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ersonal image

검색결과 797건 처리시간 0.031초

영상 블러링을 사용한 물체 영역의 유연한 보호 기법 (A Flexible Protection Technique of an Object Region Using Image Blurring)

  • 장석우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1권6호
    • /
    • pp.84-90
    • /
    • 2020
  • 인터넷을 통해 자료를 업로드하고 다운로드하는 것이 보편화되면서 개인 정보를 포함한 자료도 사용자들에게 쉽게 노출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입력되는 여러 가지의 컬러 영상으로부터 전경이 아닌 배경 부분을 제외하고 개인 정보를 포함하고 있는 대상 영역을 강인하게 검출한 다음, 주변의 상황에 적합한 블로킹 방법으로 검출된 대상 영역을 보호하는 알고리즘을 소개한다. 본 연구에서는 먼저 받아들인 영상 데이터로부터 배경 부분을 제거하고 개인 정보를 포함하고 있는 대상 영역만을 사람의 피부 색상을 기반으로 강인하게 분할한다. 그런 다음, 주변의 상황에 적합하게 해당 영역의 블러링(blurring)을 다단계로 수행하여 검출된 대상 영역을 효과적으로 블로킹함으로써 개인 정보가 외부에 노출되는 것을 보호할 수 있다. 실험 결과에서는 제안된 방법이 입력되는 다수의 영상으로부터 개인 정보가 포함된 대상 객체 영역을 영상 블러링 방법으로 기존의 방법에 비해 2.3% 보다 정확하게 블로킹한다는 것을 보여준다. 본 연구에서 제안된 알고리즘은 영상 보안, 비디오 감시, 대상 물체 커버링 등과 같은 영상처리와 연관된 많은 유사한 분야에서 실제적으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대인(Personal) 감성 이미지 평가 기법의 개발과 적용 (Development of Evaluatin Techniques of Personal Image and its Application)

  • 황상민
    • 감성과학
    • /
    • 제2권2호
    • /
    • pp.105-113
    • /
    • 1999
  • 특정 사람에 대해 느끼는 이미지 또는 특정 사람이 가지는 이미지를 어떻게 평가하고 나타낼 수 있을까\ulcorner 본 연구에서는 사람에 대해 가지는 이미지를 표준적인 감성 어휘 척도를 활용하여 모델이 가지는 감성이미지가 무엇인지를 비교평가 할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한다. 연구 대상으로는 국내 화장품 회사의 모델을 활용하였다. 4명의 모델을 전체와 부분 모습의 두 가지 형태로 제시하면서 각 인물이 가진 이미지를 평가하게 하였다. Personal 감성이미지를 평가하기 위해서 사람의 특성이나 이미지를 묘사하는 형용사 쌍 103개를 이용하였다. 모델 이미지에 대한 평가 반응은 요인분석을 통해 7개의 감성어휘 요인으로 나타났다. 우아한-천박한, 신선감-답답함, 편안함-불편함, 순수함-가식적인, 세련미-촌스러운, 진취성-보수성, 여성성-남성성, 4명의 모델들은 이 7가지 감성 이미지 요인에 따라 상호 차별적으로 나타났다. 인물 감성이미지는 감성적 어휘로 표현됨과 동시에 각 인물이 가진 고유하고 대표적인 personal image로 나타낼 수 있는가를 보여줄 수 있엇다. 본 연구에서는 개발된 감성이미지척도는 사람의 이미지를 평가하는 대표적인 감성척도로 이용될 수 있을 뿐 아니라, 특정 제품을 나타내는 모델이 일반인들에 어떤 이미지를 전달하는지 그리고 모델의 이미지와 제품이 지향하는 이미지와 얼마나 일치하는지를 평가할 수 있었다.

  • PDF

모바일 웹 브라우징 서비스의 사용 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자기효능감과 사회적 영향 (Determinants of User Intentions to Use Mobile Web Browsing Service: Self Efficacy and Social Influences)

  • 김경규;류성렬;김문오;김효진
    • Journal of Information Technology Applications and Management
    • /
    • 제16권1호
    • /
    • pp.149-168
    • /
    • 2009
  • This paper aims to empirically examine how personal characteristics and social influence affect user acceptance of mobile web browsing service. To examine the intention to use mobile web browsing service, we applied the Technology Acceptance Model (TAM) which has been widely used to explain and predict the IT acceptance to this study. This research also includes personal characteristics such as computer self-efficacy, mobile self-efficacy, and personal innovativeness in IT and social influences such as subjective norms, image, and visibility as the external variables of the TAM. The results indicate that computer self-efficacy do not directly influence ease of use, but indirectly through mobile self-efficacy. And the results indicate that mobile self-efficacy and personal innovativeness in IT have direct effects on ease of use. Empirical results also show that subjective norms and image affect usefulness. Additional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of these findings are also discussed in the paper.

  • PDF

대인(Personal) 감성 이미지 평가 기법의 개발과 적용 (Development of Evaluation Techniques of Personal Image and its Application)

  • 황상민
    • 한국감성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감성과학회 1999년도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310-317
    • /
    • 1999
  • 특정 사람에 대해 느끼는 이미지 또는 특정 사람이 가지는 이미지를 어떻게 평가하고 나타낼 수 있을까\ulcorner 본 연구에서는 사람에 대해 가지는 이미지를 표준적인 감성 어휘 척도를 활용하여 모델이 가지는 감성이미지가 무엇인지를 비교평가 할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한다. 연구 대상으로는 국내 화장품 회사의 모델을 활용하였다. 4명의 모델을 전체와 부분 모습의 두가지 형태로 제시하면서 각 인물이 가진 이미지를 평가하게 하였다. Personal 감성이미지를 평가하기 위해서 사람의 특성이나 이미지를 묘사하는 형용사 쌍 103개를 이용하였다. 모델 이미지에 대한 평가 반응은 요인분석을 통해 7개의 감성 어휘 요인으로 나누어졌다. 4명의 모델들은 이 7가지 감성 이미지 요인에 따라 상호 차별적으로 나타났다. 인물 감성이미지는 감성적 어휘로 표현됨과 동시에 각 인물이 가진 고유하고 대표적인 personal image로 나타낼 수 있는가를 보여줄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개발된 감성이미지 척도는 사람의 이미지를 평가하는 대표적인 감성척도로 이용될 수 있을 뿐 아니라, 특정 제품을 나타내는 모델이 일반인들에 어떤 이미지를 전달하는지 그리고 모델의 이미지와 제품이 지향하는 이미지와 얼마나 일치하는지를 평가할 수 있었다.

  • PDF

간호학생이 지각한 첫 임상실습 전·후의 간호사 이미지 (Image of Nurse Perceived by Nursing Student Before and After Their First Clinical Practice)

  • 이현정
    • 동서간호학연구지
    • /
    • 제20권2호
    • /
    • pp.129-135
    • /
    • 2014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changes in image of nurses of nursing students before and after their first clinical practice. Methods: The survey was performed to 60 nursing students in one university in Goseong-gun, Gangwon-do. All participants had their first clinical practice for 8 weeks at four general hospitals in Seoul. The data were collected by questionnaires and were analyzed with frequency, independent t-test, one-way ANOVA using SPSS 19.0. Results: After the first clinical practice, the mean score ($4.05{\pm}0.85$) of the image of nurse was slightly higher than that of the image ($4.03{\pm}0.93$) before the clinical practice. However, there was no statistical significance in the scores between before and after the clinical practice (t=-0.55, p=.589). In four subcategories, before the first clinical practice, professional image was the highest followed by traditional, personal, and social image in order but after the clinical practice, professional image was the highest followed by traditional, social, and personal image in the mean scores of the image of nurse. Conclusion: The findings of the study may be a basis for expanding nursing practice and education related to image of nurse.

패션 감각별(感覺別) 헤어스타일 이미지 메이킹 차트제작(製作)에 관(關)한 연구(硏究) - TV드라마 여배우(女俳優) 헤어스타일 분석(分析)을 통해 - (A Research for the hair Style Image making Chart Manufacturing Depends on Fashion Feeling - through the analysis of the actress hair styles of broadcasting TV drama -)

  • 안현경
    • 패션비즈니스
    • /
    • 제8권4호
    • /
    • pp.141-155
    • /
    • 2004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rrange the korean women's hair styles of the beginning of 21st century and make hair style image making chart to use personal image making consulting data through analyze actress hair styles of broadcasting TV drama. To accomplish this purposes, picked up the two most popular dramas per each broadcasting stations, KBS1, KBS2, MBC, SBS, in february 2004. and analyzed and arranged hair styles of actress and at the last made the hair style image making chart. The results of the research are as belows. 1. Hair trends of february 2004. were Modern Sophisticated, Active and Romantic. 2. The results of three classifications of hair style trends, form, color, accessory, were as belows. 1) Form : Layer, left part, straight, low wave, long hair, no volme, bang were in vogue. Generally, Modern Sophisticated, Active, Romantic feeling were in vogue. 2) Color : Black, brown, two tone color were in vogue. Generally Modern Sophisticated, Romantic, Active feeling were in vogue. 3) Accessory : Hair bands & pins were in vogue. Generally these gave the Modern, Active feeling. 3. Hair style image making chart manufacturing depends on fashion feeling. 1) Classification of feeling, 2) Analysis of form, 3) Analysis of color, 4) Hair style image making chart manufacturing depends on fashion feeling This research will be a historical data of korean women's hair styles of the beginning of 21st century & can be used the basic data of personal hair style image making consulting.

한국인의 개인색채 유형에 따른 패션색채 기호의 분석 (An Analysis of Fashion Color Preferences According to Koreans' Personal Color Types)

  • 조은영;유태순
    • 복식
    • /
    • 제58권10호
    • /
    • pp.37-51
    • /
    • 2008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according to four Seasonal Color system, the researcher analyzed the Korean Personal color and investigated abstract color preferences and the fashion color preferences to support the Korean color preferences and the rotor recognition trend. The study was conducted according to the following procedures: 144 women from 20s to 50s were selected as participants of the survey and the interview. The fashion color preferences and the personal body color was analyzed by the questionnaire and the interview. The data were analyzed by SPSS 12.0 program. As a way of analysis, crosstabs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t-test, ANOVA and regression analysis were used. As a results, in the Personal color type of Korean women, it is distributed in the order of spring, summer, winter and autumn. In addition, Light image is highly distributed in the Personal color image. People preferred summer color group in the general color preference and the cosmetic color preference and they preferred winter color type in the clothes color and the suitable color for themselves. In the color recognition, as the color interest increases, the coincidence between suitable color and favorite color increased. The recognition of suitable color, the consideration of color in purchasing and the interest of outward appearances were highly showed.

개인의 색채이미지 유영에 의한 국내 색조화장품의 스토리 개발과 색채 계획 (A Development of the Color Story and Color Scheme for Domestic Makeup Product Based on the Personal Color Images)

  • 김영인;주미영;이현주;김희연
    • 복식
    • /
    • 제55권6호
    • /
    • pp.1-14
    • /
    • 2005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makeup color range for developing the new makeup product line of domestic cosmetic brand, and suggest the special color stories and color palettes appropriate to characteristics of brand image For this study, personal color images are analyzed and classified through the literature survey of Korean womens' skin rotor like korean PCDS and japanese PCS. Also, a total of 3879 colors were selected from the 18 cosmetic brands and were analyzed by hue/tone color system. Based on the color analysis, the color range for makeup products are determined, and the typical colors of 4 personal color images are suggested. As a results, personal color images are classified into 4 types: DEW of p, lt, b tone; FLASH of s, v tone; MIST of ltg, g, sf, d tone; TERRA of dk, dkg, dp tone. we developed the color stories through five senses and lifestyles based on the consumers' emotion, and the rotor palettes suitable to each type of personal color images are developed.

의사 역행렬을 이용한 애니메이션의 초개인적 갈등(SPC) 강도 관련 다학제적 연구 (Research of the Strength of Super Personal Conflicts in Animations using Pseudo Inverse)

  • 김재호;장정양;왕위차오;장소은;이태린
    • 한국과학예술포럼
    • /
    • 제30권
    • /
    • pp.41-56
    • /
    • 2017
  • 본 연구는 애니메이션 갈등의 VST 특징을 조사하고 강도를 측정한 이태린의 연구 결과에 대한 심화연구로 초개인적 갈등영상과 초개인적 갈등 값을 기반으로 시작되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초개인적 갈등 강도 값(ESSPC)을 자동 계산하는 모델을 찾아내는 것이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 SPC 영상을 분석하였으며, ESSPC 값을 자동 계산하는 모델을 찾아내기 위해 의사 역행렬(Pseudo Inverse matrix)을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및 내용은 다음과 같다. 이들을 활용하여, 1)SPC를 분석하기 위한 20 개의 영상 Feature값을 제안하였다. 그리고 2)의사 역행렬(Pseudo Inverse matrix)을 사용하여 ESSPC 값을 자동 계산하는 선형모델을 찾아냈다. 그 결과로 3)제안된 시스템은 9.25%의 평균 자승오차의 제곱근 보이며, 그 효율성이 증명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이를 계속 발전시켜 성공적 애니메이션의 제작을 위한 자동 검증시스템을 개발하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