interaction. 3. Genes with decreased expression in control group that remained at a normal state in PRe administered group were involved with the gene of a cellular metabolic process on biologiacl detail and coupled ATPaes activity on molecular function. This gene related path was Ubiquintin mediated proteolysis etc. 4. Core node genes analyzed by protein interaction network were Vinculin, Cell sdivision cycle 42 homolog (S. cerevisiae) etc. They played an important role in maintaining cytoskeleton and controlling cell cycle. Conclusions: Several genes were up-regulated and down-regulated in response to psychological stress. The expression of most of the genes that were altered in response to psychological stress was restored to normal levels in PRe treated mice. When the interaction network information was analyzed, the recovery of the core node genes in PRe treated mice indicates that this final set of genes may be the effective target of PRe.

노인 장기요양보험급여 이용자들의 삶의 질과 신체적 및 정신적 기능과의 관련성 (Quality of Life and Its Association with Physical and Mental Function in the Elderly People Affiliated with Long-term Care Insurance Services)

  • 김형선;박재영;권인선;조영채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1권10호
    • /
    • pp.3808-3819
    • /
    • 2010
  • 본 연구는 장기요양보험 인정자로 판정받은 노인들의 삶의 질 수준을 알아보고,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관련요인들을 규명해 보고자 시도하였다. 조사대상은 65세 이상 노인 중 2008년 7월부터 실시된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에 의해 장기요양인정자로 판정받은 노인 958명(1등급 305명, 2등급 323명, 3등급 330명)으로 하였으며, 조사는 2009년 3월 1일부터 5월 31일까지의 기간 동안에 표준화된 무기명식 면접조사용 설문지를 사용하여 면접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전체 조사대상자의 삶의 질 평균점수는 $55.4{\pm}15.62$점이었으며, 장기요양등급별로는 1등급이 $49.7{\pm}14.17$점, 2등급이 $56.8{\pm}14.62$점, 3등급이 $59.4{\pm}16.36$점으로 등급이 높을수록 삶의 질 점수는 유의하게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노인들의 장기요양등급별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를 알아보기 위해 다중 회귀분석을 실시 한 결과에서는 교육정도, 월수입, 주관적 건강상태, 우울 및 인지기능장애가 1, 2, 3등급에서 공통으로 유의하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45~62%로 비교적 높은 설명력을 보였다.

재가 뇌졸중환자의 일상생활활동, 자기효능감, 삶의 질, 자조관리프로그램요구도와의 관계에 관한 연구 (A Correlational Study on Activities of Daily Living, Self-efficacy, Stroke Specific Qualify of Life and Need for Self-help Management Programs for Patients with Hemiplegia at Home)

  • 김금순
    • 기본간호학회지
    • /
    • 제8권1호
    • /
    • pp.81-94
    • /
    • 2001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levels of activity of daily living, self-efficacy. stroke specific quality of life and need for self-help management program for patients with hemiplegia in the home. Data were collected from June to November, 2000 and subjects were 88 poststroke patients who lived in Seoul and Kyunggi-do. The questionnaire consisted of 5 scales: activities of daily living, self-efficacy, stroke specific qulaity of life and need for a self-help management program. Data were analyzed using frequencies, percent, paired t-test, and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with the SAS(version 6.12) program. The results are as follows ; 1) Most of subjects were Partially independent in ADL, but they needed assist once to do dressing, bathing meal preparation and house keeping work. 2) The mean self-efficacy score was 54.89(range : 1 to 80) and the individual differences were large. 3) Subjects responded that they were satisfied on the stroke specific quality of life scale totaled 65.8%. This value is comparatively low, especially for social role(51.4%), family functioning(58.3%) and mood (62.2%). 4) The highest needs for self-help management programs were for physical therapy, stress management, and range of motion exercise and the lowest needs were for elimination management and training, family counseling, and speech therapy. 5) On the demographic variables, sex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for the dependent variables. Females had higher scores than males for IADL, self-efficacy, stroke-specific quality of life, and need for self-help management. 6) Age had high negative correlation with ADL, self-efficacy and stroke specific quality of life. Age was also correlated with need for self-help management. In conclusion, there was a high correlation for ADL, Self-efficacy and Quality of life in poststroke patients of home. The patient with a stroke also had a strong need for self-help management programs especially physical therapy and stress management. Therefore rehabilitation programs based on self-efficacy enhancement need to be developed in order to promote independent living for patients with hemiplegia.

  • PDF

KI-180과 KI-188 칼슘조성물이 어린쥐의 성장발육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the KI-180 and KI-188 Calcium Formulae on the Growth and Development of Rats)

  • 박승만;성기승;이종석;이옥환;한찬규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6권3호
    • /
    • pp.358-363
    • /
    • 2014
  • 본 연구에서는 KI-188 칼슘과 KI-180 조성물이 성장발육에 미치는 효과를 조사하였다. 시험기간중 KI-188 칼슘과 KI-180 식이군이 대조군 보다 성장률과 평균 식이섭취량은 증가하였다. 체장은 KI-188 칼슘과 KI-180 식이군이 대조군에 비해 평균 3.55 mm 더 길었고, 등뼈길이는 KI-180 식이군이 대조군 보다 통계적인 차이는 없었지만 0.5 mm 더 길었다. 대퇴골 무게는 KI-188 칼슘과 KI-180 식이군이 대조군에 비해 통계적으로 무거웠으며, 대퇴골길이는 대조군에 비해 각각 평균 0.89, 1.09 mm 더 길었다. 혈당, 총콜레스테롤 및 중성지방 농도는 차이가 없었고, 칼슘농도는 KI-188 칼슘과 KI-180 식이군 보다 대조군이 유의하게 높았다. 백혈구와 혈소판수는 차이가 없었고, 적혈구, 혈색소 및 헤마토크릿치는 대조군이 KI-188 칼슘과 KI-180 식이군 보다 통계적으로 높았다. ALP활성은 KI-180 식이군이 대조군 보다 통계적으로 높았고, osteocalcin농도는 KI-188 칼슘과 KI-180 식이군이 대조군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았다. 혈청 testosterone 농도는 KI-188 칼슘과 KI-180 식이군과 대조군 간에 차이가 없었다. IGF-1과 IGFBP-3 농도는 KI-180 조성물이 대조군 보다 각각 20%, 11% 정도 유의하게 더 높았다. 이상의 결과를 검토할 때 KI-188 칼슘과 KI-180 조성물은 어린쥐의 성장과 골격의 발달을 촉진시키고, 성장호르몬의 분비능을 양적으로 유도하여 전반적인 성장발육에 유효한 작용이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일부 도시지역 노인들의 주관적 건강상태와 관련 요인 (Factors Associated with Self-rated Health Status for the Elderlies in Urban Areas)

  • 이후연;백종태;조영채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7권10호
    • /
    • pp.569-581
    • /
    • 2016
  • 본 연구는 일부 도시지역 노인들의 주관적인 건강상태를 알아보고 그의 관련 요인을 명확하게 밝히려는 목적으로 실시하였다. 조사대상은 D광역시에서 5년 이상 거주하고 있는 65세 이상 노인 390명으로 하였다. 자료 수집은 2016년 6월부터 8월에 구조화된 무기명식 면접조사용 설문지를 사용하여 면접조사를 실시하였다. 자료의 분석은 각 독립변수에 따른 주관적인 건강상태의 분포를 알아보고, unconditional logistic model을 이용하여 각 독립변수마다 건강군에 대한 비건강군의 교차비(Odds Ratio)와 95% 신뢰구간을 구하였다. 연구결과, 조사대상 노인의 주관적 건강상태의 분포는 건강군이 67.2%, 비건강군이 32.8%이었다. 로지스틱 회귀분석 결과 신체적인 부자유스러움과 IADL의 저하가 주관적 건강상태의 악화와 가장 큰 관련성이 있었다. 또한, 직업이 없고, 생활비를 정부로부터 보조받으며, 친척과의 접촉빈도가 낮고, 불안감이 있고, 주관적인 수면의 질이 낮고, 일상생활에 만족하지 못하는 군에서 주관적 건강감이 낮은 것을 알 수 있었다. 위와 같은 결과는 도시지역 노인들의 주관적인 건강상태에는 개인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이나 신체적인 건강상태뿐만 아니라 주변의 사회적 지지나 사회 심리적 요인이 관여하고 있음을 시사한다.

솔잎 발효액이 식빵의 품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Fermentation Pine Needle Extract on the Quality of Plain Bread)

  • 최동만;이동선;정순경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4권2호
    • /
    • pp.154-159
    • /
    • 2007
  • 식빵을 제조할 때 솔잎의 당 발효액을 설탕 대용으로 사용하면서 솔잎의 기능성을 제빵에 이용하고자 솔잎발효 액을 첨가하여 반죽에 대한 물성을 측정하고, 빵을 제조 후 실온에 저장하면서 제품의 품질 변화를 보았다. farinogram에 의한 반죽의 물성 평가에서 반죽에 대한 안정성과 혼합 내구성에서 설탕을 함유한 반죽보다 솔잎발효 액을 첨가한 처리구가 우수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또한 반죽의 발효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pH에서도 솔잎발효액 첨가 구에서 효모의 활성이 왕성할 수 있는 pH조건인 pH 5.4-5.8사이로 유지되었다. 반죽의 경도 역시 높지 않아 발효 중 가스 보지력에 영향을 줄 수 있는 반죽의 신장성이 우수함을 확인하였다. 제품의 부피와 비용적에 있어서도 대조구에 비교해서 솔잎발효 액의 함량이 많을수록 부피와 비용적이 각각 크고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식빵의 저장 중 가장 중요하게 여기는 노화현상의 정도를 확인하기 위하여 저장중의 경도 변화를 측정한 결과에서는 대조구보다 처리구에서 노화가 억제됨을 확인할 수 있었고, 솔잎발효 액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노화가 지연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미생물 변화에 있어서도 총균수 및 곰팡이 균수에서 솔잎의 기능성인 항균력으로 인해 솔잎발효액의 처리구에서 미생물 생육이 억제됨을 확인하였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볼 때 솔잎발효액을 첨가함으로써 빵 반죽은 물론 완제품에 대해서 긍정적인 영향을 줌으로써 제빵의 품질은 물론 저장성뿐만 아니라 안전성 측면에서도 많은 기여를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