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hotosynthesis rate

검색결과 462건 처리시간 0.04초

인위적인 토양산성화에 대한 사방오리나무와 물오리나무 묘목의 생리반응 및 생장특성 (Physiological Responses and Growth Performance of Alnus firma and Alnus hirsuta Seedlings to Artificial Soil Acidification)

  • 최동수;토다 히로토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15권5호
    • /
    • pp.145-153
    • /
    • 2012
  • To obtain basic information for evaluating resistance of soil acidification for growth, net photosynthesis, $N_2$ fixation rate and nutrient status of Alnus firma and Alnus hirsuta seedlings grown in brown forest soil acidified with $H_2SO_4$ or $HNO_3$ solution were investigated (control (pH=5.9), LN (pH=5.0; Low levels of Nitric acid), HN (pH=4.0; High levels of Nitric acid), LS (pH=5.0; Low levels of Sulfuric acid), and HS (pH=4.0; High levels of Sulfuric acid)). The shoot dry weight of Alnus firma and Alnus hirsuta and the root dry weight of Alnus hirsuta seedlings grown in the HN, LS and HS were significantly less than that of the seedlings grown in the control. The Chlorophyll a/b ratio in leaves of Alnus firma at LN, LS and HS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that of control. The concentration of N in leaves of Alnus hirsuta at HS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control. The net photosynthetic rate of Alnus firma and Alnus hirsuta seedlings at LN and HN was higher than that of control. Based on the results, we concluded that the negative effects of soil acidification due to sulfate deposition are greater than those of soil acidification due to nitrate deposition on growth, net photosynthesis and $N_2$ fixation rate of Alnus firma more than Alnus hirsuta.

광질처리에 따른 벼 유묘 출현, 생육 및 광합성 (Effect of Light Quality on Seedling Emergence, Growth and Photosynthesis of Rice)

  • 김영광;강진호;전병삼;최진용;김종수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48권6호
    • /
    • pp.460-464
    • /
    • 2003
  • 본 연구는 벼 종자의 파종 후 발아, 유묘출현 및 생육 초기에 가하여지는 광질처리가 유묘 출현, 생장, 형태, 엽록소 함량 및 광합성율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여 벼의 육묘에 이용되고 있는 부직포의 색상을 전환할 필요가 있는가를 검토하고자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파종 직후에 가하여지는 광질처리에서 유묘출현율은 조사일 모두 일미벼에서는 광질처리간 차이가 없었다. 그러나 동진벼와 대산벼에서는 원적색광 처리에서 가장 낮았으며, 청색광과 적색광간에는 차이가 거의 없었다. 2. 파종 직후에 가하여지는 광질처리로 인하여 원적색광 처리에서 초장과 엽장이 가장 짧았던 반면, 적색광은 뿌리수를 증대시켰다. 3. 파종 직후에 가하여지는 광질처리로부터 지상부 건물중은 청색광 처리에서, 뿌리의 건물중은 적색광 처리에서 가장 많았던 반면, 지상부 및 뿌리 건물중 모두 원적색광에서 가장 적었다. 4. 엽록소 함량과 광합성율 모두 품종간에는 일정한 경향이 없었으나, 광질처리에서는 이들 모두 적색광에서 가장 높고, 청색광, 원적색광 순으로 감소하였다.

차광조건에서 더덕의 광합성속도에 미치는 주요 요인 (Main Factors affecting on Photosynthesis under shading condition of Codonopsis lanceolata Trautv.)

  • 이충열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10권5호
    • /
    • pp.409-414
    • /
    • 2002
  • 차광처리의 약광상태에서 더덕의 광합성속도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인을 구명하여 물질생산에 관한 생리생태적 반응을 위한 기초 자료로 삼고자 본 실험을 수행하였던 바, 몇 가지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차광처리한 더덕의 엽위별 광합성속도는 처리 후 44일째에 뚜렷히 증가하였으며, 그 증가 정도는 상위엽보다 하위엽에서 현저하였다. 2. 광합성속도와 비엽면적은 부(負)의 1차회귀직선 상태를 보여 차광하에서 잎이 얇아지는 경향이었으며 광합성속도와 기공전도도, 기공전도도와 SPAD는 모두 정(正)의 상관관계가 인정되었다. 3. 광합성속도를 종속변수로 하고 비엽면적(SLA), SPAD, 기공전도도, 수분퍼텐셜을 독립변수로 하여 중회귀분석을 한 결과, 4요인에 대해서는 중사관계수가 $r=0.848^{**}$로 나타났으며 기공전도도의 표준편회귀계수가 가장 높아 광합성속도에 가장 영향이 컸으며 그 다음으로 SLA, SPAD 및 수분퍼텐셜의 순이었다.

상대습도가 황금배(pyrus pyrifolia Nakai cv.) 동녹발생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Relative Humidity on Russet Occurrence in Whangkeumbae Pear (Pyrus pyrifolia Nakai cv,))

  • 조일환;우영회;최장전;한점화;서흥수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11권1호
    • /
    • pp.1-4
    • /
    • 2002
  • '황금배' 동녹발생이 해에 따라 큰 차이를 보이는 것은 강우가 크게 관여하기 때문인 바 본 연구에서는 강우와 동녹발생과의 관계를 구명하기 위하여 인위적으로 가습처리를 하여 높은 상대습도와의 관계를 구명하였다. 높은 상대습도는 기공저항을 적게 하였다. 따라서 순수동화산물의 축적이 과실의 비대를 촉진하여 가습처리에서 평균 과중이 크게 나타났다 광합성속도에는 처리간의 차이가 없었다. 동녹 발생시기는 과중과 과실표면적의 신장속도가 가장 빠른 시기인 7월 25일 전후이며, 높은 상대습도가 과실의 신장을 촉진하였으므로 가습처리에서 동녹발생이 많았다. 7월 하순은 과실의 칼슘농도변화가 큰 시기로서 세포벽 구성에 주요한 물질인 칼슘량의 저하가 동녹발생과 상관이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강우에 의한 높은 상대습도가 동녹발생에 미치는 영향은 높은 상대습도에 의해 순수광합성물질의 많아지고 이에 따라 과실신장이 빨라지나 과실세포의 신장을 위해 전류되는 동화산물량과 이동되는 수분 포함한 무기성분량의 일시적 불균형이 큰 이유 중의 하나라고 생각된다.

복분자딸기(Rubus coreanus)의 수관 층위별 광합성 특성과 잎 및 과실 특성 (Characteristics of Photosynthesis, Leaf and Fruit by Crown Layer in Rubus coreanus Miq.)

  • 한진규;김세현;정헌관;장용석;조윤진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95권3호
    • /
    • pp.328-333
    • /
    • 2006
  • 복분자딸기(Rubus coreanus Miq.)의 수관 층위별 광합성 특성과 잎 및 과실 특성을 조사하기 위하여 국립산림과학원 산림유잔자원부 구내에 조성된 복분자딸기 클론보존원에서 선발된 세 클론을 대상으로 각각의 특성을 조사하였다. 수관층위별 광합성 특성에서 광보상점은 상 중 하층이 각각 PPFD 33, 20, $5{\mu}mol\;m^{-2}S^{-1}$로 나타났으며, 층위별 광포화점은 상 중 하층이 각각 PPFD 1000, 500, $200{\mu}mol\;m^{-2}S^{-1}$ 에서 각각 8.52, 5.25, $3.60{\mu}mol\;CO_2\;m^{-2}S^{-1}$ 의 광합성 속도를 나타냈다. 클론별로는 덩굴형인 의령 7호가 상층에서 가장 우수한 광합성 능력을 보였으며 직립형인 송계 6호는 덩굴형의 두 클론과 비교해 하층에서 낮은 광합성 능력을 나타냈는데 이는 각 클론의 수형 특성에 따른 영향으로 사료된다. 층위별 엽록소 함량은 세 클론 모두 중층에서 가장 많은 양을 나타냈고 상층에서 가장 적은 엽록소 함량을 나타냈다. 잎의 특성에서는 층위가 높을수록 엽장, 엽폭, 정소엽길이, 정소엽폭 및 엽면적 항목이 낮은 값을 나타내 층위별 광합성 능력과 상반되는 경향을 보인 반면, 잎 특성의 단위면적당 건중량과 과실 특성의 종경, 횡경 및 입중 항목은 층위가 높을수록 큰 값을 나타내 층위별 광합성 능력과 유사한 경향을 나타냈으며 과실의 당도는 중층에서 가장 큰 값을 나타냈다.

Hydrogen Peroxide 처리가 여름철 시설오이의 수분 스트레스, 광합성, 내서성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 of Hydrogen Peroxide Treatment on Water Stress, Photosynthesis and Thermotolerance of Cucumber(Cucumis sativus) in Greenhouse Cultivation during Summer)

  • 우영회;김형준;김태영;김기덕;허윤찬;전희;조일환;남윤일;고관달;이관호;홍규현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15권1호
    • /
    • pp.47-52
    • /
    • 2006
  • This studies were carried out in summer season to increase high temperature tolerance using hydrogen peroxide treatments on cucumber in greenhouse. The water stress of cucumber in greenhouse by the hydrogen peroxide treatments showed as control>250 mM>500 mM treatments in order. The photosynthesis rate of cucumber at $30^{\circ}C$ did not show difference with each hydrogen peroxide treatment in temperature controlled greenhouse. However, the photosynthesis rate of cucumber in the control and hydrogen peroxide treatments at $40^{\circ}C$ was significantly different. The photosynthesis rate of cucumber in combined treatment with 1,000 $mg{\cdot}L^{-1}\;CO_2$ supply and hydrogen peroxide was also higher than control, however, there was no different of photosynthesis in 250 mM and 500 mM treatment. The value of $F_v/F_m$ and $F_m/F_o$ of chlorophyll fluorescent in 500 mM hydrogen peroxide treatment at $40^{\circ}C$ was highest. Also the activity of POD, the antioxidant enzyme, was higher with high hydrogen peroxide concentration than the other treatments. The high temperature limits for growth were $43^{\circ}C$ in the control, $44^{\circ}C$ in the 250 mM and $46^{\circ}C$ in the 500 mM according to analyze chlorophyll fluorescent $F_o$. The high temperature tolerance in cucumber increased approximately $3^{\circ}C$ by the hydrogen peroxide treatments under this experiment conditions.

Photosynthesis Monitoring of Rice using SPAR System to Respond to Climate Change

  • Hyeonsoo Jang;Wan-Gyu Sang;Yun-Ho Lee;Hui-woo Lee;Pyeong Shin;Dae-Uk Kim;Jin-Hui Ryu;Jong-Tag Youn
    • 한국작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작물학회 2022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169-169
    • /
    • 2022
  • Over the past 100 years, the global average temperature has risen by 0.75 ℃. The Korean Peninsula has risen by 1.8 ℃, more than twice the global average. According to the RCP 8.5 scenario, the CO2 concentration in 2100 will be 940 ppm, about twice as high as current. The National Institute of Crop Science(NICS) is using the SPAR (Soil-Plant Atmosphere Research) facility that can precisely control the environment, such as temperature, humidity, and CO2. A Python-based colony photosynthesis algorithm has been developed, and the carbon and nitrogen absorption rate of rice is evaluated by setting climate change conditions. In this experiment, Oryza Sativa cv. Shindongjin were planted at the SPAR facility on June 10 and cultivated according to the standard cultivation method. The temperature and CO2 settings are high temperature and high CO2 (current temperature+4.7℃ temperature+4.7℃·CO2 800ppm), high temperature single condition (current temperature+4.7℃·CO2 400ppm) according to the RCP8.5 scenario, Current climate is set as (current temperature·CO2400ppm). For colony photosynthesis measurement, a LI-820 CO2 sensor was installed in each chamber for setting the CO2 concentration and for measuring photosynthesis, respectively. The colony photosynthetic rate in the booting stage was greatest in a high temperature and CO2 environment, and the higher the nitrogen fertilization level, the higher the colony photosynthetic rate tends to be. The amount of photosynthesis tended to decrease under high temperature. In the high temperature and high CO2 environment, seed yields, the number of an ear, and 1000 seed weights tended to decrease compared to the current climate. The number of an ear also decreased under the high temperature. But yield tended to increase a little bit under the high temperature and high CO2 condition than under the high temperature. In addition, In addition to this study, it seems necessary to comprehensively consider the relationship between colony photosynthetic ability, metabolite reaction, and rice yield according to climate change.

  • PDF

유출입의 원리에 의한 물질대사와 광합성능에 관한 동력학적 연구 (The Sigmoid Kinetics of Mass-action and Photosynthesis based on Influx and Efflux in a Plant Bio-system)

  • 장남기
    •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 /
    • 제1권1호
    • /
    • pp.3-10
    • /
    • 1977
  • The sigmoiod kinetics of mass-action in a biosystem have been studied by theoretical bases on the carrier hypothesis of influx and efflux of substrates. The sigmoid kinetic equations of assimilation and dissimilation rates indicate that each trophicfactor and each bio-factor behave according to the sigmoid kinetic equation and the bell shape case, and all of them are multiplicative. The general sigmoid kinetics of mass-action is given by the equation (30) which is determined by the total of the equation (28) of the assimilation rate and the equation (29) of the dissimilation rate. The sigmoid kinetic model of photosynthesis has been derived from the general equation of the sigmoid kinetics of mass-action.

  • PDF

가평지역(加平地域) 잣나무 풍매차대검정림(風媒差代儉定林)의 가계별(家系別) 생장(生長)과 생리적(生理的) 특성(特性)에 관한 연구(硏究) (A Study on Growth and Physiological Characteristic for Families in Open-pollinated Progeny Test Forest of Pinus koraiensis in Kapyung Site)

  • 정동준;신만용;장용석;전상근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90권1호
    • /
    • pp.124-132
    • /
    • 2001
  • 본 연구는 경기도 가평지역에 조성한 잣나무 차대검정림을 대상으로 가계별 영양생장에 미치는 생리적 특성을 구명하고자 수행하였다. 연구대상지의 18년생 잣나무 차대검정림의 가계별 생장은 평균수고 5.9m, 평균흉고직경은 8.9cm, 평균흉고단면적은 $12.0m^2$, ha당 평균재적은 $46.5m^3$였다. 전체 25개 가계의 생장을 상 중 하로 구분한 결과 가장 우수한 생장을 보인 가계는 20번 가계였으며, 평균적인 생장을 보인 가계는 10번 가계, 그리고 가장 저조한 생장을 보인 가계는 3번 가계로 판명되었다. 이러한 가계별 생장특성은 광도 증가에 따fms 잣나무의 제철별 광합성속도의 변화와 일치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이는 4계절(겨울 봄 여름 가을) 모두 동일한 결과를 보였다. 계절별 광합성 분석결과에 의하면 겨울에서 봄을 지나 여름으로 갈수록 광합성속도가 증가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엽록소 함량도 계절별로 같은 경향을 보였다. 특히 생장이 가장 우수한 20번 가계가 다른 가계들보다도 높은 엽록소 함량을 나타냈으며 엽장(葉長), 침엽의 두께, 동화 기관(同化器官)의 중량 및 기공 수에서도 더 높은 값을 나타내었다. 반면에 수분이용 효율은 모든 계절에서 가장 생장이 저조한 3번 가계가 다른 가계보다 높게 나타나 광합성과는 반대의 경향을 보였으며, 계절별로는 겨울철에서 생장기간인 봄철 및 여름철을 경과하면서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벼 자포니카 및 통일형 품종의 광합성의 일중변화와 생리적 특성 (Physiological Characteristics and Diural Changes of Photosynthesis in Japonica and Tongil Type Rice)

  • 허훈;류경열;양덕조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39권3호
    • /
    • pp.237-244
    • /
    • 1994
  • 우리나라에서 육성 보급하고 있는 대표품종으로 Japonica$\times$Japonica 교잡인 일반형 품종 2품종(추청벼, 화진벼)과 Indica$\times$Japonica 교잡인 통일형 품종 2품종(삼강벼, 칠성벼)을 공시하여 생육시기별로 6회에 걸쳐 광합성 및 호흡 특성과 아울러 광합성의 일중변화와 이와 관련한 특성등을 구명코자 실험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분얼기 동화부위의 배분(엽신중비율)이 일반형 품종에 비하여 통일형품종에서 높은 특성을 보였다. 2. 생육시기별 광합성 능력은 출수기 이전인 8월 1일에서 가장 높았고 호흡에 대한 광합성 효율(Respiration/Photosynthesis)은 7월 25일에서 가장 높았으며 삼강벼와 추청에서 특이하였다. 3. 1일중의 광합성 곡선은 출수기에는 오전 11~12시(1991.8.12~14)에 peak를 보이는 정규곡선을 나타냈으며 출수 2주일 후(9.2~3)에는 동화량의 peak가 13~14시에 있었으며 통일형품종이 일반형 품종에 비하여 높았다. 4. 광합성과 호흡작용의 일중 전환시각은 전품종 공히 표준 일출시각보다 30~60분 늦은 시간에 $CO_2$ 고정이 시작되고 오후에는 표준일몰 시각보다 50~60분 빠른 시점에서 광합성에서 호흡작용으로 전환되는 양상을 보여 주었다. 5. 광합성과 엽록소함량 및 근의 생리적 활력과는대체로 정의 상관이 인정되나 엽의 암호흡은 일정한 경향이 없었다. 6. 통일형인 칠성벼와 삼강벼는 Japonica형인 추청벼나 화진벼에 비하여 수확지수가 현저히 높았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