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hoton beam

검색결과 388건 처리시간 0.029초

원통형 전리함의 유효 측정점에 관한 실험적 연구 -의료용 전자선을 중심으로- (The Experimental Study of the Effective Point of Measurement for Cylindrical Ion Chamber -For Medical Electron Beams-)

  • 이병용;최은경;장혜숙;홍석민;이명자;전하정
    • 한국의학물리학회지:의학물리
    • /
    • 제2권2호
    • /
    • pp.155-160
    • /
    • 1991
  • 전자선 측정에 사용되는 원통형 전리함의 유효 측정점 깊이에 관한 연구를 하였다. 물팬톰 속에서 Markus 평판형 전리함을 사용하여 여러 에너지(전자선 6MeV 및 9MeV, 12MeV, 20MeV) 방사선의 선량 백분율을 구하고, 이 값을 기준으로 하여 원통형 전리함으로(PW233643 내경 5.5mm 및 PR-05P 내경 4mm, PM30 내경 15mm) 구한 선량 백분율과 비하여 선량 백분율 곡선의 변위를 유효 측정점으로 계산하였다. 이 결과 전자선에서는 0.4~0.6r 만큼, $^{60}$Co 감마선에서는 0.3~0.7r 만큼 표면쪽으로 이동한 값을 측정점으로 정하여야 하는 것을 알았다.

  • PDF

폴리머 코팅층 레이저 직접묘화법을 이용한 미세패턴증착 (Deposition of Micropattern using The Laser Direct Writing Method with a polymer coating layer)

  • 이봉구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5권12호
    • /
    • pp.6980-6985
    • /
    • 2014
  • 레이저 직접묘화방법을 이용하여 절연기판($SiO_2$)위에 미세전도성패턴을 제조하였다. 레이저 유도증착공정은 레이저빔이 금속박막에 조사되면 레이저 빔의 빛 에너지가 금속박막에 흡수되어 열에너지로 바뀌면서 열전도에 의한 열분해반응으로 기판위에 증착이 일어난다. 본 논문에서는 금속박막위에 폴리머 코팅을 하여 레이저 직접묘화공정을 적용하여 미세패턴과 3차원 마이크로 구조물 제조에 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평균 증착율은 전반적으로 레이저출력이 높을 수록 선형적으로 증가하고, 빔 스캔 속도가 감소할수록 증착율은 증가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Polymer 코팅층을 이용하여 미세전극을 증착하여 비저항값을 측정하여, 코팅층을 사용한 경우의 전기전도도가 코팅을 하지 않은 경우보다 약 3배정도 향상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Eu이 도핑된 LiGdF4의 Down-conversion을 이용한 염료감응형 태양전지의 효율 향상 (Improving Efficiencies of DSC by Down-conversion of LiGdF4:Eu)

  • 김현주;송재성;김상수
    • 한국전기전자재료학회논문지
    • /
    • 제17권3호
    • /
    • pp.323-328
    • /
    • 2004
  • Down-conversion of Eu$^{3+}$ doped LiGdF$_4$ (LGF) for increasing the cell efficiency on dye-sensitized Ti $O_2$ solar cells has been studied. The dye sensitized solar cell (DSC) consisting of mesoporous Ti $O_2$ electrode deposited on transparent substrate, an electrolyte containing I$^{[-10]}$ /I$_3$$^{[-10]}$ redox couple, and Pt counter electrode is a promising alternative to the inorganic solar cell. The structure of DSC is basically a sandwich type, viz., FTO glass/Ru-red dye-absorbed Ti $O_2$/iodine electrolyte/sputtered Pt/FTO glass. The cell without down converter had open circuit potential of approximately 0.66 Volt, the short circuit photocurrent density of 1.632 mA/$\textrm{cm}^2$, and fill factor of about 50 % at the excitation wavelength of 550 nm. In addition, 5.6 mW/$\textrm{cm}^2$ incident light intensity beam was used as a light source. From this result, the calculated monochromatic efficiency at the wavelength of 550 nm of this cell was about 9.62 %. The incident photon to current conversion efficiency (IPCE) of N3 used as a dye in this work is about 80 % at around 590 nm and 610 nm, which is the emission spectrum of Eu$^{3+}$ doped LGF, results in efficiency increasing of DSC.C.

광섬유 방사선량계를 이용한 선량보강 영역에서의 심부선량 백분율과 피부 선량률 측정 (Measurement of Skin Dose and Percentage Depth Does in Build-up Region Using a Fiber-optic Dosimeter)

  • 조동현;장경원;유욱재;서정기;허지연;이봉수;조영호
    • 한국광학회지
    • /
    • 제21권1호
    • /
    • pp.16-20
    • /
    • 2010
  • 본 연구에서는 고 에너지 광자선을 조사 할 때, 선량보강 영영에서의 피부 선량률을 측정을 위해 유기 섬광체와 플라스틱 광섬유를 사용한 광섬유 방사선량계를 제작하였다. 광섬유 방사선량계의 센서부에서 발생된 섬광빛은 30 m 길이의 광섬유를 통해 전달되어 광증배관과 전류계로 측정된다. 광섬유 방사선량계로 측정한 선량보강 영역에서의 피부 선량률은 이온 전리함 및 GAFCHROMIC EBT 필름의 측정 결과와 비교 및 분석 하였다.

Analysis of Physical Properties for Various Compositions of Reusable LMG and LCV Micelle Gel

  • Kang, Jin Mook;Lee, Dong Han;Cho, Yu Ra;Hwang, Seon Bung;Ji, Young Hoon;Ahn, So Hyun;Keum, Ki Chang;Lee, Re Na;Cho, Sam Ju;Noh, Insup
    • 한국의학물리학회지:의학물리
    • /
    • 제27권4호
    • /
    • pp.175-179
    • /
    • 2016
  • In this study, we evaluated the reusable leuco malachite green (LMG) micelle gel properties dependent on various components of chemical concentration and compared with leuco crystal violet (LCV). The gels were delivered to 10, 20, 30, 40 and 50 Gy at 6 MV photon beam from linear accelerator and analyzed using spectrophotometry. We confirmed that the reusable LMG and LVC absorbance wavelength peak were made up at 630 nm and 600 nm respectively. The transparency of reusable LMG decreased with higher amount of trichloroacetic acid (TCAA) and lower reusable LMG dyes. 1 mM reusable LMG was the lowest transparency. The sensitivity was increased depending on lower trichloroacetic acid (TCAA) concentrations and the amount of suitable surfactant (Triton X-100), which was found to be 7 mM. However, we were not able to investigate sensitivity effects factor from reusable LMG dyes. The gel dosimeter containing 16 mM TCAA, 7 mM Triton X-100 gel dosimeter showed the highest sensitivity at $0.0021{\pm}0.0001cm^{-1}.Gy^{-1}$. The sensitivity of LCV was found to be higher than reusable LMG at $0.0037{\pm}0.0005cm^{-1}.Gy^{-1}$. The reusable LMG and LCV dose responses were shown to be $R^2=0.997$, $R^2=0.999$ respectively, as stable measurement results. Future research is necessary to improve dose sensitivity, dose rate dependency and gel fading with extensive chemical formulations.

소분할 방사선치료 방식에 따른 광중성자 평가 (Evaluation of Photoneutron by Hypofractionated Radiotherapy)

  • 박은태;이득희;강세식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5권12호
    • /
    • pp.347-354
    • /
    • 2015
  • 소분할 방식을 이용한 방사선치료는 한번에 대선량을 처방하게 된다. 이로 인해 정상조직에도 많은 선량이 조사되는 단점이 있지만 최근에는 IMRT 방식을 적용함으로써 그 한계점을 보완하는 연구가 이어지고 있다. 그러나 이런 치료기술의 발전과 고에너지 광자선을 선호함으로써, 광핵반응에 의한 광중성자가 생성되어 환자에게 부가적인 피폭을 일으키게 된다. 이에 본 연구는 급성 골반 뼈 전이암으로 IMRT 치료기법을 적용하여 소분할치료를 받은 환자의 치료계획을 대상으로, 치료기법 및 분할기법에 따른 선량을 DVH를 이용하여 분석하고 그에 따른 광중성자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 분할기법에 따른 광중성자의 발생률은 처방선량에 비례하여 차이가 미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IMRT를 이용한 소분할치료 시 정상조직의 보호효과는 3D CRT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지만, 광중성자도 증가함으로써 적절한 치료계획의 선택과 최적의 방식을 고려해야 할 것이다.

두피에 발생한 혈관육종 : 증례보고와 방사선치료방법에 대한 고찰 (Angiosarcoma of the Scalp : A Case Report and the Radiotherapy Technique)

  • 김주영;최진호
    • Radiation Oncology Journal
    • /
    • 제16권3호
    • /
    • pp.351-355
    • /
    • 1998
  • 혈관육종은 전체 악성종양의 빈도에서 약 1$\%$를 차지하는 매우 드문 종양이다. 이 중 반 수 정도는 두경부에 발생하며 특히 장년 층의 남자에서 두피에 호발하는 경향을 보인다. 권고되는 치료방법으로는 수술적 제거와 방사선치료가 있으나 넓은 범위의 종양이 전 두피에 퍼져있을 때는 수술적 방법이 적용되기 힘들다. 여기 방사선 치료만으로 완전 관해를 보인 두피 혈관육종의 경우를 보고하며 엑스선과 전자선을 이용하여 간단하면서도 재현성 있는 방사선치료방법을 소개한다. 볼루스는 표면선량을 증가시키고 뇌조직의 정상세포에 대한 방사선량을 최소화시키기 위하여 사용할 수 있지만 두경부와 같이 굴곡이 심한 환자의 표면에 밀착시키기는 어렵다 Thermoplastic과 파라핀을 이용하여 제작한 헬멧을 혈관육종의 방사선 치료에 사용한 결과 전체 두피에 대한 열형광선량계에 의해 측정한 방사선량은 7$\%$ 이내의 고른 선량분포를 얻을 수 있었다.

  • PDF

Ag가 도핑된 칼코게나이드 $As_{40}Ge_{10}Se_{15}S_{35}$ 박막의 광분해, 광확산특성 및 홀로그래픽 격자형성 (Photodissolution, photodiffusion characteristics and holographic grating formation on Ag-doped $As_{40}Ge_{10}Se_{15}S_{35}$ chalcogenide thin film)

  • 정홍배
    • 대한전기학회논문지:전기물성ㆍ응용부문C
    • /
    • 제55권10호
    • /
    • pp.461-466
    • /
    • 2006
  • In the present work, we investigated the photodissolution and photodiffusion effect on the interface of Ag/chalcogenide $As_{40}Ge_{10}Se_{15}S_{35}$ thin film by measuring the absorption coefficient, the optical density, the resistance change of Ag layer. It was found that the photodissolutioniphotodiffution ratio depends on the magnitude of photon energy absorbed in the chalcogenide thin film and the depth of photodiffution was proportional to the square root of the exposed time. Also, we have investigated the holographic grating formation with P-polarization states on chalcogenide $As_{40}Ge_{10}Se_{15}S_{35}$ thin film and $As_{40}Ge_{10}Se_{15}S_{35}/Ag$ double layer structure thin film. Holographic gratings have been formed using He-Ne laser (632.8 nm) which have a smaller energy than the optical energy gap, $E_g\;_{opt}$ of the film, i. e., an exposure of sub-bandgap light $(h{\upsilon} under P-polarization. As the results, we found that the diffraction efficiency on $As_{40}Ge_{10}Se_{15}S_{35}/Ag$ double layer structure thin film was more higher than that on single $As_{40}Ge_{10}Se_{15}S_{35}$ thin film. Also, we obtained that the maximum diffraction efficiency was 0.27 %, 1,000 sec on $As_{40}Ge_{10}Se_{15}S_{35}\;(1{\mu}m)/Ag$ (10 nm) double layer structure thin film by (P: P) polarized recording beam. It will offer lots of information for the photodoping mechanism and the analyses of chalcogenide thin films.

전자포탈영상 (EPI)을 이용한 의료용 선형가속기의 성능평가에 관한 연구 (A study of Quality evaluation for medical linear accelerator using Electronic Portal Imaging)

  • 윤성익;권수일;추성실
    • 한국의학물리학회지:의학물리
    • /
    • 제9권2호
    • /
    • pp.105-113
    • /
    • 1998
  • 고에너지 광자선을 발생시키는 의료용선형가속기의 선질은 경우에 따라 변이를 가져오게 된다. 이러한 변이를 정확하게 판정하여 줄 수 있는 방사선측정법의 활용은 매우 중요하다. 보편적으로 광자선의 측정에 있어서 전리함의 사용이 아주 빈번하였으나 전자포탈영상장치(EPID)의 등장은 새로운 방사선측정법에 대한 가능성의 시작을 예견해준다. 실험은 6MV 광자선의 대칭성, Light/Radiation congruence, 그리고 Wedge filter를 통한 간편한 에너지의 변화에측과 위치의 정확도에 대하여 측정을 시행하였다. 사실 방사선측정의 대표적인 방법은 물팬톰-전리함응 이용한 모델인데 본 실험에서는 영상의 화소가 지니는 디지탈 값을 적절한 소프트웨어로 읽어내어서 데이터를 환산하여 결과를 얻었다. 선행실험에서 얻은 상대선량률을 적용하여 대칭성에서는 조사야영역이 l0$\times$10$cm^2$ 일 때 횡축과 종축에서 1.2%, 1.2%로 비교적 오차가 적었다. 그리고 Light/Radiation field congruence 여부는 횡축이 0.3%, 그리고 종축이 0.2%로서 예상한 기대값에 접근하였다. 다음으로 wedge filter를 활용한 에너지의 변이와 위치의 정확도에 대한 움직임을 알 수 있었다.

  • PDF

다엽콜리매이터(Multileaf Collimator) 조사야의 반음영 및 선량분포 개선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Penumbra and Dose Distribution in the Multileaf Collimator Field Edge)

  • 김창욱;김회남;임충근;나수경;박병섭
    • 대한방사선치료학회지
    • /
    • 제10권1호
    • /
    • pp.88-93
    • /
    • 1998
  • Multileaf collimator is essential equipment in conformal radiation therapy, however the use is limitted by increase of penumbra width and undulating dose distribution at the field edg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mprove the penumbra and dose distribution in the multileaf collimator field edge. Measurement were performed with X-omat V film in solid water phantom using 6MV photon beam from Siemens linear accelerator. All the measurement were made along the central axis of $5{\times}5cm,\;10{\times}10cm$ circular field for constant SSD of 100 cm. To improve the penumbra and dose distribution collimator was rotated by 15 degrees from 0 to 90 degrees (collimator rotation method) and center was shifted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by fourth of lead width (center shift method). We compare the penumbra and dose distribution at the field edge to alloy block. Dose distribution and penumbra width at the feild edge of MLC showed undulated dose pattern and increased penumbra compared with alloy block. However, in the collimator rotation method and center shift method we abtained simular results with alloy block. Through the study we expected that clinical use of MLC will be increase.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