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esticide distribution

검색결과 108건 처리시간 0.03초

송이로부터 골프장 농약 제거를 위한 합성 제올라이트의 개발 (Development of Synthetic Zeolites from Scoria for Pesticides Removal in the Golf Course)

  • 감상규;안병준;주창식;이민규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10권6호
    • /
    • pp.451-459
    • /
    • 2001
  • Adsorption characteristics of triadimefon and diniconazole(pesticide) by natural zeolite($CLI_N$) and several synthetic zeolites were Investigated. The synthetic zeolites used En this study were as follows: Faujasite synthesized from coal fly ash($FAU_F$); Zeolite synthesized from the mixture of FAU and Na-Pl synthesized from the ratio of Cheju scoria 6 to coal fly ash 4 by weight($(FAU + Na-Pl)_{SF}$); waste fluid catalytic cracking catalyst($FCC_W$). The distribution coefficient, $K_D$ and Freundlich constant, $K_F$ decreased in the fellowing sequence : $FCC_W > FAU_F > (FAU + Na-Pl)_{SF} >CLI_N$ among the zeolites. The distribution coefficient and the adsorption capacity of $(FAU + Na-Pl)_{SF}$ for pesticides were 4.4 and 2.6 times higher for triamefon, and 2.0 and 2.4 times higher for diniconazole than those of $CLI_N$, respectively.

  • PDF

Estimating Concentrations of Pesticide Residue in Soil from Pepper Plot Using the GLEAMS Model

  • Jin, So-Hyun;Yoon, Kwang-Sik;Shim, Jae-Han;Choi, Woo-Jung;Choi, Dong-Ho;Kim, Bo-Mi;Lim, Sang-Sun;Jung, Jae-Woon;Lee, Kyoung-Sook;Hong, Su-Myeong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30권4호
    • /
    • pp.357-366
    • /
    • 2011
  • BACKGROUND: Mathematical model such as GLEAMS have been developed and successfully applied to upland fields to estimate the level of pesticide residues in soil. But, the GLEAMS model rarely applied to the Korean conditions. METHODS AND RESULTS: To evaluate pesticide transport in soil residue using the GLEAMS model from pepper plot, Alachlor, Endosulfan, Cypermethrin and Fenvalerate were applied for standard and double rate. Soil sampling was conducted and decaying patterns of pesticides were investigated. Observed climate data such as temperature and irrigation amount were used for hydrology simulation. The observed pesticide residue data of 2008 were used for parameter calibration, and validation of GLEAMS model was conducted with observed data of 2009. After calibration, the $K_{oc}$ (Organic carbon distribution coefficient) and WSHFRC (Washoff fraction) parameters were identified as key parameters. The simulated concentrations of the pesticides except Fenvalerate were sensitive to $K_{oc}$ parameter. Overall, soil residue concentrations of Alachlor, Cypermethrin and Fenvalerate were fairly simulated compared to those of Endosulfan. The applicability of the GLEAMS model was also confirmed by statistical analysis. CONCLUSION(s): GLEAMS model was eligible for evaluation of pesticide soil residue for Alachlor, Cypermethrin and Fenvalerate.

농약(農藥)의 살포방법(撒布方法)이 수도체부위별(水稻體部位別) 부착량(附着量)에 미치는 영향(影響) (Studies on the Distribution of Pesticide Deposit on Rice Plants Sprayed with Various Dilution and Dosage)

  • 오병렬;정영호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24권3호
    • /
    • pp.181-185
    • /
    • 1981
  • 농예(農藝)의 살포방법(撒布方法)에 따른 수도체(水稻體) 부위별(部位別) 잔류량(殘留量)의 분포(分布)를 조사(調査)하기 위(爲)하여 밀양(密陽) 23호(號)와 아끼바레를 공시작물(供試作物)로 fenitrothion(유제(乳劑), 50%), Imidan(수화제(水和劑), 50%), diazinon(유제(乳劑), 34%), phenthoate(유제(乳劑), 47.5%) 및 neoasozin(액제(液劑), 6.5%)에 대(對)하여 시험(試驗)하였다. fenitrothion과 imidan은 고농도(高農度), 소량살포(小量撒布)(500배액(倍液), 60l/10a)가 저농도(低濃度), 다량살포(多量撒布)(1,000배액(倍液), 120l/10a)가 수도체(水稻體) 하반부중(下半部中) 잔류농도(殘留濃度) 및 부착량(附着量)을 증가(增加)시켰다. Imidan은 예제살포(藝劑撒布) 6일후(日後), fenitrothion은 15일후(日後)에 수도체상(水稻體上), 하반부(下半部)의 잔류량(殘留量)이 동일(同一)하였다. diazinon, phenthoate, neoasozin의 수도체(水稻體) 상반부중(上半部中) 잔류분포비율(殘留分布比率)은 일반품종(一般品種)(아끼바레)에서 보다 신품종(新品種) (밀양(密陽)23호(號))이 높았다.

  • PDF

경북지방(慶北地方)의 농약중독(農藥中毒)에 대한 역학적(疫學的) 조사(調査) (Epidemiology of Pesticide Poisoning in Kyungpook)

  • 정종학;조재연
    • 농촌의학ㆍ지역보건
    • /
    • 제8권1호
    • /
    • pp.28-34
    • /
    • 1983
  • 농약사용량(農藥便用量)의 증가(增加)에 따라 농약중독자(農藥中毒者)가 전 세계적으로 증가(增加)하는 추세인데 우리나라에서는 아직까지 농약중독자(農藥中毒者)에 대한 역학조사(疫學調査) 보고(報告)가 없는 실정이다. 1981년(年)부터 1982년(年)까지 2년간(年間) 경상북도(慶尙北道) 전지역(全地域)을 대상으로 의원(醫院), 병원(病院) 및 보건소(保健所)의 의무기록(醫務記錄)을 조사(調査)하여 농약중독자(農藥中毒者)를 파악하여 그 실태를 분석(分析)하였다. 1981년(年)에 765명, 1982년에 853명의 중독자(中毒者)가 발생(發生)하였다. 연령별(年令別)로는 20대(代)가 제일 많았고 성별(性別)로는 남자가 70% 여자가 30%였다. 중독경위별로는 직업적인 중독이 27.8%, 우연에 의한 사고(事故)가 5.6%였고 자살목적(自殺目的)이 66.6% 였다. 월별(月別)로는 6, 7, 8, 9월(月)에 발생(發生)이 많고 7월(月)이 제일 많고, 월평균(月平均) 67명이 발생(發生)하였다. 의료기관이용(醫療機關利用)은 개인의원이 49%, 병원이 43%였다. 치명율(致命率)은 직업적인 중독이 0.9%, 사고(事故)에 의한 중독(中毒)이 5.6% 자살목적(自殺目的)의 중독(中毒)에서 20.3%로 평균(平均) 14.1%였다. 인구 100,000 당 농약중독(農藥中毒) 발생(發生)은 년간(年間) 25.4였다.

  • PDF

화학살충제의 사용이 한국 중서부지역 논습지에 도래하는 수조류 분포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Pesticide Use on Distribution of Waterbirds in Rice Fields at Mid-western Part of South Korea)

  • 남형규;김미란;최그린;장둘리;최승혜;조광진;최락중;나영은;김명현
    • 환경생물
    • /
    • 제34권4호
    • /
    • pp.361-364
    • /
    • 2016
  • 자연습지의 감소로 인해 논습지를 이용하는 수조류가 증가하고 있다. 그에 따라 논습지는 수조류 개체군의 유지를 위한 중요한 서식지로서 역할을 한다. 논습지를 이용하는 수조류에 관해서는 여러 연구가 수행되었지만 화학살충제의 사용이 수조류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는 미비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화학살충제의 사용이 수조류의 분포를 결정하는지 확인하기 위해 수행하였다. 2013년 7월부터 2014년 6월, 2014년 9월부터 2015년 8월까지 대호간척농지 내 조성된 친환경농업지역과 관행농업지역에 도래하는 도요물떼새류, 백로류, 오리기러기류의 분포 특성을 확인하였다. 그 결과 해오라기, 황로, 중백로와 같은 백로류에서 화학살충제 사용이 분포를 제한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다른 분류군에서는 화학살충제가 분포를 결정하는 요인으로 확인되지 않았다. 향후 다층 스케일의 공간적 스케일에서 분석을 통해 더욱 명확한 관련성을 확인하는 것이 필요하다.

잔류농약 다성분 동시분석을 위한 흡착 크로마토그래피의 적용 (Adsorption Column Chromatography for Simultaneous Determination of Multi-pesticide Residues)

  • 김찬섭;임양빈;최주현;이경미;이영득
    • 농약과학회지
    • /
    • 제14권4호
    • /
    • pp.347-360
    • /
    • 2010
  • 잔류농약 다성분 동시분석을 위하여 국내에 등록되어 사용되고 있는 농약 180종을 대상으로 서로 다른 흡착제를 사용하는 2종의 흡착크로마토그래피 체계를 확립하고자 하였다. 유럽과 미국, 우리나라의 흡착크로마토그래피 방법을 참고하여 Florisil과 silica-gel 크로마토그래피 용출용매체계를 정한 후 농약성분별 용출양상을 확인하였다. 칼럼정제실험 결과 Florisil 체계와 silica-gel 체계에서 각각 대상농약의 145와 137종이 70-120% 범위의 회수율을 나타내었다. 인접분획에 걸쳐 용출된 경우를 중복 계수하여 얻은 용출분획별 분포율은 용출분획 순서별로 Florisil 체계의 경우 12, 76, 81, 60 및 30성분 순이었고, silica-gel 체계의 경우는 22, 59, 102, 46 및 8성분 순이었다.

농업용 멀티콥터를 활용한 무인항공기용 작물보호제에 대한 배추 파밤나방의 약제감수성 (Susceptibility of Spodoptera exigua to UVA Insecticides Using Agricultural Multi-copter on Cabbage Field)

  • 박부용;이상구;정인홍;박세근;이상범;김길하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58권4호
    • /
    • pp.271-280
    • /
    • 2019
  • 본 연구에서는 배추에 발생하는 파밤나방에 대하여 멀티콥터를 이용한 무인항공용 방제약제의 약효 및 약해를 조사하였다. 약해는 배추와 7개 주변작물에 대하여 시험대상 약제를 기준량과 배량으로 처리하여 살충 효과를 조사하였다. 배추 포장에 스피네토람 액상수화제(16배)와 메톡시페노자이드, 설폭사플로르 액상수화제(16배)를 살포하였고, 감수지를 이용하여 살포 약제의 낙하입자를 측정하고 피복도를 조사하였다. 두 가지 약제 모두 배추의 파밤나방에 대하여 97% 이상의 우수한 살충 효과를 보였다. 기준량 및 배량에서 배추와 7개 주변작물에 약해가 발생하지 않았다. 낙하입자 분석결과 바람 세기의 차이에 따라 낙하입자의 균일도가 다른 양상을 보였다.

농약 살포 드론의 노즐 유동 특성 및 시뮬레이션 (Nozzle Flow Characteristics and Simulation of Pesticide Spraying Drone)

  • 강기준;장세명;나인호;김선우;김흥태
    • 스마트미디어저널
    • /
    • 제8권4호
    • /
    • pp.38-45
    • /
    • 2019
  • 회전익 드론의 후류에서 발생하는 강한 유동과 살포되는 농약 노즐에서의 스프레이 유동이 동반될 경우, 극심한 기체의 요동과 함께 액적 유동은 바람의 영향을 크게 받게 된다. 특히 액적은 공기역학적인 항력의 영향을 받기 때문에 단순한 제자리 비행과는 달리 전진 비행을 할 경우 또는 측풍을 받고 있을 경우, 살포 영역에 큰 변화가 발생한다. 이로 인하여 드론을 활용한 농약살포에는 보다 큰 비산의 위험성이나 위치간의 낙하분산에 차이가 커져 효율성이 떨어질 수 있는 문제가 생긴다. 따라서 적절한 수치 모델링과 이를 적용한 전산 시뮬레이션을 통하여 다양한 비행 및 대기 조건을 적용할 수 있는 예측 도구가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로터에서 나오는 강한 하풍과 드론의 비행속도에 따른 액적 유동 특성에 대해 실험 및 수치해석을 진행하였으며, 액적이 분포하는 확률밀도함수를 구하여 서로 비교함으로써 농약살포용 드론에서 액적을 살포할 시 효율성을 증진시킬 수 있는 분사 시스템을 구축하고자 한다.

경기지역 농산물도매시장 일부 엽채류의 월별 농약 잔류특성(2009~2013년) (Characteristic of Pesticide Residues in Some Leafy Vegetables at the Whole Market in Gyeonggi-do from 2009 to 2013)

  • 권순목;권용해;최옥경;박명기;김기철;강석호;강흥규;하진옥;유수환;이무영;장진호;박광희;김중범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30권2호
    • /
    • pp.196-201
    • /
    • 2015
  • 2009년부터 2013년까지 경기지역 농산물도매시장으로 유입된 채소류에 대해 농약 잔류량을 조사한 결과 허용기준초과 빈도가 높은 5개 품목은 엽채류 중 쑥갓 48건(5.8%), 근대 28건(5.1%), 시금치 28건(3.4%), 깻잎 25건(3.4%), 참나물 24건(3.7%) 순으로 나타났다. 쑥갓과 근대는 6~9월에 높게 나타났고 시금치는 10~11월과 12~1월에 높게 나타났다. 깻잎은 7~8월 사이와 1월에 높게 나타났으며 참나물은 8~9월에 허용기준초과율이 높게 나타났다. 월별 단가와 잔류농약 검출률 간의 상간관계를 분석하고자 Pearson's correlation을 수행한 결과 참나물, 시금치, 깻잎의 경우 양의 관계(Pearson r = 0.337, 0.316, 0.297)를 나타내어 통계학적으로 유의적 차이를 나타내었다. 품목별 월별 단가와 잔류농약 허용기준초과률율 간의 상호관계를 분석하고자 Pearson's correlation을 수행한 결과 참나물, 쑥갓은 양의 관계(Pearson r = 0.259, 0.256)를 나타내어 통계학적으로 유의적 차이를 보였다(p < 0.05). 5종의 엽채류 중 참나물, 시금치, 깻잎, 쑥갓에서 월별 단가와 잔류농약 검출률 또는 허용기준초과율 중 한 가지 이상에서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향후 월별 단가와 농약 잔류에 대한 전국단위의 연구조사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되며 잔류농약 허용기준초과 빈도를 저감화하기 위해서는 각각 농산물에 대한 농약 안전사용기준 준수와 수확 전 농약 사용 금지 기간을 준수하여야 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Triazole계 살균제의 양파 흡수이행 및 조리 형태별 소실 양상 (Patterns of Uptake and Removal by Processing Types of Triazole Fungicides in Onion)

  • 이은향;황정인;김장억
    • 농약과학회지
    • /
    • 제19권3호
    • /
    • pp.248-254
    • /
    • 2015
  • 양파 중 살균제 fluquinconazole 및 tetraconazole의 흡수양상을 조사하기 위하여 양파의 지상부에 fluquinconazole+tetraconazole 21% (14:7, v/v) 유현탁제를 500 및 200배 희석하여 살포하고 10일 경과 후 양파 지상부와 가식부에서 농약의 잔류량을 측정하였다. 양파 지상부에서 잔류량은 200배 희석 살포구에서 fluquinconazole이 5.2 mg/kg으로 가장 높게 나왔으며 500배 희석 살포구에서 tetraconazole이 1.2 mg/kg으로 가장 적었다. 지상부를 통해 양파 가식부로 이행된 농약의 잔류량은 검출한계(0.1 mg/kg) 미만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양파 가식부를 최외각부터 차례로 세 부분으로 나누어 농약 잔류량을 분석한 결과 fluquinconazole이 0.04~0.24 mg/kg의 농도로 검출되어 양파 가식부 층별로 농약이 다르게 분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양파 가식부를 1,000배 농약 희석액에 침지한 후 삶기(boiling), 볶음(stir frying) 및 절임(pickle)과 같은 양파 조리를 실시한 결과 삶은 후에 76.9~92.6%의 제거율로 두 농약 모두 가장 많이 소실되는 것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