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honological word recognition

검색결과 39건 처리시간 0.018초

Word Recognition, Phonological Awareness and RAN Ability of the Korean Second-graders

  • Yoon, Hyo-Jin;Pae, So-Yeong;Ko, Do-Heung
    • 음성과학
    • /
    • 제12권1호
    • /
    • pp.7-14
    • /
    • 2005
  • This study investigated the reading ability of Korean second-graders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reading and phonological awareness and RAN (Rapid Automatized Naming) ability. A language-based reading assessment battery was used. Children at the end of the Korean second-grade were still at the developmental stage of decoding skill and seemed to be at Chall's stage 1. Findings indicated significant correlations between reading ability and phonological awareness and between reading ability and RAN ability. Therefore, the importance of phonological processing could be extended to syllable-based alphabetic languages.

  • PDF

계산주의적 시각단어재인 모델에서의 시각이웃과 음운이웃 효과 (Visual and Phonological Neighborhood Effects in Computational Visual Word Recognition Model)

  • 임희석;박기남;남기춘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8권4호
    • /
    • pp.803-809
    • /
    • 2007
  • 본 논문은 인간의 언어정보처리 과정 중 시각단어재인(visual word recognition) 과정에서 음운정보(phonological information)와 철자정보(orthography information)의 역할 및 심성어휘집의 표상(representation) 형태를 알아보기 위해 신경망(neural network)을 이용한 계산주의적 모델(computational model)을 제안한다. 제안하는 모델은 한국어 2음절을 입력 값으로 사용하는 입력층(input layer), 은닉층(hidden layer) 그리고 의미를 표현하는 출력층(output layer)으로 구성된 전방향 신경회로망(feed forward network) 구조로 설계하였다. 실험결과 계산주의적 모델은 한국어에 대한 시각 단어재인 시 보이는 언어현상 중 음운, 철자 이웃 크기효과(phonological and orthographic neighborhood effect)를 나타냈으며, 이를 통해 한국어 시각단어재인 과정에서 심성어휘집이 음운정보로 표상되어 있음을 시사하는 증거를 보였다.

  • PDF

계산주의적 모델을 이용한 한국어 시각단어 재인에서 나타나는 이웃효과 (The Neighborhood Effects in Korean Word Recognition Using Computation Model)

  • 박기남;권유안;임희석;남기춘
    • 대한음성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음성학회 2007년도 한국음성과학회 공동학술대회 발표논문집
    • /
    • pp.295-297
    • /
    • 2007
  • This study suggests a computational model to inquire the roles of phonological information and orthography information in the process of visual word recognition among the courses of language information processing and the representation types of the mental lexicon. As the result of the study, the computational model showed the phonological and orthographic neighborhood effect among language phenomena which are shown in Korean word recognition, and showed proofs which implies that the mental lexicon is represented as phonological information in the process of Korean word recognition.

  • PDF

음운 현상과 연속 발화에서의 단어 인지 - 종성중화 작용을 중심으로 (Phonological Process and Word Recognition in Continuous Speech: Evidence from Coda-neutralization)

  • 김선미;남기춘
    • 말소리와 음성과학
    • /
    • 제2권2호
    • /
    • pp.17-25
    • /
    • 2010
  • This study explores whether Koreans exploit their native coda-neutralization process when recognizing words in Korean continuous speech. According to the phonological rules in Korean, coda-neutralization process must come before the liaison process, as long as the latter(i.e. liaison process) occurs between 'words', which results in liaison-consonants being coda-neutralized ones such as /b/, /d/, or /g/, rather than non-neutralized ones like /p/, /t/, /k/, /ʧ/, /ʤ/, or /s/. Consequently, if Korean listeners use their native coda-neutralization rules when processing speech input, word recognition will be hampered when non-neutralized consonants precede vowel-initial targets. Word-spotting and word-monitoring tasks were conducted in Experiment 1 and 2, respectively. In both experiments, listeners recognized words faster and more accurately when vowel-initial target words were preceded by coda-neutralized consonants than when preceded by coda non-neutralized ones. The results show that Korean listeners exploit the coda-neutralization process when processing their native spoken language.

  • PDF

한국어-영어 이중언어사용아동의 음운인식능력 (Phonological Awareness in Korean-English Bilingual Children)

  • 박민영;고도흥;이윤경
    • 음성과학
    • /
    • 제13권2호
    • /
    • pp.35-46
    • /
    • 2006
  • This study investigated whether there are differences between Korean-English bilingual and Korean monolingual children on phonological awareness skills. Participants were 11 Korean-English bilingual children and 12 Korean monolingual children. The children's ages ranged between 6 and 7 year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bilingual children significantly outperformed monolingual children on overall phonological awareness tasks. The bilinguals performed significantly higher than monolinguals on all three types of phonological awareness tasks (segmentation, deletion, and blending). Second,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groups with respect to phonological units of the tasks. The bilinguals performed significantly better than monolinguals on the phonemic unit tasks, but two groups did not differ significantly on syllabic unit tasks. There was an interaction effect between unit size(syllables and phonemes) and group (bilinguals and monolinguals). Third, there were correlations for both bilingual and monolingual children between overall phonological awareness skills and word recognition skills.

  • PDF

한글 일음절 단어처리에서의 음운정보의 역할 (The Role of Phonological Information in Korean Monosyllabic Word Processing)

  • 김연희;이창환
    • 인지과학
    • /
    • 제15권1호
    • /
    • pp.35-41
    • /
    • 2004
  • 한글단어가 음운경로를 통해 처리되는지 아닌지를 알아보고 단어재인의 어느 단계에서 음운 정보의 영향을 주로 받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1음절 단어를 사용하고 철자를 지연시키는 실험올 하였다. 두 개의 초점조건은 옴가가 있는 철자를 지연시키거나 묵음을 지연시키는 조건이었다. 실험 1에서는 음운정보가 단어재인 초기에 영향을 미치는지 또는 후기 과정에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 보기 위하여, 점화자극을 l50ms와 250ms로 제시한 명명과제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150ms로 점화자극 을 제시하였을 때에는 음가조건파 정화자극제시여부간의 유의한 상호작용이 나타나 묵음조건에서는 점화자극 제시에 따라 목표자극이 촉진된 반면 유음조건에서는 점화자극 제시에 따른 효과가 없었다. '반면, 250ms로 정화자극이 제시되었을 때에는 유의한 상호작용효파가 나타나지 않았다. 실험 2에서는 어휘 판단과제를 통해 실험 1의 결과가 일반화되는지를 살펴보았다 그 결과, 실험l과 마찬가지로 150ms로 정화자극을 제시하였을 때에는 음가조건과 점화자극제시여부 간의 유의한 상호작용이 나타났으나, 점화자극을 250ms로 제시한 경우에는 유의한 상호작용이 나타나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는 한글단어가 음운경로를 통해 처리되고, 주로 단어재인과정의 초기 단계에서 음운정보가 개입함을 시사한다.

  • PDF

음운구 경계와 단어빈도가 한국어 음운단어 재인에 미치는 영향 (Phonological phrase boundary and word frequency that influence the phonological word recognition)

  • 김제홍;신하선;김예슬;윤광열;김다슬;신지영;남기춘
    • 말소리와 음성과학
    • /
    • 제11권2호
    • /
    • pp.45-56
    • /
    • 2019
  • 본 연구는 한국어 말소리 단어를 처리할 때, 운율구성성분인 음운구 경계와 어휘변인인 단어빈도가 상호 작용하는지를 알아보았다. 이를 위해 4개의 음운구로 발화된 문장에서 참가자가 목표단어를 찾을 때, 음운구 경계에 걸침 유무에 따라서 생기는 방해효과를 단어찾기 과제(word monitoring task)를 통해서 조사하였다. 목표단어는 2음절의 고빈도와 저빈도 단어들이 실험자 내 조건으로, 4개의 음운구로 발화된 문장에서 각각 음운구 경계 간(목표단어: 대표, 음운구 경계: [이사회의] [반대] [표명이] [있었다]) 조건과 음운구 경계 내(목표단어: 마차, 음운구 경계: [세뱃돈은] [항상] [우리] [엄마 차지였다]) 조건이 실험자 간 조건으로 설계되었다. 실험 결과, 두 변인 중 음운구 경계의 주 효과가 유의미하였으며, 상호작용도 유의미하였다. 사후분석 결과 음운구 경계 내 그룹에서만 고빈도 목표단어를 저빈도 목표단어보다 유의미하게 빠르게 탐색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음운구 경계 간 그룹에서는 목표단어의 빈도효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이 결과를 기반으로 음운 단어재인시 단어의 빈도변인이 초기 단계에 영향을 미치는 여부와 한국어 말소리 처리에서 두 변인의 중요성을 논의하였다.

다음절 단어재인에 있어서 음운적 활성화 (Phonological Activation in Multi-syllabic Word Recognition)

  • 이창환;남기춘
    • 한국정보과학회 언어공학연구회:학술대회논문집(한글 및 한국어 정보처리)
    • /
    • 한국정보과학회언어공학연구회 2004년도 제16회 한글.언어.인지 한술대회
    • /
    • pp.225-228
    • /
    • 2004
  • 영어단어 중에는 글자 열에 소리가 나지 않는 묵음자를 가진 단어들이 있다(예 : $\underline{k}nowledge$). 이러한 단어들은 같은 위치의 글자 열에 소리가 나는 글자를 가진 단어들(예 :available)과 수행을 비교하여 다음절 단어 재인에 있어서 음운 정보의 역할을 검증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파일럿 연구의 성격을 가진 본 연구의 결과, 어휘판단 과제에서 묵음자가 삭제된 단어 (예 : _nowledge)의 수행이 소리음이 삭제된 단어 (예 :_vailable)의 수행보다 빨랐다. 어휘접근을 반영하는 어휘판단과제에서의 이러한 결과는 다음절 단어재인에 있어서 음운 재부호화가 일어날 수 있는 개연성을 보여주는 것이다.

  • PDF

다운증후군 학생의 음운인식 능력 (Phonological Awareness Ability of Students with Down Syndrome)

  • 황보명
    • 음성과학
    • /
    • 제15권3호
    • /
    • pp.79-94
    • /
    • 2008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phonological awareness ability of students with Down Syndrome(DS) and typically developing children(TD). TD and DS were equal the reading abilities(reading recognition). The subject were 10 DS and 10 TD, and were examined by test of phonological awareness. The test of phonological awareness was composed according to phonological units(word, syllable, phoneme) and task types(deletion, discrimination, blending). The results obtained in this study were as follows: The total score of phonological awareness ability of DS were significantly lower than TD. And the score of phonological awareness ability according to phonological units and task types were significantly lower than TD. But both DS and TD performed better on phonological deletion and blending task than discrimination. TD and DS represented different correlation between task types and phonological units. This means that TD performed better on all types of tasks and phonological units than DS.

  • PDF

한국어 시각 단어재인과정에서 음운정보와 표기정보의 역할 (The Effect of the Orthographic and Phonological Priming in Korean Visual Word Recognition)

  • 태진이;이창환;이윤형
    • 인지과학
    • /
    • 제26권1호
    • /
    • pp.1-26
    • /
    • 2015
  •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어 시각 단어 재인과정에서 음운 정보가 주로 사용되는지(음운재부호화 가설) 혹은 표기 정보 중심으로 처리되고 음운 정보가 부수적인 역할을 하는지(이중경로가설)를 살펴보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목표 단어(예: 녹말)와 음운이 완전히 일치하는 형태의 자극(예: 농말), 목표 단어와 첫음절의 음운은 일치하지만 두 번째 음절은 일치하지 않는 자극(예: 농알), 목표 단어와 첫음절의 표기가 일치하는 자극(예: 녹알)을 통제자극(예: 적감)과 비교하였다. 실험 1에서는 비단어 어휘판단과제를 사용하여 비단어 처리 시 음운 정보와 표기 정보의 영향을 살펴보았는데 그 결과 목표단어와 표기가 일치하는 조건은 통제조건에 비해 느린 반응시간과 높은 오류율을 보였지만 음운정보가 일치하는 조건에서는 통제조건에 비해 빠른 반응시간과 낮은 오류율을 보였다. 이러한 결과는 한국어 시각 단어 재인과정에서 표기 정보가 주도적으로 사용되지만, 음운정보도 어휘접근이나 그 이후의 과정에서 사용된다는 것을 시사한다. 실험 2와 실험 3에서는 두 SOA조건(60ms, 150ms)에서 차폐점화실험 패러다임을 사용한 어휘판단과제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두 실험에서 모두 일음절의 표기정보가 동일한 조건에서만 점화효과가 나타나고 음운이 완전히 일치한 조건과 일음절의 음운정보만 일치한 조건에서는 점화효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는 실험 1과 마찬가지로 한국어 시각 단어 재인 시 표기 정보가 주로 사용되며 음운정보는 부수적인 역할을 한다는 것을 보여준다. 본 연구는 음운재부호화가설에 비해 이중경로 가설이 한글 시각단어재인과정을 설명하기에 더 적합함을 보여주는 경험적 증거라 볼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