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hotochemical and thermal reaction mechanism

검색결과 3건 처리시간 0.17초

발암성 분자와 식품보존제의 광화학 및 열적 반응메카니즘 (Photochemical and Thermal Reaction Mechanism for the Reaction of Carcinogenic Molecules and Food Reservatives)

  • 김민식;채기수;김갑순;성대동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11권3호
    • /
    • pp.267-271
    • /
    • 1998
  • Seyferth 시약인 phenyl(tribromomethyl) mercury 및 diazomethane의 식품보존제인 dehydroacetic acid 및 coumarin과의 발암성과 그 반응기작을 분자 구조적 관점에서 알아보기 위하여 UV/vis 조건과 laser flash photolysis 시켰을 때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Diazomethane과 Phenyl(tribromomethyl) mercury와 dehydroacetic acid와 diazomethane과의 반응은 광화학적 분해 반응에서 생성된 : CBr2와 : CH2 카르벤 중간체의 이탈기 효과에 따라 발암성이 크게 나타났다. 2. laser flash photolysis 상에서 반응시켰을 때 식품보존제의 발암성이 UV/vis 상에서의 photolysis 때보다 크게 나타났다.

  • PDF

광 알킬화 반응에 의한 Aspartylphenylalanyl Methyl Ester의 합성 (Photochemical Synthesis of Aspartylphenylalanyl Methyl Ester)

  • 심상철;채규호
    • 대한화학회지
    • /
    • 제19권5호
    • /
    • pp.367-374
    • /
    • 1975
  • N-X-glycylphenylalanine methyl ester(X-trifluoroacetyl or acetyl)의 글리신잔기를 광 알킬화 반응에 의해 aspartic acid 의 유도체로 전환하였다. 이 반응은 diacetyl/di-t-butyl peroxide(DBP)를 광 개시제로, acetic anhydride를 알킬화제로 하여 350nm 파장의 램프를 사용하므로써 일어난다. DBP와 acetic anhydride에 의한 열반응의 경우에도 같은 알킬화 반응을 관찰하였다. 이 열알킬화 반응은 자유라디칼 반응을 거쳐 일어나기 때문에 이와 비교하여 광 알킬화 반응도 자유라디칼 메카니즘에 의해 일어난 것으로 추측된다.

  • PDF

Silylene과 Silylene 전구체의 반응 특성 연구 (Reaction and Characterization of Silylene and its Precusor)

  • 공영건;안영만
    • 분석과학
    • /
    • 제7권3호
    • /
    • pp.321-327
    • /
    • 1994
  • 7, 7-dimethyl-1, 2, 3, 4, 5-pentaphenyl-7-silanorbornadiene을 과량의 methyl alcohol과 함께 저온 열분해반응을 시켰을 때 무색 침상 모양의 결정인 1-methoxydimethylsilyl-1, 2, 3, 4, 6-pentaphenylcyclohexa-2, 5-diene이 생성되었다. 그러나 7-silanorbornadiene을 ethyl alcohol과 함께 동시 광분해반응을 시켰을 때는 silylene이 생성되어 ethyl alcohol의 O-H 결합에 삽입 반응된 ethoxydimethylsilane이 생성되었다. 이와 같은 결과로 판단해 볼 때 7-silanorbornadiene의 저온 열분해반응과 광분해반응의 반응 메카니즘이 다르다는 사실을 알았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