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ersistence intentions

검색결과 4건 처리시간 0.018초

대학생 자원봉사자가 지각한 슈퍼바이저의 자율성지지, 자원봉사동기 및 지속의도 간의 관계 분석 (The Relationships Between Perception of Supervisors' Autonomy Support, Volunteer Motivation and Persistence Intentions Among Collegiate Volunteers)

  • 홍연숙
    • 한국사회복지학
    • /
    • 제62권4호
    • /
    • pp.103-128
    • /
    • 2010
  • 본 연구의 목적은 제주지역사회에서 자원봉사활동에 참여하는 515명의 대학생을 대상으로 슈퍼바이저의 자율성지지, 자원봉사동기 및 지속의도간의 인과관계를 분석하는 것이었다. 상관관계분석, 공변 량구조분석을 통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첫째, 자원봉사동기들은 서열화 된 상관패턴을 보여 주었다. 둘째, 자원봉사자가 지각하는 슈퍼바이저의 자율성 지지는 자율적 동기인 내재적 동기와 확인적 조절동기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쳤고, 통제적 동기(내사적, 외적 조절동기)에는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으며, 무동기에는 부(-)의 영향을 미쳤다. 셋째, 자율적 동기인 내재적 동기, 확인적 조절동기들은 향후 자원봉사활동 지속의도에도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쳤으며, 확인적 조절의 외재적 동기가 지속의도의 최적 예측변인으로 나타났다. 자원봉사영역에서 자기결정이론의 응용가능성과 유망성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 PDF

The Influence of Self-Directed Learning and Learning Commitment on Learning Persistence Intention in Online Learning: Mediating Effect of Learning Motivation

  • Park, Jung Hee;Lee, Hyunjung
    • International Journal of Advanced Culture Technology
    • /
    • 제9권4호
    • /
    • pp.9-17
    • /
    • 2021
  • This is a descriptive investigative study which attempts to confirm the mediating effect of learning motivat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directed learning, learning commitment, and learning persistence intention of university students in an online learning environment. The questionnaires were randomly distributed online and the agreed questionnaires were retrieved, with a total of 338 copies used for analysis. The following is the summary of the findings. Firs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learning persistence intention according to general characteristics depending on age, major, part-time job, and academic level. Second, the results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self-directed learning, learning commitment, learning motivation, and learning persistence intentions of the subject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Third, after checking the mediating effect of learning motivation in relation to self-directed learning, learning commitment and learning motivation, the learning motivation has a partial mediating effect on learning and 23% explanatory power, and the learning commitment was found to have a complete mediating effect on the impact of learning motivation on learning intentions with 21% explanatory power. Based on these results, it is necessary to provide a more diverse educational environment, such as operating a motivation semester program that can improve learning motivations along with learning commitment, and the use of a variety of contents that can focus the learner's interest or attention.

브랜드 이미지와 광고모델의 일치성이 가격공정성 지각에 미치는 영향 : 스포츠 광고를 중심으로 (Impact of a Brand Image Matching with the Advertising Model on Price Fairness Perceptions: Focus on Sports Advertising)

  • 황희중;신승호
    • 유통과학연구
    • /
    • 제10권3호
    • /
    • pp.43-50
    • /
    • 2012
  • 본 연구는 브랜드 이미지와 광고모델의 일치성이 브랜드 태도와 가격공정성 지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가를 조사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선행 연구들에 대한 고찰을 토대로 구성개념을 각각에 대하여 재정의 하였고, '유명인 광고모델의 이미지와 광고대상(브랜드)의 이미지가 얼마나 잘 조화되는가 (적절한가 또는 일치하는가)'와 같이 이미지들 간의 조화/적합/일치 정도를 모두 포괄하는 개념으로 "이미지 일치성"을 정의하였다. 결과를 요약하자면 첫째, 브랜드 이미지와 스포츠 스타 광고모델의 일치성은 브랜드 태도의 확신성과 지속성 형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둘째, 개인이 가지고 있는 브랜드에 대한 태도의 확신성과 지속성은 가격공정성 지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셋째, 브랜드 이미지와 스포츠 스타 광고모델의 일치성은 가격공정성 지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첫째와 셋째 연구결과를 통해 브랜드 이미지와 광고모델의 일치성이 높은 광고가 가격공정성 지각에는 일시적으로 긍정적 영향을 미치지만 지속적인 구매를 유발하는 브랜드 태도의 형성에 미치는 영향은 미미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즉, 소비자의 브랜드에 대한 장기적인 신뢰에 영향을 미치기 위해서는 광고와 같은 프로모션 전략보다는 제품이나 서비스의 품질 향상이 선행하여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브랜드이미지와 부적합한 광고모델이 등장하는 광고는 제품 가격 인상 등에 대한 소비자의 가격공정성 판단에 대해 일시적으로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는 있으나, 장기적인 관점에서 소비자의 재구매 의도나 구전의도와 같은 태도 형성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이다. 둘째 연구결과를 통해 이미 형성된 긍정적인 브랜드 태도는 소비자의 가격공정성 지각을 더욱 긍정적으로 변화시키는데 공헌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특히, 가격공정성 지각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서 태도의 지속성이 태도의 확신성보다 영향력이 더 크다는 점에서, 소비자와 기업의 거래 기간, 거래 빈도 등의 지속성 이슈가 소비자의 신념이나 신뢰의 강도와 같은 확신성 이슈보다 더 중요한 요소로서 기업이 통제하고 관리해야 하는 사실을 시사한다. 예를 들어, 고가의 스포츠 용품의 경우 광고모델과 브랜드 이미지가 잘 어울리면, 그렇지 않은 경우에 비해 소비자는 가격에 대해 부담감을 덜 느낀다. 그러나 이러한 점이 소비자의 반복적인 구매나 거래의 지속 여부를 결정하지는 않으며, 브랜드에 대한 신뢰에 대해서도 절대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즉, 이러한 소비자의 브랜드 태도는 소비자 의사결정에서 결과적인 변수가 아니라, 원인변수로서 역할이 더 크기 때문에, 기업으로서는 소비자의 브랜드 태도를 긍정적으로 변화시키는 것을 최종 목표로 삼을 것이 아니라, 기업의 일상적인 전략으로서 인식하고 접근하여야 한다.

  • PDF

한국 설화문에서의 화제표현의 연속성 (Topic Continuity in Korea Narrative)

  • 정희자
    • 인지과학
    • /
    • 제2권2호
    • /
    • pp.405-428
    • /
    • 1990
  • 언어는 정보교환이라는 사회적 기능을 가지고 있다. 60년대 이래로 언어학자들의 관심이 언어의 정보전달 기능, 즉 어떠한 의미가 어떤 형식을 통하여 어떻게 전달되는가 하는, 의미, 형식, 기능의 관계에 점차 집중되게 되었다. 이러한 관계는 문장분석보다는 담화분석을 통하여 더욱 명백하게 파악된다. 본 연구는 한국 설화문에서 사용되는 화제표현의 방법과 표현된 화제의 연속성을 측정함으로 효율적인 정보교환의 방법을 살펴보았다. 분석된 문법구조들은 영대용, 인칭대명사, 지시대명사, 고유대명사, 지시사 뒤에 오는 명사, 소유격을 따르는 명사, 한정적 명사 그리고 비한정적 명사, 모두 8가지이다. 본 연구의 결과를 다음과 같이 요약할수 있다. 첫째, 한국 설화문에서 '인간임'(humanness)이 가장 강한 화제의 연속성을 나타낸다. 인간지시 논항들은 주로 행위자 또는 경엄자를 나타내기 때문에 절이난 담화의 화제역학을 한다. 둘째, 이들 문법구조들은 각기 다른 화제표현의 연속성 정도를 나타낸다. 연속성 정도가 높은 구조일수록 표현이 간단하며, 연속성의 정도가 낮을수록 표현이 복잡하다. 셋째, 화제표현의 연속성은 구조들의 통사적 특성 이외에 사회적문화적 요인들과 작가의 화용상의 목적 등에 좌우되기도 한다. 마지막으로, 실질적인 정보교환의 방법을 파악하기 위하여, 구어체와 문어체 담화문을 비교분석하여 화제표현의 효율적 방법을 고찰할 것을 제의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