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hospholipids

검색결과 470건 처리시간 0.03초

동면중 짱뚱어 근육유(筋肉油)의 지방질과 중성 및 인지질 조성의 변화 (Variation in Muscle Lipids and Fatty Acid Composition of Neutral and Phospholipids of Mudskipper (Boleophthalmus pectinirostris) during Hibernation)

  • 김명곤;백승화;최선남;김종배;박일웅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41권7호
    • /
    • pp.533-538
    • /
    • 1998
  • 동면시 짱뚱어의 에너지 대사에 관한 정보를 얻고자 근육 중 지방질과 지방산조성을 성숙기(8월), 동면직전(11월), 동면직후(4월)로 나누어 분석 검토하였다. 조지방과 중성지질 조성은 각각 8월 1.2, 68.3%에서 11월 0.7, 53.8%, 4월 0.4, 42.6%로 점차 줄었고, 인지질과 당지질은 8월 29.5, 2.2%에서 4월 52.1%, 5.3%로 각각 증가 하였다. 중성지질 중 TG함량은 8월 53.8%에서 11월 33.6, 4월 23.1%로 점차 줄었으나, FFA와 sterol류는 반대로 8월 13.5, 14.2%에서 4월 22.3, 24.5%로 각각 증가하였다. 인지질에서는 PC함량이 8월 61.2%였으나 4월 50.6%로 줄었고 PS와 PE는 이와 대체로 반대 경향이었다. 중성지질에서는 16 : 0, 16 : 1, 18 : 0, 18 : 1, 20 : 5$({\omega}3)$이 많았고 특히 $20:5({\omega}3)$가 많은 점이 특징적이었으며 월동전 후는 포화산과 monoene산 조성이 줄고 대신 polyene산 조성이 높아지는 경향이었다. 11월은 주로 16 : 0, 16 : 1, 18:1 등 일부가 줄었으나 4월은 16 : 0, 20 : 1, 22 : 1를 제외한 14 : 0, 14 : 1, 16 : 1, 18 : 0, 18:1 등 대부분의 포화 및 monoene산과 18 : 2, 18 : 3$({\omega}3)$이 균일하게 줄어 동면시 이들이 에너지원이 되고 특히 전기간에 걸쳐서는 16 : 1과 18 : 1의 이용이 용이했을 것으로 판단되었다. 인지질에서는 16 : 0, 18 : 0, 20 : 5$({\omega}3)$, 22 : 5$({\omega}3)$, 22 : 6$({\omega}3)$이 많았고 monoene산 조성비는 거의 일정하였으나 월동전 후는 16 : 0, 18 : 0을 주로 한 포화산과 18 : 2, 18 : 3$({\omega}3)$이 줄었고 대신 20 : 4$({\omega}6)$, 20 : 5$({\omega}3)$, 22.5$({\omega}3)$, 22 : 6$({\omega}3)$ 등고도 polyene산 조성이 높아져 불포화도가 증가하였으며, 특히 20 : 4$({\omega}6)$와 20 : 5$({\omega}3)$의 상승폭이 컸다.

  • PDF

항인지질 자가항체 및 각종 인지질의 처리가 Mouse 난자의 체외수정 및 초기 배발생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Anti-Phospholipid Antibodies and Phospholipids on In Vitro Fertilization and In Vitro Development of Mouse Oocytes)

  • 고정재;정형민;심상우;김남근;임정묵;이혜경;박찬;김시영;차광열
    • 한국수정란이식학회지
    • /
    • 제13권2호
    • /
    • pp.89-96
    • /
    • 1998
  • Anti-phospholipid antihodies (aPL) have important roles in various pregnancy complications such as recurrent miscarrige, growth retardation, placental abruption and stillbirth. However, their biological actions on preimplantation development of oocytes are still unclear.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whether either aPL containing sera or phospholipids could affect in vitro fertilization and development of mouse oocytes. Sera used in this study were collected from three patients and the presence of aPL in the sera was confirmed by enzymatic-linked immunosorbent assay. When mouse oocytes were cultured in a serum-free, Chatot, Ziomek and Bavister (CZB) medium (Experiment 1), addition of aPL-containing sera (10%) to CZB medium did not. significantly (P>0.05) influence sperm penetration of oocytes. However, development to the blastocyst stage was significantly (P<0.05) inhibited by serum addition, and formation of morulae (16-23% vs. 58%) and blastocysts (0-4% vs. 21%) was markedly reduced compared with no addition (Experiment 2). In Experiment 3, pronuclear stage embryos were cultured for 96 h in GZB medium supplemented with 1 $\mu$g /ml phosphatidyl ethanolamine, 1 $\mu$g/ml phosphatidyl inositol or 1 $\mu$g /ml phosphatidyl choline. No increase in embryo development was found after addition of the phospholipids to CZB medium. These results suggest that 1) aPL have an inhibitory role in preimplantation development of mouse embryos, and that 2) the action of aPL may be related to a specific phospholid (s) rather than the tested phospholipids in the present study.

  • PDF

비만아와 정상체중아의 혈청 인지질 지방산 조성의 비교 (Fatty Acid Composition of Serum Phospholipids in Ohese Children Compared with Age and Sex-Hatched Normal Weight Children)

  • 김은경;지경아;정은정;엄영숙;박태선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35권1호
    • /
    • pp.60-68
    • /
    • 2002
  •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serum phospholipid fatty acid composition of obese children with that of normal weight children reside in Kangnung area. Subjects were consisted of 56(41 boys and 15 girls) moderately or severely obese elementary school children, and age and sex-matched normal weight children as a control group. Level of serum phospholipid fatty acids was measured by thin layer chromatography(TLC) followed by gas chromatography(GLC). for male subjects, serum triglyceride(121 $\pm$ 4.7mg/dl) and total cholesterol(180 $\pm$ 37.1mg/dl) concentrations were significantly(p < 0.05) higher in obese group than those for control group(81.5 $\pm$ 2.5mg/dl and 161 $\pm$ 32.0mg/dl, respectively). Obese group showed significantly higher percentage of serum phospholipid myristic acid(C14:0) than the value for control group in both male and female subjects. Obese male subjects had significantly higher percentages of palmitoleic acid(16 : 1), oleic acid(18 : 1), dihomo-${\gamma}$-linoleic acid(20 : 3, $\omega$6) and docosatetraenoic acid(22 : 4, $\omega$6), and lower percentages of eicosenoic acid(20 : 1, $\omega$6), docosapentaenoic acid(22 : 5, $\omega$6), EPA(22 : 5, $\omega$3) and DHA (22 : 6, $\omega$3) compared to values for control male subjects. For male subjects, obese group showed significantly higher ratios of 16 : 1($\omega$9)/16 : 0 and 18 : 1($\omega$9)/18 : 0, and significantly lower ratios of 22 : 5($\omega$6)/22 4($\omega$6), and 22 : 6($\omega$3)/22 : 5($\omega$3) compacted to values for the control group. But there was not significant differences in elongation and desaturation indices of serum phospholipids fatty acid metabolism between obese and control group in female subjects. Most of anthropometric measurements related to obesity were negatively correlated with the percentages of PUFA, $\omega$3 fatty acids or DHA(22 : 6, $\omega$3), and positively correlated with the percentage of myristic acid(14 : 0) or $\omega$6/$\omega$3 ratio in serum phospholipids. Serum triglyceride concentration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the percentage of PUFA or $\omega$3 fatty acids, and positively correlated with $\omega$6/$\omega$3 ratio in serum phospholipids. These results indicate that obesity related changes in blood lipid levels and metabolism are more significant in male subjects than in female subjects. Also changes in serum phospholipid fatty acid composition observed in obese children appear to demonstrate the increased susceptibility of these children to cardiovascular disease and other related chronic diseases.

돈육(豚肉)의 가열처리중(加熱處理中) 아질산염(亞窒酸鹽)이 지질산화(脂質酸化)에 미치는 영향(影響)에 관(關)한 연구(硏究) (A Study on the Effects of Sodium Nitrite on Lipid Oxidation of Pork during Cooking)

  • 정홍균;김재욱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29권2호
    • /
    • pp.148-158
    • /
    • 1986
  • 돈육 등심의 각 가열처리조건에 따른 아질산염이 중량감소, pH, 발색율, 색도 및 지 지질산화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고온에서 가열처리하든가 미세하게 간 돈육 시료는 중량감소가 컸으나 아질산염을 처리한 시료의 중량감소는 적었고 가열처리함에 따라 pH가 떨어졌는데 아질산염을 처리한 시료의 pH저하가 억제되었다. 아질산염을 처리함에 따라 발색율, lightness, redness, 및 Chroma값이 높아져서 변색이 억제되었고 가열처리를 하면 전반적으로 malonaldehyde의 함량이 높아졌으나 고온장시간의 가열처리에서는 시료의 malonaldehyde의 함량이 오히려 감소되었다. 또한 아질산염을 처리하면 과산화물 및 malonaldehyde의 함량이 줄어들어 산화방지에 효과를 나타냈는데 가열처리 온도가 높아지고 시간이 길수 그 효과는 적었다. 돈육을 가열처리하면 각 지질성분의 함량은 대체로 낮아졌는데 인지질성분은 주로 phosphatidyl choline과 phosphatidyl ethanolamine이었으며 이들의 생성은 가열처리를 함에 따라 감소되었다. 총지질을 구성하는 주요 지방산은 oleic acid와 palmitic acid였으며 인지질을 구성하는 주요지방산은 linoleic acid와 palmitic acid였고 인지질은 필수지방산 및 이중결합이 2개 이상인 불포화지방산의 조성이 높았는데 이들 지방산은 가열처리함에 따라 그 조성이 감소되었으며 아질산염을 처리하면 총지질 및 인지질을 구성하는 이중결합이 2개 이상인 불포화지방산의 산화가 억제되었다.

  • PDF

누에 추출 분말이 흰쥐의 혈장지질 및 혈당농도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Silkworm Extract Powder on Plasma Lipids and Glucose in Rats)

  • 윤주화;이성갑;이근보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140-145
    • /
    • 2005
  • 누에 추출 분말 투여에 의한 혈중 중성 지질, 총 콜레스테롤 및 인지질 함량의 변화 양상은 투여량 $3\~5\%$에 따른 각 성분의 감소율이 각각 중성 지질은 $5.16\~9.15\%$, 총 콜레스테롤은 $1.63\~2.76\%$였으며, 인지질은 $1.37\~2.00\%$였다. 이러한 결과로 볼 때, 중성 지질에서 가장 뛰어난 효과를 보인 반면 총 콜레스테롤 및 인지질 함량 감소에는 상대적으로 그 효과가 낮은 것으로 판명되었다. 혈장 포도당 농도의 감소는 $3\%$ 첨가군의 경우 대조군에 비하여 약$4.62\%$의 감소율을 나타내었으나 $5\%$첨가군의 경우는 대조군에 비하여 약 $6.46\%$를 나타내었다. 한편, 혈장, 췌장, 근육조직의 인슐린 농도의 변화는 혈장 포도당 농도 변화와 거의 유사한 경향을 보였는데, 결과적으로 누에 추출 분말의 첨가량과 인슐린 분비량 사이에 어떠한 정의 상관관계는 도출되지 않았다. 이와 같은 결과들로 볼 때, $3\%$내외의 누에 추출 분말처리가 당뇨병 환자에게 있어 예방 또는 치료 효과를 기대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초임계 CO2 유체 추출법을 이용한 탈지 유채박 중 표면활성물질 추출의 최적화 (Extractions of Surface-Active Substances from Defatted Rapeseed Meal (Brassica napus L.) by Supercritical Carbon Dioxide)

  • 김정원;정용선;길나영;이의석;이영화;장영석;이기택;홍순택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26권4호
    • /
    • pp.831-840
    • /
    • 2013
  • 본 실험에서는 탈지 유채박 중 표면활성물질의 추출을 위해 초임계 $CO_2$ 유체 추출법을 이용하였다. 추출 독립변수는 추출압력(150~350 bar), 온도($33{\sim}65^{\circ}C$), 보조용매량(ethanol, 150~250 g)으로 하였으며, D-optimal design에 의한 반응표면 분석을 통해 추출수율, 중성지질 분획, 인지질 분획, 당지질 분획 함량 등의 종속변수에 대한 최적 추출조건을 검토하였다. 그 결과, 압력, 온도, 그리고 보조용매량이 증가함에 따라 종속변수 즉, 추출수율, 인지질, 당지질 함량 등은 증가하였으나, 중성지질 함량은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그중 보조용매량이 각 종속변수에 가장 큰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서 유도된 회귀식 모형은 실험을 통해 얻은 결과와 잘 일치하였으며, 초임계 $CO_2$ 유체 추출에 있어서 종속변수인 추출수율, 인지질, 당지질 함량 등을 최대로 하면서 중성지질 함량을 최소로 하는 최적화된 추출조건은 추출압력 350 bar, 추출온도 $65^{\circ}C$, 보조용매량 228.55 g으로 분석되었으며, 이 조건에서 추출수율은 5.98%, 추출물은 중성지질 3.0%, 인지질 69.43%, 당지질 17.46% 등의 조성을 나타낼 것으로 예측되었다.

돼지 정자내 Phospholipids Hydroperoxide Glutathione Peroxidase와 Heparin-Binding Protein의 발현 수준과 번식 능력의 관계 (Relationship between the mRNA Expression Levels of Sperm Phospholipids Hydroperoxide Glutathione Peroxidase and Heparin-Binding Protein, and in-Vivo Fertility in Boars)

  • 오신애;신차균;유영아;한경수;방명걸
    • Reproductive and Developmental Biology
    • /
    • 제31권3호
    • /
    • pp.133-137
    • /
    • 2007
  • 본 연구는 정자 내의 phsopholipid hydroxide glutathion peroxidase (PHGPx) mRNA 발현 수준, heparin-binding protein (HBP) mRNA 발현 수준, 수태율 그리고 산자수 사이의 관계를 조사하고자 실시하였다. 수태율과 산자수 사이에 있어서 상관관계는 나타나지 않았다. PHGPx mRNA 발현 수준에 있어 산자수가 10두 이상 군에서 $(2,414.7{\pm}400.7)$ 8두미만 군보다 $(1,875.8{\pm}311.2)$ 높게 나타났으나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 HBP mRNA 발현 수준에 있어서도 산자수 10두 이상 군에서 $(2,255.9{\pm}360.8)$ 8두 미만 군보다 $(2,155.4{\pm}378.0)$ 약간 높은 결과를 보였으나, 유의적인 차이는 인정되지 않았다. PHGPx mRNA 발현 수준과 산자수 사이의 관계는 (r=0.206) 정의 상관관계를 보였으나, 유의한 상관관계는 나타나지 않았다. 본 실험의 결과, PHGPx와 HBP의 발현수준이 수태율, 산자수와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이지 않았기 때문에 PHGPx와 HBP가 정자의 수정능력을 예측하기에는 미흡한 면이 있다.

한국산 식용버섯의 지방질 성분에 관한 연구 (Studies on the Lipids Composition of Korean Edible Mushrooms)

  • 홍재식;김영회;김명곤;김태영;김금재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5권4호
    • /
    • pp.437-442
    • /
    • 1990
  • 국내에서 생산되는 재배버섯으로 일반느타리(Pleurotus ostreatus)와 고온성느타리(Pleurotus sajor-caju) 및 야생식용버섯으로 싸리버섯(Ramaria botrytis)과 젖버섯(Lactarius volemus)의 지질성분조성을 비교 검토한 결과 각 버섯의 지방함량은 $0.32{\sim}0.39%$이었으며, 그 조성은 인지질$(19.4{\sim}47.4%)$, 중성지질$(32.1{\sim}51.9%)$, 당지질$(14.8{\sim}28.7%)$ 순으로 많았으나 고온성 느타리는 다른 버섯에 비하여 중성지질(51.9%)의 함량이 높았다. 중성지질에서는 triglyceride$(21.2{\sim}38.2%)$, free sterol$(21.0{\sim}21.9%)$, sterol ester$(10.3{\sim}18.6%)$ 순으로 많았으나 고온성 느타리는 free fatty acid(34.1%)의 함량이 다른 버섯에 비하여 특이하게 높았다. 당지질은 steryl glycoside$(15.6{\sim}29.4%)$, esterified steryl glycoside$(13.4{\sim}23.9%)$, monogalactosyl diglyceride$(15.6{\sim}24.6%)$ 순으로 많았으며, 인지질의 조성은 phosphatidyl choline$(36.7{\sim}49.5%)$, phosphatidyl ethanolamine$(20.9{\sim}29.7%)$, phosphatidyl inositol$(18.4{\sim}26.1%)$ 순으로 많았다. 각 구성지질의 지방산조성은 4종의 버섯 공히 linoleic acid와 palmitic acid가 주요 지방산이었으나 싸리버섯은 중성지질에서 oleic acid의 함량이 높았다.

  • PDF

한국장류식품(韓國醬類食品)의 유지성분(油脂成分)에 관(關)한 연구(硏究) -제(第) 1 보(報) : 청국장 발효(醱酵)과정중의 유지성분(油脂成分) 변화(變化)- (Studies on the Lipids in Korean Soybean Fermented Foods -I. Changes of Lipids Composition during Chungkookjang Fermentation-)

  • 이숙희;김선기;최홍식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15권4호
    • /
    • pp.399-403
    • /
    • 1983
  • 청국장 발효과정중에 일어나는 지질성분(脂質成分)의 변화(變化)를 규명하고저 삶은콩에 Bacillus natto 를 접종(接種), 3일간 발효시킨후 식염을 7% 첨가하여 20일간 숙성(熟成)한 청국장을 만들고, 삶은콩, 청국장 고오지 및 청국장제품의 지질(脂質)에 관한 연구를 행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삶은콩의 총지질(總脂質) 함량중 중생지질(中性脂質)은 92.08%, 유리지방산(遊離脂肪酸)은 1.76%, 당지질(糖脂質)은 2.04%, 연지질(憐脂質)은 4.12% 이었으나, 발효숙성(醱酵熟成)과정중 중성지질(中性脂質)이 감소하고 유리지방산(遊離脂肪酸) 함량이 증가하였으며 당지질(糖脂質)의 함량도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냈고 연지질(憐脂質)의 함량은 청국장 고오지 발효중에 증가하였다가 숙성기간중 감소하였다. 또한 연지질(憐脂質)과 당지질획분(糖脂質劃分)들의 발효숙성중(醱酵熟成中)의 구성성분의 변화에 있어서 특히 포스파티딜 이노시톨 및 포스파티딜 콜린의 변화가 주목되었고 또 디-갈락토실 디-글리세리드가 현저하게 감소되었다. 한편, 중성지질(中性脂質) 및 유리지방산(遊離脂肪酸)들의 구성 지방산(脂肪酸)중 주요성분은 리놀레산이었으며 당지질(糖脂質)과 연지질(憐脂質)에서는 팔미트산이었고 특히, 다른 지질획분(脂質劃分)에 비해 당지질(糖脂質)에는 리놀렌산 함량이 거의 없는 것으로 나타난다. 발효숙성(醱酵熟成) 결과 연지질(憐脂質) 및 당지질획분(糖脂質劃分)들에서 포화지방산(脂肪酸) 함량이 감소한 반면 불포화도가 높은 지방산(脂肪酸)의 함량은 증가하였다.

  • PDF

느타리버섯의 지방성분(脂肪成分)에 관한 연구(硏究) (A Study on the Lipid Components in Oyster Mushroom)

  • 권용주;엄태붕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13권2호
    • /
    • pp.175-180
    • /
    • 1984
  • 느타리버섯의 지방질을 chloroform methanol(2:1,v/v)로 추출한 후 관, TLC, GLC로 분리(分離), 정량(定量)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結果)를 얻었다. 1. 느타리버섯은 약 0.51%의 조지방질(粗脂肪質)을 함유하고 있었으며, 그 중 중성지질은 33.8%, 당지질은19.7%, 인지질은 46.5% 이었다. 2. 중성지질중에는 triglyceride (38.2%), freefatty acid (20%) free sterol (10%)가 주성분이었고 그 외에 diglyceride, monoglycerides, sterol-ester와 3가지 미확인 성분이 존재하였다. 3. 당지질 중에는 steryl glycosides (28.9%)와 esterified steryl glycoside (23.7%)가 주성분이었으며 이외에 digalactosyl diglyceride, monogalactosyl diglyceride와 2가지 미확인 당, 지질성분이 존재하였다. 4. 인지질중에는 phosphatidrl choline과 serine(48.2%), phosphatidyl ethanol amine (44.4%)이 주성분이었고 phosphatidyl inositol도 소량 존재하였다. 5. 중성지질의 주요지방산은 linoleic (34.2%), palmitoleic (21.7%), oleic (17.7%) 및 Palmitic acid(15.3%)였다. 당지질이 주요지방산은 linoleic(47.4%)과 Palmitic acid(15.7%)였으며, 인지질의 주요지방산 역시 linoleic (72.3%)과 Palmitic acid(16.5%) 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