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hagocytic activity

검색결과 306건 처리시간 0.027초

해간전(解肝煎)이 생쥐의 Immobilization-Stress 및 Cold-Stress에 미치는 영향(影響) (Effects of Haeganjeon on Immobilization-Stress or Cold-Stress in Mice)

  • 황태원;심호철;김송백;유심근;조한백
    • 대한한방부인과학회지
    • /
    • 제18권3호
    • /
    • pp.51-66
    • /
    • 2005
  • Purpose : Investigate the effects of Haeganjeon water extract (HGJ) on immobilization-stress or cold-stress in C57BL/6J mice. Methods : Male C57BL/6J 30 mice of weighting 18${\pm}$2g, were divided into sixs groups including the immobilization-stress group(5heads), after immobilization-stress HGJ oral administration(500mg/kg) groups(5heads), cold-stress group(5heads) and after cold-stress HGJ oral administration(500mg/kg) groups(5heads). then we observed changes in the serum histamine and corticosterone level and changes immune system. Results : HGJ decreased the serum level of histamine and corticosterone increased by immobilization-stress or cold-stress. HGJ inhibited the release of histamine from mast cells. In addition, HGJ enhanced the cell viability of thymocytes decreased by immobilization-stress or cold-stress and decreased DNA fragmentation of thymocytes increased by immobilization- stress or cold-stress. Also, HGJ increased the cell viability of splenocytes decreased by cold-stress and decreased DNA fragmentation of splenocytes increased by cold-stress. HGJ decreased the population of thymic CD4+ cells increased by immobolization-stress. HGJ increased the population of B220+ cells decreased by immobilization-stress and decreased the population of Thy1+ cells increased by immobilization-stress. Also, HGJ decreased the population of splenic CD4+ cells increased by immobolization-stress. HGJ enhanced the production of ${\gamma}-interferon$ decreased by immobilization-stress or cold-stress and increased the production of interleukin-4 decreased by immobilization-stress. Furthermore, HGJ enhanced the phagocytic activity decreased by immobilization-stress or cold-stress and enhanced the level of nitric oxide decreased by immobilization-stress or cold-stress. Conclusion : HGJ may be useful for the prevention and treatment of stress via suppression of serum histamine and corticosterone level and enhancement of immune response.

  • PDF

內托千金散加味方이 3-MCA로 誘發된 皮膚癌 및 免疫調節作用에 미치는 影響 (Effect Naetakchungumsankamibang on Skin tumor induced by 3-MCA and Immunological Response)

  • 김희택;노석선
    • 한방안이비인후피부과학회지
    • /
    • 제12권2호
    • /
    • pp.20-52
    • /
    • 1999
  • In order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Naetakchungumsankamibang(NTCGS) water extract on the skin tumor induced by 3-MCA and immunological responses in mice, the cytotoxicity against SK-MEL-2 cells and total number of tumors induced by 3-MCA were measured. The numbers of WBC, platelets and RBC, plaque forming cells, hemagglutinin titer, hemolysis titer, carbon clearance, proliferation of splenocyte by thymidine uptake assay, splenic leukocyte by FACS analysis and $TNF-{\alpha}$ were also measured for the evaluation of the immunological responses. The results were obtained as follows: 1. In cytotoxicity against SK-MEL-2 cells, concentration inhibiting cell growth up to below $20\%$ of control was recognized at 1mg/ml of NTCGS. 2. In Inhibitory effect on the skin tumor induced by 3-MCA, the results showed a strong inhibitory effect of NTCGS. 3. In hematological changes in the tumor bearing mice, the numbers of WBC decreased significantly in NTCGS treated group as compared with control. 4. In hematological changes in the tumor bearing mice, the numbers of platelets increased significantly in NTCGS treated group as compared with control. 5. In hematological changes in the tumor bearing mice, the numbers of RBC increased with no significance in NTCGS treated group as compared with control. 6. Effects of the plaque forming cells in the tumor bearing mice, NTCGS treated group exhibited a significant effect compared with control. 7. In terms of the effects on hemagglutinin titer, NTCGS treated group showed higher level than control, without significance. 8. In terms of the effects on hemolysis titer, NTCGS treated group showed higher level than control, without significance. 9. In terms of the effects on phagocytic index K in Balb/C mice, NTCGS treated group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from control. 10. In terms of the effects on proliferation of splenocyte by thymidine uptake assay, NTCGS showed significant effect at the concentration of 0.5mg/ml. 11. In terms of the effects on splenic leukocyte of Balb/C mice by FACS analysis, NTCGS treated group showed significantly higher level of helper T cell, B cell and macrophage than in control. 12. In terms of the effects on the secretion of $TNF-{\alpha}$, the treated group showed significant effect at the concentration of 1mg/ml of NTCGS. Based on the results summarized above, NTCGS is considered to have antitumor activity and immunological responses against skin tumor, and to be usable fur the treatment.

  • PDF

율무씨 수침 추출물이 대식세포내 톡소포자충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실험적 연구 (Biostatic activity of Coix lacryma seed extract on Toxoplasma gondii in macrophages)

  • 소진탁;김숙향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34권3호
    • /
    • pp.197-206
    • /
    • 1996
  • 율무 수침엑스(Co-Ex)가 대식세포내 톡소포자충(Toxoplosmo gondii RH strain)의 번식에 억제 작용이 있다는 보고(Soh et al.., 1994)에 이어 본 연구는 Co-Ex내의 유효성분(effective component)을 추구하기 위하여 이미 탈지조작과 단백질 변성과정을 거친 Co-Ex를 Tris-buffer solution에 녹인 후 원심과정으로 그 상청(WC1) 그리고 WC1을 ammonium sulfate 처리 후 원심한 상청(WC2)과 침사(WC3)를 분리하였고 WC1은 다시 column chromatography에 의하여 WC4 WC5 WC6로 분획하여 시료로 사용하였으며. 대식세포 활성에 기여하는 것으로 이미 알려진 $IFN-{\gamma}$, LPS 등을 참고자료로 하였다. 각 시험자료들의 대식세포 활성화로 인한 반응질소 중간산물(RN1) 생산량. 대식세포의 톡소포자충 감염상 대식세포내 톡소포자충 번식상 등을 비교 조사하였다 10% FCS 첨가 DMEM 배지에 배양하였고 이에 각종 시료(BRM)를 실험목적에 따라 배지에서 24시간 작용시킨 뒤 RNI를 조사하였고 이어 톡소포자충 $1\times10^6$을 30분 감염시킨 뒤 새 배지에 옮겨 48시간 배양한 뒤 Pl, Fl 등을 조사하였다. NO 생산은 각례 대조(시료 비투여)에 비하여 높았고 $IFN-{\gamma}$ 첨가는 생산량(${\mu}M/l$)을 더욱 증가시켰다(예 Control 7.5 Control + $IFN-{\gamma}$ 14.2 WC2 26.2 WC2 + $IFN-{\gamma}$ 57.8). 포자충감염율(%)은 대조에 비하여 낮았고 $IFN-{\gamma}$ 첨가시에는 더욱 낮아졌는데 $IFN-{\gamma}$ 첨가예에서의 감염율은 대조 38.0인데 비하여 WC2 19.2. WC1 + WC2 + WC3 7.2로 나타났다. 세포당감염율도 같은 경향으로 INF-$\gamma$ 첨가시험에서 대조 6.0(감염 대식세포 100개 중의 톡소포자충 평균수) WC2 1.7, WCI + WC2 + WC3 1.4 등으로 나타 났다. 결론적으로 율무엑스 수침엑스 중 WC2, WC1 등은 대식세포를 활성화하나 $IFN-{\gamma}$ 첨가는 더욱 그 활성화를 높이며 그 중 WC2가 활성화에 주역을 하는 것으로 사료되는 바이다.

  • PDF

Hericium erinaceum 균사체와 자실체 열수 추출물의 몇몇 In-Vitro 및 In-Vivo 생물활성 (Some In-Vitro and In-Vivo Biological Activities of Hot Water Extracts from Fruit Body and Cultured Mycelium of Hericium erinaceum)

  • 정재현;이광호;이신영
    • KSBB Journal
    • /
    • 제22권1호
    • /
    • pp.22-29
    • /
    • 2007
  • H. erinaceum은 현재 산업적으로 매우 주목되고 있는 기능성 소재들 중의 하나이다. 본 연구에서는 식용은 물론 각종 약리효과를 나타내는 H. erinaceum의 기능성 식품의 제품화 연구 일환으로, 지금까지 체계적으로 연구된 바 없는 H. erinaceum의 액체배양을 시도하고, 생성된 균사체의 생리기능성의 변화를 자실체의 물 추출물과 비교, 조사함으로써 H. erinaceum 액체배양 생성물의 생리기능 효과를 평가, 규명하고자 하였다. H. erinaceum의 자실체 및 균사체 물 추출물은 HeLa (human cervix epitheloid carcinoma; 인간 자궁 상피암세포), Raw264.7 (mouse monocyte macrophage; 생쥐 단핵 대식세포), Jurkat (human acute T cell leukemia, 인간 급성 T 백혈병 세포), KATO3 (human gastric carcinoma 인간 위장 암세포), EL4 (mouse T lymphoma 생쥐 T 림프종 세포), LyD9 (mouse bone marrow plurypotent stem cell; 생쥐 공수유래 간세포) 등 각종 암세포주에 대해 농도 의존적으로 증식 억제 효과를 나타내었다. 자실체 추출물은 균사체 추출물보다 대부분의 암세포 증식의 억제 효과가 컸으며, 가장 높은 암세포 증식 억제효과를 보인 자실체 열수 추출물의 효과는 Raw 264.7 및 EL4 세포주를 사용한 Taxol와의 비교실험 결과, 자실체 농도 0.01$\sim$10 mg/ml에서 자실체 사용량의 1/1000에 상당하는 양의 Taxol 효과와 비슷하였다. 자실체 및 균사체 열수 추출물들은 1 mg/ml 농도에서 복강세포의 nitric oxide 생산 유도능을 나타내었으며, lipopolysaccharides 자극으로 더욱 증가하였다. 반면, 비장세포의 증식유도능 및 interleukin-2 유도능에서는 각 시료 단독으로는 증식 유도 및 interleukin-2 유도능을 나타내지 않았으나 각각 lipopolysaccharide와 concanavalin A의 첨가 및 concanavalin A 자극으로 강한 증식유도능 및 interleukin-2 생산능을 나타내었고, 그 효과는 균사체 추출물에서 자실체 보다 더욱 높았다. 또 각 시료는 골수세포에 대해서도 약간의 증식효과를 보였으며, 복강세포의 탐식능을 나타내었다.

병아리 및 청둥오리에 있어서 닭와포자충의 오오시스트 배설상황과 면역원성 (Oocyst Production and immunogenicity of Cryptosporidium baileyi in chickens and mallards)

  • 이재구;장병귀;박배근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33권1호
    • /
    • pp.45-54
    • /
    • 1995
  • 한국산 Cryptosporidium baileyi를 2일령의 각 청둥오리와 병아리에 $2{\;}{\times}{\;}10^6$개의 오오시스트와 그 10배단계 희석계열을 $2{\;}{\times}{\;}10^2$까지 5단계를 만들어 경구접종시켜 오오시스트 배설상황과 여러 장기내 발육기의 분포상황을 조사하고나서 초감염내과 조류에 처음에 40 mg/30 g 그 24시간 후에 10 mg/30 g의 carrageenan을 복강내 투여하고 그 6시간 후에 다시 $2{\;}{\times}{\;}10^6$개의 오오시스트를 재차접종하여 면역원성을 조사하였다. 오오시스트 투여량이 많을수록 patent period가 길었고(27-30일간, 병아리: 10-18일간 청둥오리), 오오시스트 배설량도 많았으나(극기에 있어서 $6{\;}{\times}{\;}10^5-3.5{\;}{\times}{\;}10^6$, 병아리: $2{\;}{\times}{\;}10^5-4{\;}{\times}{\;}10^5$, 청둥오리) prepatent period는 짧았다(2-3일간. 병아리: 3-4일간, 청둥오리). 한편, 청둥오리에서는 $2{\;}{\times}{\;}10^3{\;}및{\;}2{\;}{\times}{\;}10^3$의 오오시스트 접종군에서는 오오시스트가 전혀 검출되지 않았다. 오오시스트 경구접종 후 12일에 총배설강과 파브리시우스낭에서 다수의 발육기를 검출할 수 있었는데 병아리가 청둥오리보다 현저하였다. Carrageenan 투여군은 모두 대조군은 병아리에서 $2{\;}{\times}{\;}10^5{\;}및{\;}2{\;}{\times}{\;}10^3$, 그리고 청둥오리에서 이 밖에 $2{\;}{\times}{\;}10^4$의 오오시스트 투여군에서도 재차 접종후 4일에서 14일 및 5일에서 15일까지 분변으로부터 오오시스트가 다소 검출되었다 병아리 및 청둥오리에 있어서 재차접종 직전의 말초혈액내 대식세포수 및 복강내 대식세포 활성은 대조군에 비하여 carrageenan 투여군이 현저하게 낮았다(P < 0.05) 병아리와 청둥오리는 Meblocker인 carrageenan을 투여하였음에도 불구하고 이 원충의 재차감염이 미약하였다는 것은 이 원충의 면역원성이 극히 강력하였다는 것을 뜻한다.

  • PDF

RAW 264.7 대식세포에서 lipopolysaccharide 자극에 의한 염증성 및 산화적 스트레스에 미치는 5-aminolevulinic acid phosphate의 영향 (Attenuation of Lipopolysaccharide-induced Inflammatory and Oxidative Response by 5-Aminolevulinic Acid Phosphate in RAW 264.7 Macrophages)

  • 지선영;김민영;황보현;이혜숙;홍수현;차희재;김희수;김석만;최영현
    • 생명과학회지
    • /
    • 제31권9호
    • /
    • pp.818-826
    • /
    • 2021
  • 5-ALA-p는 천연 아미노산인 5-ALA를 암모니아수로 용출하고 인산과 아세톤을 첨가하여 광역학 요법에 적합한 특성을 갖도록 개발된 물질이다. 그러나 항산화 및 항염증에 대한 잠재적인 기전을 포함한 약리학적 효능은 아직 명확하지 않다. 본 연구에서는 LPS로 자극된 RAW 264.7 세포에서 산화적 및 염증성 반응에 대한 5-ALA-p의 효과를 평가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에 의하면, 5-ALA-p는 LPS에 의한 RAW 264.7 세포의 과도한 식균 활성을 유의하게 억제하였고 산화적 스트레스를 약화시켰다. 5-ALA-p는 또한 LPS에 의해 감소된 미토콘드리아 생물 발생을 개선하였으며, 이는 5-ALA-p가 LPS로 인한 미토콘드리아 손상을 복원시켰음을 시사한다. 아울러 5-ALA-p는 NO와 TNF-α, IL-1β 및 IL-6과 같은 염증성 사이토카인의 생성을 현저히 억제하였으며, 이는 iNOS 및 각 사이토카인의 발현 감소와 연관성이 있었다. 나아가 5-ALA-p는 NF-κB의 핵 전이를 감소시키고 MAPKs의 인산화를 억제하여 5-ALA-p의 항염증 효과가 이들 신호전달 경로의 활성 억제와 매개되었음을 보여주었다. 이러한 결과들은 5-ALA-p가 산화적 및 염증성 스트레스를 줄이는 잠재적인 후보 약물로 적용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