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ersonal knowledge network

검색결과 104건 처리시간 0.031초

소셜 네트워크 사이트에서 온라인 관계를 통한 지식공헌: 개인관계이론 관점 (Knowledge Contribution through online Relationship in Social Network Site: Personal Relationship Theory Perspective)

  • 정남호;한희정;구철모
    • 지식경영연구
    • /
    • 제12권5호
    • /
    • pp.25-40
    • /
    • 2011
  • Today, Internet users start off using heavily SNS(Social Network Site) such like, Facebook, Twitter. The reason of the growth of using SNS would be closely related to the various services of gaming, playing, entertainment items, sharing information etc., provided by the SNS, technically, the most important one out of the services provided would be behaving of sharing knowledge among people who connected and networked in the site. In sum, we assume that the users may communicate well each other and pay attention to build closely a social network using that kind of activities. However, nevertheless the new trends of communications and sharing knowledge become popular, researchers have just began the research issues in explaining why Internet user rush into SNS and enjoy the time in there. Therefore, we investigate on the reasons of posting knowledge voluntarily in the SNS and how others response to the posted information and actually affected by the behavior. We appled personal relation and social identity theory for this study, which personal relation in SNS may affect on social identity and make them produce knowledge generation. We found that social identity and involvement in SNS is closely related and influence knowledge creation and generation. This empirical study resulted in the importance of social relations in SNS, which leads to a sharing knowledge.

  • PDF

결합 연결구조 기반의 동적 개인 지식네트워크 설계 (Dynamic Personal Knowledge Network Design based on Correlated Connection Structure)

  • 심정연
    •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 /
    • 제18권6호
    • /
    • pp.71-79
    • /
    • 2015
  • 클라우드와 빅네이터의 새로운 시대에서 필요한 데이터를 방대한 데이터 풀로부터 어떻게 찾아내고 활용하느냐는 매우 중요한 일이다. 이러한 빅데이터의 시대에는 무엇보다도 방대하고도 변화무쌍한 데이터를 잘 처리하고 유용한 정보를 신속하게 획득할 수 있는 진화된 형태의 효율적 지능적 지식시스템 설계를 필요로 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진화된 지능 시스템 연구의 하나로서 구조적으로 재구성될 수 있는 동적 개인적 지식네트워크를 제안하고자 한다. 작은 공간에 큰 세계를 매핑하여 효율적으로 처리할 수 있는 인간 두뇌의 기능과 이 안에서 일어나는 뉴로다이나믹스 메커니즘에 착안하여 구조적 유연성을 갖는 지능 시스템을 설계하였다. 서로 다른 네트워크의 구조적-기능적 결합이 가능하도록 개인 지식네트워크를 구조화하고 핵심 영역에 속하는 공통 노드를 찾아 결합을 하며 재구성하는 기능을 부여하였다. 또한 시스템이 재구성된 지식네트워크로부터 최적 경로를 추출하며 추출된 경로를 가지고 추론 프로세스를 진행하는 기능 갖도록 구상하였다.

한국시스템다이내믹스 학회지 공저자 네트워크 특성에 관한 연구 (Co-author Network Characteristics of Korean System Dynamics Review)

  • 김선덕;신철;정형기;이만형
    • 한국시스템다이내믹스연구
    • /
    • 제17권3호
    • /
    • pp.31-50
    • /
    • 2016
  • This study examines the basic conditions of joint authorship research activities in the Korean System Dynamics Review and points out the structural co-author network characteristics among co-authored papers based on the social network analysis(SNA) techniques. In specific, this study identifies the cooperative relationship of research papers in the Korean System Dynamics Review, knowledge formation, and knowledge propagation paths. The study results imply that Korean System Dynamics Review has exhibited the typical 'Steven's power law,' which is repeatedly observed among complex systems, and that knowledge structure centered upon and propagated around couples of researchers. Additionally, the study results present that there have been active personal exchanges among major researchers. In contrast, personal contacts among research groups and within groups seem relatively weak.

의미간의 유사도 연구의 패러다임 변화의 필요성-인지 의미론적 관점에서의 고찰 (The Need for Paradigm Shift in Semantic Similarity and Semantic Relatedness : From Cognitive Semantics Perspective)

  • 최영석;박진수
    • 지능정보연구
    • /
    • 제19권1호
    • /
    • pp.111-123
    • /
    • 2013
  • 개념간의 의미적 유사도 및 관계도(Semantic Similarity/Relatedness)를 구하는 연구는 고전적인 연구에서는 데이터 베이스 통합이나 시스템 통합, 그리고 현대의 연구에 있어서는 태그 및 키워드 추출, 연관 단어 추천 등에 걸쳐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어 온 연구이다. 그 연구는 역사가 오래되었을 뿐만 아니라, 경영정보와 컴퓨터 공학, 계산 언어학에 걸쳐 여러 분야에서도 많은 관심을 가져왔던 연구 분야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지금까지의 개념간의 관계도 계산 방식은 미리 만들어진 사전이나 참조할 수 있는 다른 시맨틱 네트워크(Semantic Network)를 이용하여 계산하는 방법이 주를 이루었다. 이러한 접근 방법의 경우, 개념간의 의미적 관계가 변화에 대한 가능성을 고려하지 않는 것이 일반적이다. 하지만, 정보 기술의 발달과 빠른 사회변화는 개념간의 의미관계 등에 변화를 가져오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사회적으로 일어나는 사건이나, 문화적 변화 등이 개념간의 의미관계를 변화시키는 것을 물론이며, 이러한 변화가 정보 통신 기술의 도움으로 빠르게 공유되고 있다. 이렇게 개념간의 의미 관계가 시간이나 맥락에 따라 빠르게 변화할 수 있는 가능성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기존의 개념간 의미적 유사도 및 관계도에 대한 연구들은 이러한 '의미관계의 변화'에 대한 새로운 문제에 대해 해답을 제시하지 못한 것이 사실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개념간의 유사도 연구에 있어 지금까지 있어왔던 '정적인 의미간 관계도 패러다임'에서 '동적인 의미간 관계도 패러다임'으로의 전환의 필요성과 그 당위성을 인지 의미론적(Cognitive Semantics)의 관점에서 역설하고자 한다. 인간이 인지하는 개념간의 의미관계가 변화할 수 있는 이론적 근거를 인지 의미론에서 찾아봄으로써, 패러다임 변화의 방향을 구체적으로 제시하였다. 또한 이러한 패러다임의 변화에 맞추어 개념간의 의미적 유사도 및 관계도에 대한 연구가 어떠한 방향으로 나아가야 할지 구체적인 연구 방향을 제시함으로써 관련 연구자들에게 새로운 연구의 가이드라인을 제시하였다.

정체성과 개방성이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사용의도에 미치는 영향 : 친밀감 대인관계 과정 모델을 중심으로 (The Influences of Identity and Disclosure on Use Intentions in Social Network Services: Focusing on Interpersonal Process Model of Intimacy)

  • 전유희;이대용;정남호;구철모
    • 지식경영연구
    • /
    • 제15권2호
    • /
    • pp.1-21
    • /
    • 2014
  • In this study we adopted Interpersonal Process Model of Intimacy to study SNS use intention. First, we investigated the effects of personal identity, social identity and intimacy. Second, we tested the influences of self-disclosure, partner disclosure on perceived partner responsiveness. Third, we measured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partner responsiveness and intimacy. Lastly, we investigated the effects of intimacy, perceived partner responsiveness and use intention. A total of 232 final respondents were collected from users of Social Network Services in 2011. The results revealed several important findings. First, we found that social identity had a significant and positive effect on intimacy. However, personal identity showed insignificant effect toward intimacy. Moreover, self-disclosure and partner disclosure had a positive effects on perceived partner responsiveness. perceived partner responsiveness showed a positive effect on both intimacy and use intention. Lastly, intimacy had significant effect on use intention.

  • PDF

팀 네트워크 특성과 경계관리 활동이 지식경영 성과에 미치는 영향: 팀 신뢰의 매개역할 (The Effects of Team Network Characteristics and Boundary Spanning Activities on Knowledge Management Performances: The Mediating Role of Trust)

  • 고유미;김지영;정명호
    • 지식경영연구
    • /
    • 제14권5호
    • /
    • pp.101-120
    • /
    • 2013
  • The effective management of knowledge has become one of the critical success factors in current organizations. In spite of the extensive use of Knowledge Management System (KMS), useful information and knowledge resources are still transmitted through personal networks among people in organizations. Thus, social network theory which focuses on social relationships in organization can be a fruitful theoretical resource for enhancing Knowledge Management (KM) performances. In this study, we investigate the effects of intra-team network characteristics (i.e., group density and degree of centralization) and external boundary spanning activities on knowledge management performances of a team. We also acknowledge that all group members do not necessarily agree on the team goal and actively disseminate useful information and knowledge. Drawing on the political perspective on KM which emphasizes the role of trust among group members, we examine the mediating effects of team trust between internal/external network characteristics and KM performances. From the data of 220 teams in financial companies in Korea, we found that: (1) group density had positive effects on KM performances (i.e., knowledge creation, sharing, and use). (2) However, centralization was not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KM performances. (3) Team trust was found to be an important factor mediating the relationship between intra-team network characteristics, boundary spanning activities, and KM performances. Based on these results, we discuss and suggest possible implications of the findings when designing and implementing KM practices.

  • PDF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환경에서 개인정보보호를 위한 OpenAPI기반 보안 프레임워크 (An OpenAPI based Security Framework for Privacy Protection in Social Network Service Environment)

  • 윤용석;김강석;손태식
    • 정보보호학회논문지
    • /
    • 제22권6호
    • /
    • pp.1293-1300
    • /
    • 2012
  • 모바일 디바이스의 진화와 무선 네트워크의 발전으로 스마트폰 기반 모바일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의 사용자가 증가하고 있다. 또한 실시간 의사소통과 정보공유에 따른 개인정보 유출이 심각한 사회적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먼저 OpenAPI를 이용하여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플랫폼에 연동 가능한 프레임워크를 설계하고, 개인정보보호 강화를 위해 구현된 프레임워크에 인증과 탐지 메커니즘을 제안하였다. 인증 방식으로는 아이디와 패스워드를 사용하고 탐지 방법은 사용자가 지정한 입력패턴을 분석하여 개인정보보호 가이드라인에 해당하는지 사전에 미리 검증함으로써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환경에서의 개인정보보안을 강화하였다. 마지막으로 성능 평가를 수행하여 본 연구의 효율성 및 타당성을 입증하였다.

개인 행위주체의 네트워크 형성 과정에 대한 공간적 고찰: 고령친화산업의 제도구축 네트워크를 사례로 (A Spatial Study on the Network Formation Process of Personal Actors: The Case of Institutional Building Networks in Industries for the Elderly)

  • 구양미
    • 한국경제지리학회지
    • /
    • 제11권3호
    • /
    • pp.334-349
    • /
    • 2008
  • 본 연구에서는 고령친화산업의 개인 행위주체 네트워크 형성 과정을 지식창출 과정(SECI/ba 모델)에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고령친화산업과 관련된 해외탐방단, 세미나, 심포지엄, 각종 협의회, 교육프로그램, 사이버공간의 포럼 등은 사회화, 외부화, 종합화, 내면화 과정을 가능하게 하는 장(場)을 제공하였다. 이러한 만남의 장(시작의 장, 상호작용의 장, 사이버 장, 실행실습의 장)을 통해서 개인 행위주체들은 동일 지역에 입지하지 않더라도 네트워크를 형성할 수 있는 기회를 가질 수 있었다. 네트워크 형성 과정을 공간적 측면에서 고찰해 보면, 개인의 이동성을 이용한 일시적 지리적 근접성이 중요하고, 이를 통해 개인 행위주체들은 대면접촉을 통해 관계를 형성하고 네트워크를 구축할 수 있었다. 또한 인터넷 커뮤니티 등 가상공간에서의 만남이 네트워크 형성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 PDF

직장인 MBA 대학원생의 지식교량적 역할이 조직 내 지식공유 네트워크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Bridging Role of Employees Through MBA Classmate Network)

  • 한송이;조일현
    • 지식경영연구
    • /
    • 제13권4호
    • /
    • pp.71-82
    • /
    • 2012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employees who attend graduate school on the expansion of the knowledge sharing network in their company. For this purpose, the researchers chose 10 worker-graduate students and 75 members of company 'A' that they belong to and 107 members of university 'B' that they belong to, 172 members in total. 10 overlapped employee-students were exclude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 First, the personal relations of the employee-students enhanced after they have entered the graduate school. The score for the question was 3.85 out of 5 points. Second, the employee-students played the role of the knowledge bridge between company's co-worker network and graduate school's classmate network. It was confirmed that the density of the company's network was higher than the density of the connected network of the company and the graduate school. The analysis result confirmed that the difference of the two groups was significant. This means that the company carried out exchange with more members and therefore gained various kinds of knowledge. Also, in all types of network, the structural hole of the company network was lower than that of the connected network of the company and graduate school. The ANOVA test using QAP procedure confirmed that the difference of two groups was significant (friendship network F=1.2856, p<0.05; information network F=1.278, p<0.05; and trust network F=1.23, p<0.05). It means that the company not only gained the newly acquired knowledge by the knowledge bridge of the employee-students, but also was able to share it more effectively with members. Third and lastly, the employee-students share various information related to the organization, duties and roles rest in the company throughout break time, working hours and direct inquiries. This means that the employee-students contributed to the innovation of knowledge sharing in the company by sharing knowledge that they gained from the graduate school within the company.

  • PDF

지식서비스를 위한 개인경험지식 분석 평가 모델 연구 (A Study on Personal Experience Knowledge Evaluation Model for Knowledge Service)

  • 김유두;주인학;박윤경;문일영;권오영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17권8호
    • /
    • pp.1865-1872
    • /
    • 2013
  • 스마트 디바이스의 급격한 증가와 함께 사용자의 SNS(Social Network Service) 이용률도 급격하게 증가하게 되었다. 이로 인해 사용자들의 웹에 대한 접근성도 증가하면서, 데이터의 양도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하는 결과를 초래하였다. 이런 엄청난 양의 빅 데이터를 통해 획일적인 검색을 통한 정보 제공이 아닌, 사용자 맞춤형 지식 제공을 위한 연구의 필요성이 높아지고 있다. 이러한 지식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사용자에 의해 수집된 데이터를 분석하고 평가하는 모델이 필요하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스마트폰을 활용하여 40명의 데이터를 수집하여 이동정보와 장소를 추측 하고, 정답 셋을 구성하여 데이터의 평가를 할 수 있는 모델에 대한 연구를 수행 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