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ersonal teacher efficacy

검색결과 50건 처리시간 0.031초

예비 가정과 교사의 교수내용지식(PCK)과 교수 효능감 관련 연구 (A Study on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PCK) and Teaching Efficacy of Prospective Home Economics Teachers)

  • 김은정;이윤정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29권1호
    • /
    • pp.57-70
    • /
    • 2017
  • 본 연구는 예비 가정과 교사의 교수내용지식(PCK)과 교수 효능감 수준을 알아보고 이들 간의 관계를 확인하고, 예비 가정과 교사의 일반적인 특성에 따른 PCK와 교수 효능감 수준을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하여 전국의 대학교 사범대학의 가정교육과 학생 또는 교육대학원의 가정교육전공 학생 202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대체로 예비 가정과 교사들의 PCK에 대한 자기지각과 교수 효능감은 높지 않은 편으로 나타났다. PCK 하위범주 중에서는 내용지식의 평균값이 가장 높았고, 표현지식과 환경상황지식이 가장 낮은 값을 보였다. 또한 표현 지식과 내용 지식이 많을수록 가정교과의 교수 자기 효능감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표현지식과 환경상황지식이 높을수록 교수 결과에 대한 기대감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학생 지식도 자기 효능감의 두 변수들과 높은 상관을 보였다. 또한 예비교사들의 학년, 교직진로선택 여부, 수강한 기본이수과목수에 따라 PCK와 교수 효능감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2학년의 PCK와 교수 효능감이 가장 높았고, 3, 4학년으로 갈수록 오히려 PCK와 교수 효능감이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교직을 고려하지 않을수록 PCK와 교수 효능감이 높았으며, 수강한 기본이수과목수는 PCK와 교수 효능감에 부적 영향을 보였다. 예비 가정과 교사들의 PCK에 대한 자기지각과 교수 효능감은 높지 않은 편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교사양성기관에서의 학생들의 교수 효능감을 증진할 수 있는 교육과정과 교사로서의 진로를 선택할 경우 진로를 위하여 준비할 수 있는 지원 등이 마련되어야 하며, 교원양성 교육과정 중 예비교사들에게 수업실연과 교육 실습의 기회가 충분히 주어지도록 하는 것이 중요함을 제언하고 있다.

소규모학교 과학실험 보조교사의 경험이 초등 예비교사의 과학 수업 불안 및 과학 교수 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s of Experience as a Science Experiment Assistant Teacher on the Science Instruction Anxiety and the Science Teaching Efficacy Beliefs of Elementary Pre-service Teachers in Small Scale School)

  • 신애경
    •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 /
    • 제12권1호
    • /
    • pp.109-118
    • /
    • 2019
  • 이 연구의 목적은 소규모학교 과학실험 보조교사로 참여한 경험이 초등 예비교사의 과학 수업 불안과 과학 교수 효능감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초등 예비교사 21명을 선정한 후 약 10개월 동안 초등학교에서 과학실험 보조교사 업무를 수행하도록 하였다. 그리고 예비교사들에게 과학실험 보조 교사로 참여하기 전과 보조교사가 끝난 후에 과학 수업 불안과 과학 교수 효능감을 알아보는 검사를 실시하였고, 검사 결과를 분석한 후 일부 예비교사는 면담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를 살펴보면, 소규모학교 과학실험 보조교사 경험은 초등 예비교사들의 과학 수업 불안도와 그 하위 요소인 과학 수업 상태 불안도 및 과학 수업 특성 불안도 모두를 감소시키는데 효과가 있었다. 또한 과학 교수 효능감과 그 하위 요소인 과학 교수 자기 효능감에서는 효과가 있었으나, 과학 교수 결과기대감에서는 효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과학실험 보조교사 경험은 예비교사의 개인적인 경험 및 인식에 따라 그 효과가 다르게 나타났다.

보육교사 적성검사 도구 개발 (The Development of an Aptitude Test for Child Care Teachers)

  • 김혜경;조복희
    • 아동학회지
    • /
    • 제33권5호
    • /
    • pp.221-246
    • /
    • 2012
  • This study was conducted in order to develop an aptitude test for child care teachers (ATCCT) and to analyze it in terms of both validity and reliability. The main participants in this study consisted of 710 pre-service child care teachers. The results of factor analysis identified 7 factors and 56 items which were selected from 121 items in the original scale. The seven factors were as follows; interpersonal relationship management abilities, receptiveness and responsiveness to children, creativity and personal development, the ability to form close relationships with children, the ability to supervise child safety, the sense of duty, and positive emotions. The four factors were related to social relationship. Criterion-related validity was established by using correlations between the ATCCT and the TSES (Teacher Self-efficacy Scale). The internal consistency was found to be relatively high (Cronbach's ${\alpha}$ = .94) and test-retest reliability was also established (r = .53). In addition, there were differences among pre-service child care teacher groups according to both relative levels of education and courses taught.

중.고등학교 교사의 자기효능감이 건강증진 생활양식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Self-Efficacy on Health Promotion Lifestyle in Teachers)

  • 박현주;정혜선;이지혜
    • 한국학교보건학회지
    • /
    • 제22권2호
    • /
    • pp.183-191
    • /
    • 2009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s between self-efficacy and health promotion lifestyle in middle and high school teachers. Methods: This study used survey data from 26 middle and high schools The study included 181 teachers who completed questionnaires. The questionnaires were consisted of demographic and occupational characteristics, self-efficacy on health behaviors, and Health Promotion Lifestyle Profile (HPLP). Analyses were done using frequency, percentage, correlation,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ith dummy variables. SAS 8.2 was used. Results: Mean self-efficacy score on health behaviors was 4.1${\pm}$0.5. Mean health promotion lifestyle scores were healthy diet (2.4${\pm}$0.5), physical activity (2.0${\pm}$0.8), stress management (2.3${\pm}$0.5), self-fulfillment (2.9${\pm}$0.5), responsibility of health (2.3${\pm}$0.6), and personal relationship (2.7${\pm}$0.6). Self-efficacy was significantly related to all health promotion lifestyle scores (healthy diet, physical activity, stress management, self-fulfillment, responsibility of health, and personal relationship). Among demographic and occupational characteristics, sex and school level was significantly related to healthy diet. Sex was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physical activity. Marital status was significantly related to responsibility of health. Conclusions: The results showed that intervention programs for middle and high school teachers targeting health promotion lifestyle are needed. These intervention programs would be effective when sex, age, marital status, and school level are considered. In addition, given that higher self-efficacy was related to higher health promotion lifestyle scores, it strengthens the need for further investigations aimed at how to change self-efficacy in teachers.

초등 예비 교사의 구성주의적 과학 평가관에 대한 연구 (The Study on the Perceptions of Pre-service Elementary School Teachers toward Constructivist Science Assessment)

  • 윤지현;강석진;노태희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29권1호
    • /
    • pp.86-92
    • /
    • 2010
  • Although constructivist assessment has been emphasized by many science educators, most elementary school teachers are still not familiar with this. In order to investigate the causes of this problem, we examined the perceptions of pre-service elementary school teachers toward constructivist science assessment and the relationships among the perceptions toward constructivist science assessment, the views on science teaching and learning, science teaching efficacy beliefs, and the perceptions toward constructivist science learning environment. Analyses of the results revealed that the perceptions of pre-service elementary school teachers toward constructivist science assessment were higher than those of the elementary school teachers reported previously. The results of a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indicated that the views on constructivist science teaching and learning and personal science teaching efficacy beliefs were the significant predictors of the perceptions toward constructivist science assessment.

  • PDF

초임보육교사의 웹기반 학습경험, 학습유형, 인터넷 자기효능감이 웹기반 학습신념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Web-based Learning Experiences, Learning style, and Internet Self-efficacy on the Beliefs of Beginning Child Care Teachers about Web-based Learning)

  • 윤갑정;김미정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10권1호
    • /
    • pp.5-26
    • /
    • 2014
  • 본 연구는 초임보육교사의 웹기반 학습경험, 학습유형, 인터넷 자기효능감이 웹기반 학습신념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기 위한 것이었다. 이를 위해 P시에 위치한 어린이집에 근무하고 있는 초임보육교사 215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고 자료분석은 t 검증, ANOVA, 상관분석, 중다회귀 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첫째, 초임보육교사의 웹기반 학습경험 중 온라인교사 커뮤니티 이용 유무와 빈도에 따라 웹기반 학습신념에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초임보육교사의 학습유형에 따라 웹기반 학습신념에 차이가 있었으며 특히 융합형의 교사들이 웹기반 학습의 어려움에 대한 신념이 높았다. 셋째, 초임보육교사의 인터넷 자기효능감은 웹기반 학습신념과 정적상관을 보였으며 인터넷 자기효능감이 높은 교사들이 웹기반 학습의 행동적 신념과 맥락적 신념이 높았다. 넷째, 초임보육교사의 웹기반 학습신념에 미치는 상대적 영향력은 행동적 신념, 맥락적 신념, 어려움 신념에 따라 그 영향요인이 달랐으며 주로 온라인교사 커뮤니티 이용과 인터넷 자기효능감이 가장 많은 영향을 주는 변인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초임보육교사의 웹기반 학습에 대한 긍정적인 신념을 높이기 위해 이들의 웹기반 학습경험과 인터넷 자기효능감을 높일 수 있는 방안 모색이 필요함을 시사하였다.

현직 초등 교사의 변인에 따른 소프트웨어 교육 교수효능감(SE-TE) 차이 분석 (The Analysis of Difference in Software Education Teaching Efficacy according to Variables of In-service Elementary School Teachers)

  • 이소율;이영준
    •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 /
    • 제22권4호
    • /
    • pp.1-10
    • /
    • 2019
  • 본 연구에서는 초등 교사들의 성별, 지역, 교육 경력, 연수 경험의 유무 및 시간, SW 교육에 대한 태도를 변인으로 선정하여, 변인에 따른 SW 교육 교수효능감(SE-TE)의 차이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지역에 따른 차이는 없었으나, 다른 변인들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또한, 상관분석과 회귀분석을 실시하여 연수 경험의 유무 및 시간과 SW 교육에 대한 태도가 SW 교육 교수효능감에 가장 상관과 설명력을 가진다는 것을 도출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교사들의 SE-TE를 증진시키기 위해서는 SW 교육 연수 기회의 확대 및 지속적인 연수의 제공과 효율적인 연수 시간의 운영, 그리고 교사의 개인적 SW교육 교수효능감을 높일 수 있도록 연수가 설계되어야 함을 시사했다.

보육교사의 어린시절 학대경험, 훈육방식 및 사회적지지가 보육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childcare center teacher's childhood abuse experience and discipline styles, social support on childcare efficacy)

  • 노명숙;신리행;박소영
    • 한국가족관계학회지
    • /
    • 제21권4호
    • /
    • pp.99-117
    • /
    • 2017
  •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investigate the influences of childhood abuse experience, discipline styles and social support on childcare efficacy according to socio-demographic backgrounds of childcare teachers. Method: For this study's purpose, 200 childcare teachers working at children's schools in J city were surveyed and analyzed for child abuse experience, discipline styles, social support and childcare efficacy. Frequency analysis, t-test, ANOVA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used as study methods. Result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childhood abuse experiences according to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childcare teachers in the sub-domain of occupational position and marriage status. Second, childcare efficacy and social support were positively correlated, and discipline styles and childcare efficacy were negatively correlated, but there was no correlation between social support and abuse experience. Third, general teaching efficacy regarding childcare efficacy showed a statistical influence of physical abuse, which is a sub-variable of childhood abuse experience. The general efficacy of teaching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influence on logical discipline and coercive discipline, which are sub-variables of discipline methods. The general teaching efficacy in terms of childcare efficacy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influence in the family variable which is a sub-variable of social support. The personal teaching efficacy within childcare efficacy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influence in the logical discipline, a sub-variable of physical abuse, and disciple styles, a sub-variable of childhood abuse experience. Conclusion: From these findings, childcare teachers' childhood abuse experience was a factor affecting childcare efficacy in discipline, social support, and sub-variable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remedy the effects of childhood abuse experience, encourage appropriate discipline styles, and to encourage social support in order to improve the childcare efficacy among childcare teachers.

유아교사의 교사효능감과 직무만족의 상관관계에 대한 메타분석 (Meta Analysis of the Correlation between early Childhood Teachers' Teaching Efficacy and their Job Satisfaction)

  • 공은화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6권1호
    • /
    • pp.391-402
    • /
    • 2016
  • 본 연구는 유아교사의 교사효능감과 직무만족의 상관관계를 고찰할 수 있는 연구방법인 메타분석(mata-analysis)의 방법으로, 유아교사의 교사효능감과 직무만족 간의 효과크기 및 두 변수의 하위변수 간 효과크기를 살펴보는 것을 연구목적으로 하였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위해 메타분석 전용 프로그램인 CMA(Comprehensive Meta Analysis) 2.0을 분석에 적용하였다. 분석결과, 유아교사의 교사효능감과 직무만족의 관계는 Cohen(1992)의 기준으로 중간 효과크기보다 높게 나타났다. 교사효능감 하위변수 중에서는 개인 교수효능감이 일반 교수효능감보다 직무만족의 관계에서 높은 효과크기를 보였으며, 직무만족의 하위변수 중에서는 직무자체 신념이 교사효능감의 관계에서 효과크기가 가장 높았다. 조절변수인 논문유형에서는 박사 학위논문이 효과크기가 높았으며, 출판연도와 표본 수는 메타회귀분석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이상의 분석결과를 기초로 하여 논의와 연구의 한계점을 제시하였다.

e-포트폴리오 활용한 성찰활동에 대한 예비교사의 인식과 교수효능감 변화 (Promoting Teaching Efficacy of Pre-service Teachers with Reflective Thinking using e-portfolio)

  • 이수연;홍성연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3권11호
    • /
    • pp.968-978
    • /
    • 2013
  • 교수효능감은 교사가 학생들에게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다는 자기 믿음이자 신념이다. 예비교사의 교수효능감을 증진시키는 방법 중 하나는 교수활동에 대해 성찰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는 것이다. e-포트폴리오는 이러한 성찰을 지원하는 효과적인 도구로 활용될 수 있다. 본 연구는 e-포트폴리오를 활용한 성찰활동이 예비교사의 교수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교원양성교육과정에서 e-포트폴리오 활성화 전략을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예비교사 35명을 대상으로 10주간 e-포트폴리오를 활용한 교육적 성찰과 학습자료 정리활동에 참여하도록 한 후, 대응표본 t-검정을 통해 사전 사후의 교수효능감 변화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참여자의 교수효능감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참여자들은 e-포트폴리오의 장점으로 다양한 성찰 유도, 학습자료의 체계적 저장, 정보의 공유 등을, 단점으로는 익숙하지 않은 활용방법과 낮은 접근성 등을 지적하였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예비교사의 교수효능감 증진을 위한 e-포트폴리오 활성화 전략을 제안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