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hage type

검색결과 65건 처리시간 0.018초

Lactobacillus casei Bacperiophage의 분류 및 특성에 관한 연구 (Classific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Bacteriophages of Lectobacillus casei)

  • 김영창;박민철;강국희;윤영호;이광웅
    • 미생물학회지
    • /
    • 제17권4호
    • /
    • pp.165-178
    • /
    • 1979
  • Phages of Lactobaciilus casei (PLC) isolated from plant drainage were classified and characterized. The results are as follows : 1. On the basis of host range pattern, phages could be divided into 2 groups (PLC-B and PLC-C). PLC-B group phages could be further divided into 5 sub-groups $(B_1, \;B_2, \;B_3, \;B_4, \;and\;B_5)$. Although PLC-C group phages had the same host range, they could be also divided into 2 sub-groups $(C_1\;and\;C_2)$ by morphlogical type. 2. It was $B_3$ group phages that represented a major proportion (44.4%) of phages tested. However, $B_1$ group phages were shown to have the widest host range. 3. Electron micrographs revealed that the phages fell into three different morphological types. $(B_1, \;B_2, \;and\;B_3)$ group phages hd a hexagonal head (52nm in diameter) and a sheathless noncontractile (245 nm in length). $B_4\;and\;C_2$ group phages had a hexagonal head (56 nm) and a short flexible tail (169nm) having no sheath. $B_5\;and\;C_1$ group phages were shown to have a hexagonal head (81 nm) and a contractile tail (140 nm) having a sheath, a base plate and tail fibers. 4. The inactivation of the phages by antisera indicated that serological relationships correlated completely with morphological types. 5. $B_1, \;C_1\;and\;C_2$ group phages produced a large (1, 2 mm in diameter) plaque with a clear ring. The morphology of plaques of $B_3\;and\;B_5$ group phages was the same as those produced by the above, but the average plaque sizes for $B_3\;and\;B_5$ were 0.8 mm abd 0.5 mm, respectively. $B_2\;and\;B_4$ group phages produced a small (0.5 mm) turbid plaque with an irregular edge. 6. The latent period and the average burst size of $B_1\;and\;B_3$ group phages were 90 min and 100, respectively. These phages reuqired calcium ions for their miltiplication. 7. $B_3$ group phages could not be absrobed to R-variant $KC_1$. 8. The order of resistance of phages to heat was $B_2\;>\;B_1, B_4\;and\;B_5\;>\;B_3\;and\;C_2, \;B_5$ group phages were more stable than $B_3$ in various pH values. $C_2$ group phages were more sensitive to UV irradiation than $B_1\;and\;B_3$ group phages. 9. Strains YIT9018 and IAM 1043 were induced by mitomycin C treatment. Phage particles detected in the lysates had a hexagonal head (38 and 49 nm, respectively), but no tail. Any sensitive indicator strain could not be isolated in spite of repaeated trials.

  • PDF

키토산 및 키토산올리고당 의생리 활성 기능

  • 박헌국
    • 한국식품영양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식품영양학회 1999년도 학술심포지움 자료집
    • /
    • pp.39-57
    • /
    • 1999
  • Chitin은 새우나 게 등을 비롯한 해산 갑각류의 가공 폐기물로 버려지는 부패, 악취발생 등의 환경공해를 일으키며 처리비용 등 여러 가지 문제를 야기하던 물질이지만 최근에는 부가가치가 높은 chitosan 및 chitooligosaccarides로 가공되기 때문에 폐기물의 자원화와 미이용 자원의 개발 등 여러 가지 측면에서 기대가 모아지고 있는 다당류이다. 더욱이 chitin의 탈아세틸화로 얻어지는 chitosan은 polycation의 성질을 가지고 있어서 현재 응집제로서 각종 공업 분야에 널리 이용되고 있으며 최근에는 그 외에도 다양한 생리적 기능성을 가지고 있다는 사실이 밝혀지면서 의료, 생호학, 화장품, 식품, 화학 공업 및 농업용 등 다양한 분야에 응용 가능한 신소재로서 기대가 높아지고 있다. 그런, chitosan은 생리적 기능은 우수하지만 물에 용해되지 않고 점도가 높으며 떫은맛이 나기 때문에 식품을 비롯한 기타 응용분야에 이용이 제한되고 있다. 따라서 많은 연구자들은 이와 같은 물리적인 장애를 개선함으로써 chitosan 자체가 갖는 우수한 생리적 기능을 이용할 뿐만 아니라 항종양성을 비롯한 새로운 생리적 기능을 갖는 chitosan 유도체의 개발을 시도하고 있다. Chitosan 유도체 중에서도 chitooligosaccharides는 chitosan의 가수분해로 얻어지는 저분자 화합물이므로 물에 잘 용해도며 점도가 낮고 용액이 단맛을 낼뿐만 아니라 chitosan이 갖지 않는 새로운 생리적 기능성을 갖는 것으로 알려지면서 관심이 집중되기 시작하였다. 본고에서는 chitosan과 chitooligosaccarides의 생리 활성 기능에 대한 지금까지의 연구결과를 소개하고자 한다.에 대한 면밀한 사안이 밝혀지는 경우가 많지 않다. 또한 그 발생 경위나 원인요소에 대해서는 일반에게 공개되지 않고 있어, 우리가 실천하여 식중독을 예방할 수 있는 정보가 함께 제시되지 못하는 형편이다. 따라서 본 고에서는 최근 수년간 외국에서 학교급식을 비롯한 집단급식 등에서 발생한 식중독 사례를 중심으로 고찰, 분석하였다. 이로부터 식중독 발생에 기여한 주요 원인을 찾아내고 여기서 얻어지는 교훈을 토대로 식중독 발생을 예방 및 최소화할 수 있는 실천적 대처 방안을 모색해 보고자 한다.중의 E. coli O157:H7이 연관되어있다는 보고도 있다. 목장 방문시 원유를 마신 어린이에서 HUS가 유발하였고, 균분리 결과, 농장의 소와 어린이에서 유사한 E. coli O157:H7이 분리된 바 있다. 본 연자들은 베로톡신 유형, plasmid profiles, RFLP 분석, phage type을 기초로하여 소에서 분리된 E. coli O157:H7이 사람유래주와 매우 유사함을 확인하였다.mm 및 2-6mm 난포에서의 101개(67.8%) 및 47개(50.0%) 보다 매우 낮게 나타났다. 전체 회수 난포란수도 4등급이 59.1%(149/252)로써 1, 2, 3등급의 0.4% (1/252), 7.6%(19/252) 및 32.9%(83/252)보다 높게 나타났다. 1회 평균 회수 난포란은 $\leq$2mm 난포에서 4.8$\pm$3.7개로써 2-6mm(3.0$\pm$3.4개) 및 $\geq$6mm (0.3$\pm$0.6개)보다 높았으며, 1회당 평균 8.1$\pm$5.1개의 난포란을 회수하였다. in

  • PDF

임상가검물에서 분리한 Methicillin내성 Staphylococcus aureus의 분자역학적 연구 (Epidemiological Studies on the Methicillin 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Isolated from Clinical Samples)

  • Yang-Hyo Oh;Min-Jung Kim
    • 대한의생명과학회지
    • /
    • 제5권2호
    • /
    • pp.135-145
    • /
    • 1999
  • 임상가검물에서 생화학 검사와 항생제 감수성 검사를 통하여 45주의 Staphylococcu aureus를 분리하여 역학적 연구를 위한 형별 분류로써 항생제 감수성 검사, bacteriophage typing,효소중합 연쇄반응 등을 실시하였으며, methicillin 내성과 관련이 있는 mecA 유전자를 검출 및 역학적 변별력이 있는 가변지역의 중합효소증폭반응을 실시하여, 약제 내성과 관련된 구조 유전자의 발현 양상을 비교하여 특정 유전자 배열의 상동성을 밝히고자 하였다. 45주의 Staphylococcus aureus중에서 mecA 유전자 양성주는 30주였으며, 그 중에서 26주가 methicillin에 내성을 보였다. 약제 내성양상에 따라 9개의 antibiogram으로 분류되었으며, SA6을 제외한 균주에서 penicillin, oxacillin, gentamicin 및 chloramphenicol 에서는 높은 내성을 보였으며, SAl3, SAl4 및 SA27에서는 rifampin에 내성을 보였다. 27주에서 bacteriophage 형별 분류가 가능하였으며, Iytic group III가 12주로 가장 많았다. mecA 유전자와 mec관련 가변부위의 polymerase chain reaction을 실시한 결과 모든 methicillin 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에서는 533 bp의 증폭 band가 관찰되었으나, methicillin 감수성 균주에서는 증폭된 band가 관찰되지 않았다. mec관련 가변부위의 polymerase chain reaction에서는 200 bp에서 600 bp사이에 분포하여 4개의 유형으로 분류되었으며, 410bp인 C형이 10균주로 가장 많았다. C형 가변부위의 DNA sequence에서 40 bp가 반복되는 dru sequence를 관찰할 수 있었으며, 이러한 dru sequence는 4 unit가 직접적으로 중복됨을 알 수 있었다.

  • PDF

PU.1 유전자(cDNA)의 인위적 변이체 클로닝 (Molecular Cloning of Mutant cDNA of PU.1 Gene)

  • 류종석;유시현
    • KSBB Journal
    • /
    • 제10권5호
    • /
    • pp.499-509
    • /
    • 1995
  • PU.1은 6개의 특이적인 purine-rich 염기서열 (5' -GAGGAA-3 )로 구성된 PU box에 결합하는 transcription activator이다. 이 PUol은 macro phage와 B-cell에서만 발현되어 이들 세포를 활성 화시키므로, 포유통물의 연역계를 연구하는 데 중요 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 Full length PUol cDNA 는 open reading frame 816개의 DNA 염기로 구성 되어 있으므로, 아미노산 2727~의 합성을 지령한다. PUol의 활성화는 이를 구성하고 있는 polypeptide 중 세린 잔기가 인산화되어 전사인자로서 작용한다 고 추측된다. PU.1은 22개의 세린을 함유하고 있으 며, 정확한 인산화 위치 빛 수량은 알 수 없으나, casein kinase II 에 의하여 인산화된다고 추측되는 제41,45,132'133,148번째 아미노산 세린들이 제1 차 target sites이다. 본 연구에서는 이상의 제41, 45, 132,133, 148번 아미노산 세린 codon(AGC, AGC, AGC.TCA, TCT)이 알라닌 codon(GCC, GCC, GCC.GCA, G GCT)으로 치환된 4가지의 점돌연변이체 클론 (pKKS41A, pRKS45A, pMKS132$.$133A, pMKS­1 148A)을 다음과 같이 제조하였다. Wild type PUol cDNA(template)를 해당되는 mutant DNA primers로 증폭(PCRjSOE)하여 mutant cDNA 단편을 얻었다. 이를 Hind III와 Xba I 으로 절단된 pBlu­e escript KS +에 접합시킨 후, 대장균(E. coli XLI ~ Blue)에 형질전환시켰다. 이 점돌연변이체들은 인산화 부위 및 수량은 물론 PU.1의 구조 및 기능 (Structure and Function) 연구에 기여할 것이다.

  • PDF

Induction of Anti-Aquaporin 5 Autoantibody Production by Immunization with a Peptide Derived from the Aquaporin of Prevotella melaninogenica Leads to Reduced Salivary Flow in Mice

  • Ahreum Lee;Duck Kyun Yoo;Yonghee Lee;Sumin Jeon;Suhan Jung;Jinsung Noh;Soyeon Ju;Siwon Hwang;Hong Hee Kim;Sunghoon Kwon;Junho Chung;Youngnim Choi
    • IMMUNE NETWORK
    • /
    • 제21권5호
    • /
    • pp.34.1-34.16
    • /
    • 2021
  • Sjögren's syndrome (SS) is an autoimmune disease characterized by dryness of the mouth and eyes. The glandular dysfunction in SS involves not only T cell-mediated destruction of the glands but also autoantibodies against the type 3 muscarinic acetylcholine receptor or aquaporin 5 (AQP5) that interfere with the secretion process. Studies on the breakage of tolerance and induction of autoantibodies to these autoantigens could benefit SS patients. To break tolerance, we utilized a PmE-L peptide derived from the AQP5-homologous aquaporin of Prevotella melaninogenica (PmAqp) that contained both a B cell "E" epitope and a T cell epitope. Repeated subcutaneous immunization of C57BL/6 mice with the PmE-L peptide efficiently induced the production of Abs against the "E" epitope of mouse/human AQP5 (AQP5E), and we aimed to characterize the antigen specificity, the sequences of AQP5E-specific B cell receptors, and salivary gland phenotypes of these mice. Sera containing anti-AQP5E IgG not only stained mouse Aqp5 expressed in the submandibular glands but also detected PmApq and PmE-L by immunoblotting, suggesting molecular mimicry. Characterization of the AQP5E-specific autoantibodies selected from the screening of phage display Ab libraries and mapping of the B cell receptor repertoires revealed that the AQP5E-specific B cells acquired the ability to bind to the Ag through cumulative somatic hypermutation. Importantly, animals with anti-AQP5E Abs had decreased salivary flow rates without immune cell infiltration into the salivary glands. This model will be useful for investigating the role of anti-AQP5 autoantibodies in glandular dysfunction in SS and testing new therapeutics targeting autoantibody produc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