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etiole

검색결과 392건 처리시간 0.024초

인삼(Panax ginseng C. A. Meyer)접합자 배의 형질전환을 위한 재분화 및 항생제 농도 조건 (The Condition of Regeneration and Antibiotics Concentration for Gene Transformation of Zygotic Embryo in Panax ginseng C. A. Meyer)

  • 양덕춘;이은경;최원균;김무성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16권1호
    • /
    • pp.74-81
    • /
    • 2003
  • 인삼 종자로부터 적출한 embryo로부터 multi-shoot를 얻기 위하여 CPA와 BA를 단독 및 복합처리 하여 각각의 유기 양상을 알아본 결과 CPA 0.5mg/ t 에 BA 1.0 mg/ t 복합처리가 multi-shoot를 얻는데 가장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식물호르몬 종류를 달리한 처리구에서는 특히, 2,4-D 1mg/ t 와 kinetin 0.5mg/ t 처리구에서 한 개의 embryo 당 4∼6개의 shoot를 유기시킬 수 있었다. 또한 인삼의 형질전환을 위해 인삼 자엽으로부터 pre-embryoid를 유기하기 위한 가장 최적의 조건은 2,4-D 1mg/ t 과 kinetin 0.5mg/ t 복합처리구에서 가장 효과적이었다. 기내배양에 의해 형성된 shoot로부터 잎의 포함여부에 따른 petiole, 그리고 embryo에서 kanamycin 내성정도를 조사한 결과 잎을 포함한 petiole과 embryo는 kanamycin 100$\mu\textrm{g}$/ m1 농도에서도 다소간 생존하는 것으로 나타나 매우 높은 농도의 항생제를 사용해야 할 것으로 판단되었으며, 잎을 포함하지 않은 petiole의 적정 농도는 100$\mu\textrm{g}$/ m1 정도인 것으로 판단되었다 또한 배배양에 의한 embryo로부터 유기된 자엽 을 2,4-D 1mg/ t 과 kinetin 0.5mg/ t 복합 처리구에서 선발할 경우와 인삼 자엽으로 부터 직접 somatic embryo를 유기하여 인삼의 형질전환을 유도하기 위해서 가장 적합한 kanamycin 농도로는 75∼100$\mu\textrm{g}$/ m1이 가장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개나리족, 향선나무족, Myxopyrum속(물푸레나무과) 엽병의 해부학적 형질 및 분류학적 유용성 (Comparative anatomy of petiole in Forsythieae, Fontanesieae and Myxopyrum (Oleaceae) and its systematic implication)

  • 송준호;홍석표
    • 식물분류학회지
    • /
    • 제42권1호
    • /
    • pp.50-63
    • /
    • 2012
  • 개나리족(Abeliophyllum: 1 sp., Forsythia: 12 spp.)과 향선나무족(Fontanesia: 2 spp.) 및 근연분류군인 Myxopyreae족(Myxopyrum: 5 spp.)을 포함한 총 20분류군의 엽병의 해부학적인 형질을 검토하고자 광학현미경(LM)을 이용하여 연구하였다. 모든 해부학적 형질은 엽병의 횡단면을 단부, 중앙부, 기부로 나누어 관찰하였고, 측정된 정량적 형질과 정성적 형질에 대해 자세히 비교하고 기재하였다. 세 가지 유형(침상, 프리즘형, 선정체)의 결정체가 Fontanesia속과 Myxopyrum속에서만 확인되었다. 미선나무속과 개나리속의 일부 분류군(Forsythia europaea, F. giraldiana, F. japonica)에서만 단세포성 비선모(uni-cellular non-glandular trichome)가 관찰되었다. 본 연구 결과에서는 엽병의 유관속 패턴을 크게 두 타입으로 구분하여 기재하였다. Type 1A: 결정체가 존재하지 않는 단순호형(Abeliophyllum, Forsythia), 1B: 결정체가 존재하는 단순호형(Myxopyrum), Type 2: 결정체가 존재하는 함입호형(Fontanesia). 또한 세부적인 해부학적 형질에 대해 자세히 기재하였고, 분류학적 중요성에 대해 논의하였다. 결론적으로 일부 엽병 해부학적 형질(예, 주유관속 패턴, 결정체의 유무)은 진단형질로서 유용할 뿐 아니라 최근의 분자계통학적 결과를 지지하였다.

참나무 천연집단(天然集團)의 엽형변이(葉型變異) (Variation of Leaf Form of Leaf Variabilities of Natural Population of Quercus spp.)

  • 김지문;권기원;문흥규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71권1호
    • /
    • pp.82-89
    • /
    • 1985
  • 수종간(樹種間), 집단간(集團間), 집단내개체간(集團內個體間)의 변이(變異)를 밝히기 위(爲)해 신갈나무 10개(個) 천연집단(天然集團)과 졸참나무 9개(個) 천연집단(天然集團)의 엽형질변이(葉形質變異)를 조사(調査)하였다. 엽신장(葉身長)/최대엽폭(最大葉幅), 엽신장(葉身長)/엽병장(葉柄長), 엽신장(葉身長)/엽맥수(葉脈數), 상(上)1/3엽폭(葉幅)/최대엽폭(最大葉幅), 상(上)1/3엽폭(葉幅)/하(下)1/3엽폭(葉幅)의 5개(個) 엽형지수(葉型指數)와 엽병장(葉柄長), 엽맥수(葉脈數)가 본(本) 연구(硏究)에 포함(包含)되었다. 졸참나무의 엽신장(葉身長)/엽병장(葉柄長)을 제외(除外)한 조사(調査)된 모든 엽형질변이(葉形質變異)는 집단간(集團間), 집단내개체간(集團內個體間)에 고도(高度)의 유의적(有意的)인 차이(差異)를 보였다. 신갈나무와 졸참나무 다같이 엽신장(葉身長)/최대엽폭(最大葉幅), 엽신장(葉身長)/엽병장(葉柄長), 엽신장(葉身長)/엽맥수(葉脈數)의 지수(指數)에서 남부집단(南部集團)과 북부집단간(北部集團間)에 다른 엽형(葉型)을 나타냈다. 그리고 북부집단(北部集團)의 엽형(葉型)은 신갈나무의 독특(獨特)한 특성(特性)들과 더 유사(類似)하고 남부집단(南部集團)은 졸참나무의 독특(獨特)한 특성(特性)을 더 많이 지니고 있었다. 집단내개체목간(集團內個體木間)에 변이(變異)는 엽신장(葉身長)/엽병장(葉柄長), 엽병장(葉柄長)에서 더욱 두드러지게 나타났고 우리나라 중부(中部)에 하는 속(屬)하는 계룡산집단내(鷄龍山集團內)에서 더욱 현저(顯著)했다.

  • PDF

Brassinolide와 Auxin류(類)의 식물(植物) 생장조절제(生長調節劑)가 무우 자엽병(子葉柄)의 굴절(屈折)에 미치는 영향(影響) (Effect of Brassinolide and Auxin Type Plant Growth Regulators on Radish Petiole Curvature)

  • 최충돈;죽송철부;죽내안지;김길웅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7권1호
    • /
    • pp.84-89
    • /
    • 1987
  • HBR[(22s, 23s)-homobrassinolide]과 auxin류(類)의 생장조절제(生長調節劑) 단독(單獨) 또는 혼용(混用) 처리시(處理時) 무우 자엽병(子葉柄)의 상편생장(上偏生長)(굴절(屈折))에 어떻게 影響(影響)을 마치는가를 구명(究明)하여 얻어진 결과(結果)를 요약(要約)하연 다음과 같다. 1. HBR 단독처리(單獨處理)는 농도(濃度)에 관계(關係)없이 무우 자엽병(子葉柄) 굴절(屈折)에 영향(影響)하지 않았다. 2. 천연식물생장조절제(天然植物生長調節劑) IAA, IBA, NAA의 굴절효과(屆折效果)는 짧았고 IAA는 처리후(處理後) 4(시간(時間)), IBA는 12~24 시간(時間), NAA는 12 시간(時間) 지나면 감소(減少)하였다. 이 가운데 NAA 100ppm 처리구(處理區)에서 가장 높았고 IAA 처리(處理)에서 전반적으로 가장 높았고 IAA 처리(處理)에서 전반적으로 가장 효과(效果)가 낮았다. 3. 합성(合成) auxin 류(類)인 MCP나 2, 4-D의 굴절효과(屈折效果)는 대체로 36시간(時間) 지속(持續)되었으며 고농도(高濃度)인 100 ppm에서 무처리(無處理)에 3배(倍) 이상(以上) 증대(增大)시켰다. 30ppm 이하(以下)의 저농도(低濃度)에서는 효과(效果)도 작고 농도간(濃度間) 차(差)도 작았다. 4. NAA와 HBR의 혼용(混用)은 NAA 100ppm 처리(處理)에서 HBR 100 ppm 단독(單獨)보다 약(約) 3배(倍) 증대(增大)시켰으나 30 ppm 이하(以下)의 농도(濃度)에서는 큰 차이(差異)가 없었다. 5. HBR에 MCP 3ppm의 혼용(混用)은 HBR 단독처리(單獨處理)에 비(比)하여 굴절각(屈折角)을 약(約) 3배(倍) 증대(增大)시켰다. HBR과 2.4-D의 혼용(混用)은 농도(濃度)가 증가(增加)할수록 굴절각(屈折角)의 반응(反應)이 크게 나타났으며 100 ppm 혼용(混用)에서 HBR 단독처리(單獨處理)에 비(比)하여 약(約) 8배(倍) 증가(增加)시켰다.

  • PDF

인삼 주요형질의 변이계수 (Coefficient of Variability of Agronomic Characters in Panax ginseng C.A. Meyer)

  • 안상득;최광태
    • Journal of Ginseng Research
    • /
    • 제9권1호
    • /
    • pp.9-14
    • /
    • 1985
  • The aerial parts, stem diameter, stem length, Petiole length, leaf length and leaf width were investigated to estimate coefficient of variability in ginseng at 2 to 4 years grown under the conventional and improved shadings. C.V values of characters such as stem length, petiole length, leaf length and leaf width were decreased with increasing the plant age, while that of steam diameter was increased. C.V. values of aerial part characters were higher in conventional shading than in improved shading, and the variance of c.v. was not significant when above 20 plants were investigated.

  • PDF

Development of an efficient protocol for high-frequency regeneration system in Hibiscus syriacus L.

  • Seo, Sang-Gyu;Ryu, Sun-Hee;Zhou, Yang;Kim, Sun-Hyung
    • Journal of Plant Biotechnology
    • /
    • 제44권2호
    • /
    • pp.164-170
    • /
    • 2017
  • A rapid and efficient in vitro regeneration system was established for Hibiscus syriacus L. The successful regeneration protocol employs induction of shoot organogenesis on leaf, petiole, and root explants. Among the various plant growth regulators evaluated, thidiazuron (TDZ) was the most effective for inducing rapid shoot formation. Most efficient shoot regeneration frequency was obtained from Murashige and Skoog (MS) media containing 0.01 mg/L TDZ. Regeneration efficiency was highest in the roots, and lowest in the leaves. A combination of 0.01 mg/L TDZ with benzyladenine (BAP) markedly improved the frequency of shoot differentiation from the root (up to 98%) and petiole (up to 88%) explants. Furthermore, leaf and petiole explants showed the highest frequency of shoot induction in half-strength MS media containing 0.01 mg/L TDZ and 1.0 mg/L BAP, while root explants formed the greatest number of shoots when 0.01 mg/L TDZ and 0.1 mg/L BAP were added to half-strength MS media. Although the frequency of shoot differentiation from leaf explants was only 50%, the leaf is considered the most efficient plant organ for use in tissue culture because leaves are easier to obtain than roots and petioles. Our findings show that various organs of H. syriacus can be used for plant regeneration, and the protocol developed in this study may be applicable in the horticulture industry.

거베라 기내 엽병조직으로부터 Callus 유도 및 식물체 재분화 (Callus induction and plant regeneration from in vitro cultured petiole of 3 Gerbera cultivars.)

  • 정용모;나애실;고은경;송혜정;김정부;권오창
    • 생명과학회지
    • /
    • 제14권5호
    • /
    • pp.855-858
    • /
    • 2004
  • 본 연구는 거베라의 신품종을 육성하여 식물체 재분화 조건을 찾기 위하여 경남농업기술원 화훼육종연구소에서 육성한 화이트데이, 송송이 그리고 러브송 등 3품종을 이용하여 기내배양묘의 엽병으로부터 callus 유도조건 및 식물체 재분화에 미치는 몇 가지 요인을 구명하기 위해 실시되었다. Callus의 유도에 있어서는 3품종 중 '화이트데이'가 다른 품종보다 callus형성이 양호하였다. Callus의 유도를 위한 가장 효과적인 식물생장조절물질의 조건은 MS 기본배지에 NAA 0.1 mg/L+TDZ 0.5 mg/L의 조건에서 양호하였다. 식물체 재분화를 위한 가장 효과적인 식물생장조절물질의 조건은 MS 기본배지에 IAA 1.0 mg/L+BA 1.0 mg/L+Zeatin 0.1 mg/L의 혼용조건에서 양호한 경향이었다. 배양 식물체 재분화를 위한 엽병의 적정 계대배양 기간은 계대배양 후 32일이 경과된 엽병에서 양호한 경향이었다. 또한 식물체 재분화를 위한 적정 MS 배지의 농도는 1/2MS에서 식물체의 분화가 양호하였다.

갯방풍(Glehnia littoralis Schmidt et Miquiel)에서 캘러스 유도 및 식물체 재분화에 미치는 생장조절제의 효과 (Comparative Effect of Plant Growth Regulators on Callus Induction and Plant Regeneration in Glehnia littoralis Schmidt et Miquiel)

  • 이병국;한미숙;정양균;나의식;윤성중;유남희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17권2호
    • /
    • pp.153-160
    • /
    • 2004
  • 갯방풍의 캘러스 유도와 식물체 재분화에 영향을 미치는 생장조절제에 대한 몇 가지 요인들을 조사하였다. 식물체 조직으로부터 캘러스의 유도에 적절한 배지의 조건은 1∼2 mg/L, 2,4-D와 1∼2 mg/L BA 혼용처리 조합에서 캘러스의 유도율이 높았고, 조직별 캘러스 유도율은 엽조직 보다 엽병에서 우수하였으나, 다른 식물의 부정아 발생 양상과 달리 엽조직에서 발생한 캘러스로부터 부정아와 부정근의 형성을 보였다. 조직별 캘러스의 식물체 분화율은 식물생장 조절제의 농도가 높을수록 양호하였고 적정농도는 1 mg/L NAA와 2 mg/L BA 이었다. 이후 분화된 식물체를 계대배양하여 대량증식을 위해 multiple shoot를 발생시키고 뿌리를 발생시킬 수 있도록 발근배지에 옮겨 생육 시킨 후 식물체의 초장에 따라 vermiculite에 순화시켜 생존율을 조사한 결과 높은 생존율을 보임을 알 수 있었다.

Development of 'Sammany', a New Variety of Gomchwi with Powdery Mildew Resistance and High Yield

  • Suh, Jong Taek;Yoo, Dong Lim;Kim, Ki Deog;Lee, Jong Nam;Hong, Mi Soon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31권6호
    • /
    • pp.714-718
    • /
    • 2018
  • A new Gomchwi cultivar 'Sammany' was developed by a cross between Gomchwi (Ligularia fischeri (Ledeb.) Turcz.) and Handaeri-gomchwi (Ligularia fischeri var. spiciformis Nakai). Gomchwi is a common Korean name referring wild edible plant species within Ligularia genus. 'Sammany' has purple colored petiole ears and petiole trichome is absent. It has 2nd degree leaf vein density. Plant height, leaf length, leaf width and petiole length were 46.2, 19.1, 19.5 and 32.1 cm, respectively. Plant height was higher than 'Gondalbi'. Bolting occurred in mid. July and it flowered from late August to early September. 'Gondalbi' bolted and flowered 26 days earlier than 'Sammany', and consequently has earlier flowering time more than 26 day. Leaf number of 'Sammany' was 156 per plant but 'Gondalbi' had 130. 'Sammany' had thicker leaves (0.61 mm) compared to 'Gondalbi' (0.46 mm). As a result, yield was higher in 'Sammany (1,077 g/plant)' than 'Gondalbi (798 g/plant)' and leaf hardness was lower in 'Sammany ($20.8kg/cm^2$)' compared to 'Gondalbi ($23.0kg/cm^2$)'. In addition, 'Sammany' was found to be moderately resistant to powdery mildew. With enhanced agronomic and pathology traits, 'Sammany' was newly registered as a new Gomchwi cultivar (variety protection no. 131 on May 2017).

한국산(韓國産) 단풍나무속(屬)의 잎의 형태(形態) 및 해부학적(解剖學的) 연구(硏究) (A Morphological and Anatomical Study on the Leaves of the Genus Acer in Korea)

  • 박광우;김삼식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64권1호
    • /
    • pp.52-63
    • /
    • 1984
  • 본(本) 연구(硏究)는 한국산(韓國産) 단풍나무속(屬) 17종류(種類)(12종(種), 5변종(變種))를 잎의 기공형태(氣孔形態), 부위별(部位別) 털의 형태(形態), 엽병(葉柄) 부위별(部位別) 중심주(中心柱)의 형태(形態)와 수적(數的)인 변화형(變化型)에 의해서 식별(識別)을 시도(試圖)한 것이며, 그 결과(結果)를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단풍나무속(屬)의 기공형태(氣孔形態)는 부규칙형(不規則J型)으로 길이는 $10.25{\sim}21.00{\mu}$ 이었고, 폭(幅)은 $7.57{\sim}11.83{\mu}$이었다. 2) 단풍나무속(屬) 잎의 부위별(部位別) 털의 형태(形態)는 11가지로서 장유모(長柔毛), 장연모(長軟毛), 견모(絹毛), 단연모(短軟毛), 금모(錦毛), 미모(微毛), 세유모(細柔毛), 선모(線毛), 경직모(硬直毛), 경조모(硬粗毛), 구모(鉤毛)가 있었으며 이는 분류(分類)에 중요(重要)한 거점(據點)이 되었다. 3) 단풍나무속(屬)의 엽병(葉柄) 중심주(中心柱)는 다조형(多條型)으로 진정중심주(眞整中心柱)와 부정중심주(不整中心柱)를 가지며, 엽병(葉柄) 부위별(部位別) 중심주지(中心柱枝)의 수적(數的)인 변화형(變化型)은 6가지로서 기부(基部)>중앙부(中央部)=정부(頂部), 기부(基部)<중앙부(中央部)=정부(頂部), 기부(基部)=중앙부(中央部)=정부(頂部), 기부(基部)>중앙부(中央部)<정부(頂部), 부(基部)>중앙부(中央部)<정부(頂部), 부(基部)=중앙부(中央部)<정부(頂部)가 있었다. 4) 단풍나무속(屬)의 엽병(葉柄) 절단면(切斷面) 형태(形態)는 7가지로서 a, b, c, d, e, f, g형(型)이 있었으며 형태별(形態別) 출현빈도(出現頻度)는 b형(型)이 7개(個) 수종(樹種)에서 나타나서 가장 높은 출현빈도(出現頻度)를 보였으며, a형(型)과 c형(型)은 각각 4개(個) 수종(樹種)에서 나타났으며, g형(型)은 3게종(個種)에서, d, e, f형(型)은 각각 2개(個) 수종(樹種)에서 나타났다. 이상(以上)을 종합(綜合) 결론(結論)하면 한국산(韓國産) 단풍나무속(屬) 12종(種) 5변종(變種)에 대한 엽기공(葉氣孔), 엽모(曄母) 및 엽병(葉柄)의 중심주(中心柱)의 형태적(形態的) 특징(特徵)과 엽병(葉柄) 부위별(部位別) 중심주지(中心柱枝)의 수적(數的)인 변화(變化)에 의해서 분류(分類)할 수 있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