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honeme frequency

검색결과 52건 처리시간 0.021초

디지털 텍스트의 음절을 이용한 운율 정보 시각화에 관한 연구 (A Study on Rhythm Information Visualization Using Syllable of Digital Text)

  • 박선희;이재중;박진완
    • 한국콘텐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텐츠학회 2009년도 춘계 종합학술대회 논문집
    • /
    • pp.120-126
    • /
    • 2009
  • 정보화 시대가 빠르게 성장하면서 디지털 텍스트의 양도 증가하고 있다. 이에 따라 수많은 디지털 텍스트를 파악하기 위한 시각화 사례가 증가하고 있다. 기존의 디지털 텍스트 시각화 디자인은 스태밍 알고리즘(stemming algorithm)의 도입과 단어 빈도수를 추출하여 주제어를 형상화하여 텍스트의 의미를 부각시키고 문장과 문장을 연결해주는 것에 치중하고 있다. 이에 디지털 텍스트의 정서적인 느낌을 시각화할 수 있는 운율을 표현하는 것에 있어서 미흡했던 부분이 사실이다. 운율을 보다 효과적으로 표현할 수 있는 음운단위로는 음절을 들 수 있다. 문장에서 음절은 단어나 구, 문장의 발음에 가장 기본적인 발음 단위가 된다. 이를 기본으로 강세, 성조, 운율 요소들의 길이 등이 음절에 기반을 두고 있다. 음절을 정의하는 것과 가장 밀접한 연관이 있는 공명도(sonority)는 발화할 때 폐의 공기 흐름과 운동 에너지(Kinetic energy)를 공명도로 명시되는 음향에너지(acoustic energy)로 표현한 것이다. 본 연구는 이러한 관점에서 디지털 텍스트의 속성인 음절을 기반으로 음운론적 정의와 특성을 살펴보고 운율을 다이어그램을 통해 시각화하기 위한 방법을 연구한다. 실험을 통해 디지털 텍스트를 발음기호로 변환한 후, 모든 언어속의 리듬에서 출발된 음절의 공명도를 사용하고 디지털 텍스트를 음절화하여 운율 정보를 이미지로 시각화한다. 운율 정보를 시각화함으로써 디지털 텍스트의 음절 정보를 알 수 있고, 디지털 텍스트의 정서를 다이어그램을 통해 체계적인 공식에 의하여 사용자의 이해를 돕도록 표현한다. 이에 해당 텍스트의 운율을 보다 쉽게 파악하도록 설계하여 디지털 정보 시각화를 구현하는데 그 목적을 두고 있다.

  • PDF

식도발성의 숙련 정도에 따른 모음의 음향학적 특징과 자음 산출에 대한 연구 (Analysis of Acoustic Characteristics of Vowel and Consonants Production Study on Speech Proficiency in Esophageal Speech)

  • 최성희;최홍식;김한수;임성은;이성은;표화영
    • 음성과학
    • /
    • 제10권3호
    • /
    • pp.7-27
    • /
    • 2003
  • Esophageal Speech uses the esophageal air during phonation. Fluent esophageal speakers frequently intake air in oral communication, but unskilled esophageal speakers are difficult with swallowing lots of ai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 of acoustic characteristics of vowel and consonants production according to the speech proficiency level in esophageal speech. 13 normal male speakers and 13 male esophageal speakers (5 unskilled esophageal speakers, 8 skilled esophageal speakers) with age ranging from 50 to 70 years old. The stimuli were sustained /a/ vowel and 36 meaningless two syllable words. Used vowel is /a/ and consonants were 18 : /k, n, t, m, p, s, c, $C^{h},\;k^{h},\;t^{h},\;p^{h}$, h, I, k', t', p', s', c'/. Fundermental frequency (Fx), Jitter, shimmer, HNR, MPT were measured with by electroglottography using Lx speech studio (Laryngograph Ltd, London, UK). 36 meaningless words produced by esophageal speakers were presented to 3 speech-language pathologists who phonetically transcribed their responses. Fx, Jitter, HNR parameters is significant different between skilled esophageal speakers and unskilled esophageal speakers (P<.05). Considering manner of articulation, ANOVA showed that differences in two esophageal speech groups on speech proficiency were significant; Glide had the highest number of confusion with the other phoneme class, affricates are the most intelligible in the unskilled esophageal speech group, whereas in the skilled esophageal speech group fricatives resulted highest number of confusions, nasals are the most intelligible. In the place of articulation, glottal /h/ is the highest confusion consonant in both groups. Bilabials are the most intelligible in the skilled esophageal speech, velars are the most intelligible in the unskilled esophageal speech. In the structure of syllable, 'CV+V' is more confusion in the skilled esophageal group, unskilled esophageal speech group has similar confusion in both structures. In unskilled esophageal speech, significantly different Fx, Jitter, HNR acoustic parameters of vowel and the highest confusions of Liquid, Nasals consonants could be attributed to unstable, improper contact of neoglottis as vibratory source and insufficiency in the phonatory air supply, and higher motoric demand of remaining articulation due to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of vocal tract after laryngectomy.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