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hotostimulated luminescence

검색결과 72건 처리시간 0.019초

물리적 방법(PSL, TL)을 이용한 방사선 조사 건조 채소류의 검지 (Detection Characteristics of Irradiated Dried Vegetables by Analyzing Photostimulated Luminescence (PSL) and Thermoluminescence (TL))

  • 김미영;김병근;김교연;;권중호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3권2호
    • /
    • pp.211-215
    • /
    • 2006
  • 각종 가공식품 원료로 사용되고 있는 건조 채소류 중 표고버섯, 시금치, 무청, 미나리, 무, 호박 등 6종에 대하여 1, 4, 7 kGy의 선량으로 감마선을 조사하고, photostimulated luminescence kGy와 thermoluminescence (TL) 등 물리적 분석방법을 이용하여 감마선 조사 여부를 확인하였다. PSL 측정에서 비조사 표고버섯, 시금치, 무청, 미나리, 무 및 호박에서는 각각 $194.0{\pm}223.4,\;695.5{\pm}26.2,\;598.0{\pm}4.2,\;266.5{\pm}9.2,\;503.0{\pm}190.9$$270.5{\pm}245.4$ 수준의 photon count가 측정되어 비조사 시료의 범위(700 이하의 값)에 속하였으며, 1 kGy 이상 조사군에서는 모두 방사선 조사시료의 범위인 5000 이상의 photon count를 나타내었다. 또한 6종의 시료에 대해 TL분석을 실시한 결과, 비조사군의 TL ratio$(TL_1/TL_2)$는 0.021 이하를, 1 kGy 이상 조사군에서는 0.653 이상으로 나타나 본 연구에 사용된 6종의 건조 채소류는 PSL과 TL분석에 의해 조사여부의 검지가 가능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방사선 조사된 수입 참깨, 들깨의 광여기 발광 (Pulsed Photostimulated Luminescence (PPSL) of Irradiated Importation Sesame and Perilla Seeds)

  • 이상덕;우시호;양재승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3권2호
    • /
    • pp.173-177
    • /
    • 2001
  • 본 연구는 PPSL를 이용하여 수입 참깨와 들깨의 방사선 조사여부가 확인이 가능한지를 알아보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측정시간이 증가할수록 photon count도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모든 수입 참깨 및 들깨와 여기에서 분리된 광물질의 photon count는 방사선 조사선량이 증가함에 따라 증가 하는 경향을 보여 주었으나 10 kGy에서는 5 kGy에서와 비슷하거나 약간 높은 photon count를 보였다. 참깨 와 들깨(5 g) 자체와 분리된 광물질(1㎎)로부터 측정된 photon count는 모두가 비슷한 수치를 보여 광물질에서 더 높은 photon count가 발생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참깨, 들깨 자체로 측정된 시험구 보다 분리된 광물질에 대한 시험구에서 더 높은 상관성을 보여 주었다. 따라서 PPSL 측정시 참깨 및 들깨 자체를 사용하거나 분리된 광물질을 사용하여도 조사여부의 확인이 가능하였다.

  • PDF

광자극발광기의 방사선 조사 식품 검지에의 활용 (Application of Photostimulated Luminescence to Detection of Irradiated Foods)

  • 황금택;엄태붕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0권3호
    • /
    • pp.498-501
    • /
    • 1998
  • 광자극발광기(PSL)를 식품의 방사선조사 여부 판별에 적용 가능한지를 검토하기 위하여, 고춧가루, 건조혼합향신료, 새우, 감자, 콩나물콩, 건조 무화과, 생밤, 건조오징어, 건조대구포 등을 $^{60}Co\;{\gamma}-$선을 사용하여 방사선을 조사하고 PSL photon counts를 측정하였다. 비조사 시료의 photon counts는 감자의 경우는 2,000 이하, 그 외의 시료의 경우는 모두 1,000 이하를 나타냈다. 조사 시료는 건조 무화과(0.5 kGy), 생밤(0.2 kGy), 건조오징어(0.5 kGy)를 제외하고는 1,000 이상을 나타냈으며, 조사량에 따라 photon counts가 대부분 증가하였다. 따라서 PSL은 식품을 방사선 조사했는지 여부를 일차 판별하는 데 사용할 수 있음이 확인되었다.

  • PDF

광자극발광법(PSL)에 의한 방사선 조사 건조향신료의 검지 특성 (Analysis of the Detection Characteristics of Irradiated Dried Spices and Herbs by Photostimulated Luminescence (PSL))

  • 박은령;강혜순;안현주;안경아;조수열;김희연;김동술;김도훈;강찬순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2권2호
    • /
    • pp.136-141
    • /
    • 2010
  • 최근 방사선 조사는 식품의 발아억제, 살충, 살균 및 숙도조절을 위한 화학약품 처리 등의 대체방안 뿐만 아니라 식품의 저장 및 가공기술로서 인정받고 있으며, 우리나라를 비롯한 약 40개국에서 상업적인 조사식품을 생산하고 있어 이에 대한 정확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신뢰성 있는 검지기술이 요구되고 있다. 방사선 조사식품 검지법 대상 식품 중 건조향신료 19품목에 방사선 조사 최대 허용선량인 10 kGy까지 $^{60}Co$ 감마선을 단계별로 조사하고 이를 광자극발광법(Photostimulated Luminescence, PSL)을 이용하여 검지특성을 확인하였다. PSL 측정 결과, 건조향신료 19품목 중 14품목은 1 kGy 조사된 시료에서, 1 품목은 5 kGy에서 조사시료(positive)의 threshold value인 5000 이상의 photon count/60 sec로 측정되어 방사선 조사여부의 확인이 가능하였다. 하지만 후추류, 육두구, 계피의 경우는 특이적으로 PSL 측정에 낮은 감도를 보이거나 미네랄 함량이 낮아서 최대 허용선량인 10 kGy 조사시료에서조차 방사선 조사여부의 확인이 불가능하였으며, 이 품목의 경우 열발광분석법(Thermoluminescence, TL) 등을 이용한 방사선 조사여부의 판정이 필요하였다. 또한 식물의 잎을 이용하는 향신료는 비조사 시료와 1 kGy 및 10 kGy 조사시료를 혼합하였을 때, 1 kGy 선량으로 조사된 시료가 1% 혼합된 시료에서도 방사선 조사여부의 확인이 가능하였다.

Photostimulated Luminescence (PSL) 방법에 의한 국내 유통 분말형 식품가공원료의 방사선 조사 여부 모니터링 (Identification of Irradiated Food Additives by Photostimulated Luminescence (PSL) Method)

  • 윤혜정;허정무;양수형;이병헌;권중호;김동호
    • 방사선산업학회지
    • /
    • 제2권1호
    • /
    • pp.27-34
    • /
    • 2008
  • 곡류 및 전분류, 채소 및 과일류, 생선, 육류 및 콩류 및 향신류 등의 시료에 대한 감마선 조사에 의한 검지 특성을 물리적 검지 방법인 photostimulated luminescence (PSL), electron spin resonance (ESR) 및 thermoluminescence (TL) 분석을 통하여 검지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PSL 분석 결과 곡류 및 전분류 시료군 가운데 옥수수 전분, 소맥분과 채소 과일류 시료군의 미역 등의 시료는 비 조사군(negative, ${\leq}700$)으로 판정되었으며, 생선, 육류 및 콩류 시료군의 흰 강낭콩 추출분말 및 향신료 시료군의 칠리 파우더를 포함한 9종의 시료는 감마선 조사군(positive, ${\geq}5000$)으로 판정되었다(전체 시료의 3.2%). 이외에 39종의 시료군에서는 방사선 조사 가능성이 있는 700~5,000 범위의 photon counts (intermediate)를 나타내었다(전체 시료의 15.6%). 이들 시료에 대한 TL 분석 결과, 칠리 파우더를 비롯한 미네랄이 분리된 5종의 시료에서는 $150{\sim}250^{\circ}C$ 전후에서 TL glow curve ($TL_1$)을 나타내어 감마선 조사 여부의 확인이 가능하였다. ESR 분석 결과 2차 검증 시료군에서 방사선 유래 특이적인 signal이 관찰되지 않아서 추출물 시료에는 ESR 분석법의 적용이 불가능한 것으로 나타났다.

Luminescence properties and compositions of contaminating inorganic minerals separated from gamma-irradiated fresh and white ginsengs from different areas

  • Ahn, Jae-Jun;Akram, Kashif;Jeong, Mi-Seon;Kwak, Ji-Young;Park, Eun-Joo;Kwon, Joong-Ho
    • Journal of Ginseng Research
    • /
    • 제37권4호
    • /
    • pp.483-490
    • /
    • 2013
  • Gamma-irradiation (0-7 kGy) of ginseng is permitted in Korea for the purpose of microbial decontamination; with strict labeling, traceability and monitoring requirements. An identification study was conducted to determine the photostimulated-luminescence (PSL) and thermoluminescence (TL) properties of gamma-irradiated fresh and white ginsengs cultivated in different areas. Dose- dependent PSL-based screening was possible for white ginseng samples; however, inappropriate results from non-irradiated fresh ginseng samples were obtained, showing intermediate (700 to 5,000) or positive ($T_2$ >5,000, irradiated) PSL counts due to the abundance of minerals on the surfaces of the samples. TL analysis of separated minerals from all non-irradiated samples gave TL glow curves of low intensity with a maximum peak after $300^{\circ}C$. However, well-defined irradiation-specific (high intensity with a maximum peak at about $200^{\circ}C$) glow curves were observed for all the irradiated samples, regardless of their type and origins. TL ratios (first glow curve /second glow curve) were also determined to confirm the irradiated (>0.1) and non-irradiated (<0.1) results. SEM-EDX (scanning electron microscope-energy dispersive X-ray) and XRD (X-ray diffraction) spectroscopic analyses showed that feldspar and quartz minerals were the main source for the typical radiation-specific luminescence properties.

Detection of Pulsed Photostimulated Luminescence Signals Emitted by Infrared Stimulation of Irradiated Spices during Storage under Two Conditions

  • Yi, Sang-Duk;Woo, Si-Ho;Yang, Jae-Seung
    • Preventive Nutrition and Food Science
    • /
    • 제6권3호
    • /
    • pp.152-157
    • /
    • 2001
  • Accumulated photon counts in immediate measurement after irradiation of marjoram, basil and thyme were shown to be below 625$\pm$162, 577$\pm$178 and 1261$\pm$640 Pc, respectively. The accumulated photon counts increased linearly with increasing irradiation doses up to 5 kGy and slightly increased from 5 kGy to 10 kGy. This trend was similar after storage periods. According to storage conditions, the difference of the accumulated photon counts was net clearly observed. The accumulated photon counts of irradiated spice samples decreased with increasing storage periods. The rate of decrease was higher in 5 and 10 kGy irradiated samples than that in 1 kGy, and in room conditions than that in darkroom conditions. The photon counts of the irradiated spice samples measured for 120 s were higher than those measured for 60 s. The irradiated spice samples showed higher photon counts than those of unirradiated samples in both room and darkroom conditions during all the storage periods. These results indicate that detection of irradiation was still possible after 24 weeks, although the PPSL signal of all spice samples decreased with increasing storage time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