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hotolysis

검색결과 236건 처리시간 0.026초

신규(新規) 살충제(殺蟲劑)인 KH-502 [O,O-Diethyl O-(1-phenyl-3-trifluoromethyl-5-pyrazoyl) thiophosphoric acid ester]의 광(光)에 의한 분해성(分解性) (Photolysis of a New Insecticide KH-502 [O,O-diethyl O-(1-phenyl-3- trifluoromethyl-5-pyrazolyn) thiophosphoric acid ester])

  • 조부연;한대성;양재의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12권2호
    • /
    • pp.176-183
    • /
    • 1993
  • 신규 살충제인 KH-502의 안전성을 조사하기 위하여 다양한 조건하에서 광(光) 분해(分解) 실험을 수행하였다. 이 실험에서 KH-502를 acetone 또는 acetonitrile 용액에 첨가한 뒤 태양광선 또는 자외선 $(300{\sim}350nm)$을 조사(照射)하였고, acetone 또는 acetonitrile 용액에는 수분함량, 산소함량이 달랐으며, 부식산,rosebengal 또는 tryptophan이 첨가 되었다. KH-502의 안전성 및 분해경향에 대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KH-502의 광분해(光分解)는 자외선을 조사(照射)한 경우와 그렇치 않은 경우에 매우 유의성있는 차이를 보여 주었다. KH-502는 acetone 용매에서 광관여효과에 의해 광분해(光分解)되었으나, acetonitrile 용매 하(下)에서는 광분해되지 않았다. 2. KH-502의 광분해 경향은 열 분해 경향과 판이하게 달랐으며, 광분해산물은 KH-502 oxo형, S-ethyl KH-502, PTMHP 및 몇가지 미지물질 등이었다. 3. acetone 또는 acetonitrile에 첨가된 부식산, rosebengal, tryptophan은 KH-502의 광분해에 광관여효과를 나타내지 않았다. acetone 용매의 용존산소는 acetone과 함께 경쟁적으로 광관여효과를 나타내어 KH-502의 분해를 촉진시켰다. 4. acetone 용매를 부식산 또는 논물로 처리했을때, KH-502의 광분해는 감소하였다.

  • PDF

일부 유기인계 농약의 광분해성 (Photodegradation of some Organophosphorous Pesticides)

  • 민경진;차춘근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14권4호
    • /
    • pp.339-345
    • /
    • 1999
  • Dichlorvos 및 methidathion에 대한 광분해 실험을 수행하여 속도상수와 분해생성물을 측정하였다. 햇빛을 이용한 광분해 실험은 1998년 9월 2일부터 9월 18일 까지 수행하였으며 두가지 농약이 상당기간 동안 안정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햇빛 아래서는 humic acid의 광관여 효과가 없음을 알 수 있었다. 자외선을 이용한 광분해 실험에서 dichlorvos의 광분해속도상수와 반감기는 각각 0.0208 및 33.3분으로 조사되었고, methidathion의 경우는 각각 0.6189 및 1.0분으로 조사되어 methidathion의 광분해는 4분 이내에 99% 이상의 매우 빠른 분해양상을 보였다. 두가지 농약 모두 3시간 이내에 분해되었고, 따라서 먹는물 정수처리시 농약의 분해가 필요할 때는 자외선을 이용하는 것이 좋을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dichlorvos 및 methidathion은 자외선을 단독조사 하였을 때 보다 TiO$_2$를 첨가하였을 경우 분해는 다소 빠르게 진행되었다. 광분해에 의한 분해생성물을 확인하고자 GC/MS분석을 한 결과 dichlorvos에서는 분해생성물로 m/z=153의 Ο, Ο-dimethyl phosphate(DMP)를 확인하였다. Methidathion의 경우 분해생성물로 m/z=198 과 m/z=214로 각각 Ο, Ο-dimethyl phosphorothioate(DMTP)와 Ο, Ο-dimethyl phosphorodithioate(DMDTP)를 확인하였다.

  • PDF

광반응과 광촉매 반응을 이용한 Diazinon 농약의 분해 기전과 독성 평가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egradation Mechanism of Diazinon and the Acute Toxicity Assessment in Photolysis and Photocatalysis)

  • 오지윤;김문경;손현석;조경덕
    • 대한환경공학회지
    • /
    • 제30권11호
    • /
    • pp.1087-1094
    • /
    • 2008
  • Diazinon은 전 세계적으로 많이 사용하고 있는 유기인계 살충제이며 특히 한국에서 많이 사용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광반응과 광촉매 반응을 이용하여 diazinon의 분해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실험의 결과, diazinon은 인공 자외선의 경우 광반응과 광촉매 반응에서 모두 효과적으로 분해되었고, 특히 광촉매 반응시 광반응보다 더 빠른 분해 효율을 보였으나, TOC는 잘 제거되지 않았다. Diazinon의 광촉매 반응에서 발생한 이온 부산물은 질소의 경우 약 40%가 NO$_3^-$로 회수되었고, 인의 경우는 5% 정도만이 PO$_4{^{3-}}$로 회수되었다. 이에 반해, SO$_4{^{2-}}$이온은 광반응의 경우는 50%, 광촉매 반응의 경우 100%의 회수율을 보였다. 광반응이나 광촉매 반응에 의해서 diazinon의 이온성 부산물의 회수율과 TOC의 분해율이 낮은 이유는 반응에 의한 유기부산물의 생성을 의미한다. 이의 확인을 위한 GC/MS와 LC/MS의 분석 결과 diazinon의 광반응 및 광촉매 반응에 의한 부산물로 diazoxon과 2-isopropyl-4-methyl-6-hydroxy pyrimidine (IMP)이 유기 부산물로 확인되었다. 광촉매 반응에 의하여 처리된 용액의 잔류독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D. magna를 이용하여 처리수의 급성 독성을 알아본 결과, 초기 diazinon의 EC$_{50}$값은 69.6%, 광촉매 반응에 의한 180분 후의 처리수에서는 13.2%로 오히려 독성이 증가하는 것을 관찰할 수 있었고, 최종 처리수인 360분 후의 처리수에서는 독성이 감지되지 않았다. 이는, 광촉매를 통한 처리시, 독성이 diazinon보다 큰 유기부산이 생성 되었다가 계속 반응이 진행되면서 이들 부산물도 분해되거나 무기화됨을 의미한다.

미생물에 의한 수소생산: Dark Anaerobic Fermentation and Photo-biological Process (Microbial hydrogen production: Dark Anaerobic Fermentation and Photo-biological Process)

  • 김미선;백진숙
    • KSBB Journal
    • /
    • 제20권6호
    • /
    • pp.393-400
    • /
    • 2005
  • 수소를 생산하는 미생물은 크게 광합성 세균(photosynthetic bacteria), 혐기성세균(non-photosynthetic anaerobic bacteria), 조류(algae) 등으로 구분되고, 이들의 수소 생성 기작, 사용가능기질 및 수소 발생량은 상당한 차이가 있다. 광합성세균은 Rhodospirillaceae, Chromatiaceae 및 Chlorobiaceae로 구분되며, 이는 각각 홍색비유황세균(purple non-sulfur bacteria), 홍색유황세균(purple sulfur bacteria), 녹색유황세균(green sulfur bacteria)으로 통칭된다. 혐기성 세균은 절대 또는 통성혐기세균중 일부가 수소생산에 관여하며, 조류는 녹조류(green algae)와 남조류(blue-green algae, cyanobacteria)가 알려져 있다. 생물학적 수소생산 기술은 (1) 녹조류(green algae)가 광합성 메카니즘에 의해 수소를 생산하는 직접 물 분해 수소생산(direct bio-photolysis) (2) 광합성 작용에 의해 물을 분해하여 산소를 발생하고, 동시에 공기 중 이산화탄소를 고정하여 고분자 저장물질로 균체 내에 저장한 후 혐기 발효 또는 광합성 발효에 의해 수소를 발생하는 간접 물 분해 수소생산(indirect bio-photolysis or two stage photolysis) (3) 빛이 존재하는 혐기상태 배양 조건에서 홍색 세균에 의한 광합성 발효(photo-fermentation) 또는 (4) 광이 존재하지 않는 조건에서 혐기 미생물에 의해 수소와 유기산을 내는 혐기 발효(dark anaerobic fermentation) (5) 균체 외(in virro) 수소 발생 (6) 일산화탄소 가스 전환 반응(microbial gas shift reaction)에 의한 수소 생산 기술로 구분할 수 있다. 물로부터 생물학적 기술에 의한 수소생산은 공기 중의 이산화탄소를 고정하고, 수소와 산소를 발생하는 원천기술로써 오래 전부터 미국, 유럽에서 태양에너지를 이용하는 광합성 미생물의 분리, 개선 및 반응기에 관한 연구가 축적되어 왔으며, 유기물 즉 바이오매스로부터 혐기 및 광합성 발효를 연속적으로 적용하는 기술은 비교적 최근에 일본을 비롯한 유기성 폐기물이 많은 국가에서 수소에너지 생산과 유기성 폐기물 처리라는 두 가지 목적에 부합하는 연구로써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유기성 폐기물이나 폐수와 같은 수분함량이 높은 바이오매스는 대부분이 매립처리 되는 실정이지만 높은 수분 함량 때문에 매립 시 발생하는 침출수는 환경오염의 주범으로 가까운 장래에는 매립도 금지될 전망이다. 이와 같은 수소에너지 생산기술과 이용시스템 개발은 화석연료 사용을 최소화 할 수 있으며, 국내에서 다량 발생하는 유기성 폐기물을 이용한 에너지 생산으로 자원 강대국 입지에 설 수 있다. 미생물에 의한 수소생산 기술은 청정에너지 생산과 아울러, 동시에 산소 발생, 공기 중 이산화탄소 고정, 식품공장 폐수 및 음식쓰레기와 같은 유기성 폐기물 처리 등 환경에 이로운 방향으로 진행될 뿐만 아니라, 미생물 자체가 갖는 생물 산업성도 높아서 비타민류, 천연색소, 피부암 치료제등의 고부가가치 의약품 생산도 활성화할 수 있다.

Depletion Kinetics of the Ground State CrO Generated from the Reaction of Unsaturated Cr(CO)x with O2 and N2O

  • Son, H.S.;Ku, J.K.
    • Bulletin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 /
    • 제23권2호
    • /
    • pp.184-188
    • /
    • 2002
  • Unsaturated $Cr(CO)_x(1{\leq}x{\leq}5)$molecules were generated in the gas phase from photolysis of $Cr(CO)_6$vapor in He using an unfocussed weak UV laser pulse and their reactions with $O_2$ and $N_2O$ have been studied. The formation and disappearance of the ground state CrO molecules were identified by monitoring laser-induced fluorescence(LIF) intensities vs delay time between the photolysis and probe pulses. The photolysis laser power dependence as well as the delay time dependence of LIF intensities from the CrO orange system showed different behavior as those from ground state Cr atoms, suggesting that the ground state CrO molecules were generated from the reaction between $O_2/N_2O$ and photo-fragments of $Cr(CO)_6$ by one photon absorption. The depletion rate constants for the ground state CrO by $O_2$ and $N_2O$ are $5.4{\pm}0.2{\times}10^{-11}$ and $6.5{\pm}0.4{\times}10^{-12}cm^3molecule^{-1}s^{-1}$, respectively.

Relationship between Singlet Oxygen Formation and Photolysis of Phloxine B in Aqueous Solutions

  • Keum, Young-Soo;Kim, Jeong-Han;Li, Qing-Xiao
    • Journal of Photoscience
    • /
    • 제10권3호
    • /
    • pp.219-223
    • /
    • 2003
  • Phloxine B (2,4,5,7-tetrabromo-4,5,6,7-tetrachlorofluorescein disodium salt), also referred as D&C red dye no. 28, is phototoxic to many insects such as Tephritidae fruit flies. Sunlight photolysis of phloxine B in aqueous solutions was a first order kinetic reaction at low concentrations. But it turned to be more complex reactions with the increase of phloxine B concentration. The half-lives of phloxine B (6-120 ${\mu}$M) were 18-41 and 52-289 hours in oxygenated and deaerated distilled water, respectively. The photolysis rate constants increased as the phloxine B concentrations increased. The singlet oxygen formation positively correlated with the concentrations of phloxine B and humic acid in oxygenated distilled water. The formation of singlet oxygen did not stop even after the complete degradation of phloxine B, which suggested an involvement of photoproduct-mediated reactions. The results showed that singlet oxygen mediated photooxidation was a dominant reaction for phloxine B dissipation in an aqueous solution, and the self-sensitized and photoproduct-mediated reactions were also involved at the higher concentrations. Iodide and bromide ions significantly decreased phloxine B photolysis rate constants, which were in relation to the decrease of singlet oxygen formation.

  • PDF

대기 중 휘발성 유기화합물의 광산화 공정 및 광촉매산화 공정의 처리효율 비교 (A Study on the Photolytic and Photocatalytic Oxidation of VOCs in Air)

  • 서정민;정창훈;최금찬
    • 한국대기환경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139-148
    • /
    • 2002
  • Both UV Photolysis and Phtocatalytic Oxidation Processing are an emerging technology for the abatemant of Volatile Organic Compounds (VOCs) in atmospheric -pressure air streams. However, each process has some drawbacks of their own. The former is little known as an application for air pollution treatment, so it has been a rare choice in the field. Therefore we have to do more experiment and study for its application for treatment of VOCs. Although the latter has been used in the industrial fields, it still has a difficulty in decomposing high concentrations of VOCs. To solute these problems, we have been studying simultaneous application of those two technologies. We have studied the effects of background gas composition and gas temperature on the decomposition chemistry. It has shown that concentration of TCE and B.T.X., diameter of reactor, and wavelength of lamp have effects on decomposition efficiency. When using Photolysis Process only, the rates of fractional conversion of each material are found at TCE 79%, Benzene 65%, Toluene 68%, Xylene 76%. In case of Photocatalytic Oxidation Process only, the rates of fractional conversion decreased drastically above 30 ppm. When there two methods were combined, the rates of fractional conversion of each material are enhanced such as TCE 93%, Benzene 75%, Toluene 81%, Xylene 90%. Therefore, we conclude that the combination of Photolysis-Photocatalytic Oxidation process is more efficient than each individual process.

광반응 및 광촉매 반응을 이용한 simazine의 분해 및 독서저감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egradation and the Reduction of Acute Toxicity of Simazine Using Photolysis and Photocatalysis)

  • 김문경;오지윤;손현석;조경덕
    • 한국환경보건학회지
    • /
    • 제35권2호
    • /
    • pp.124-129
    • /
    • 2009
  • The photocatalysis degradation of simazine, s-triazine type herbicide was carried out using circulating photo reactor systems. In order to search for the effective method to mineralize this compound into environmentally compatible products, this study compared the removal efficiencies of simazine by changing various parameters. First, under the photocatalytic condition, simazine was more effectively degraded than by photolysis and $TiO_2$ only condition. With photocatalysis, 5 mg/l simazine was degraded to approximately 90% within 30 min, and completely degraded after 150 min. Ionic byproducts such as ${NO_2}^-$, ${NO_3}^-$, and $Cl^-$ were detected from the photocatalysis of simazine, however, the recoveries were poor, indicating the presence of organic intermediates rather than the mineralization of simazine during photocatalysis. Two bioassays using V. fischeri and D. magna were employed to measure the toxicity reduction in the reaction solutions treated by both photocatalysis and photolysis. Simazine and its photocatalysis treated water did not exert any significant toxicity to V. fischeri, marine bacterium. However, the acute toxicity test using D. magna indicates that initial acute toxicity ($EC_{50}$ = 57.30%) was completely reduced ($EC_{50}$ = 100%) after 150 min under both photocatalysis and photoysis of simazine. This results indicates that photocatalysis and photolysis of simazine reduced the acute toxicity through mineraliz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