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ersimmon leaves

검색결과 119건 처리시간 0.027초

경엽식물 잎의 첨가가 김치의 발효 및 관능특성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Sclerophyllous Plant Leaves Addition on Fermentative and Sensory Characteristics of Kimchi)

  • 박동일;최아름;우혜진;이성갑;채희정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9권4호
    • /
    • pp.580-586
    • /
    • 2010
  • 감잎, 뽕잎 및 댓잎의 추출물 및 세절물을 김치에 첨가하여, 김치의 발효 및 관능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다. 먼저 감잎, 뽕잎 및 댓잎의 추출물을 제조하여 추출물의 총 폴리페놀 함량과 DPPH 전자공여능 및 유산균 증식 저해 활성을 조사하였다. 감잎 추출물이 뽕잎 추출물과 댓잎 추출물보다 총 폴리페놀 함량과 DPPH 전자공여능이 가장 높았고, 유산균의 생육을 더 크게 저해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감잎, 뽕잎 및 댓잎의 세절물을 김치에 첨가하여 담근 14일후의 관능평가 결과, 감잎 세절물 0.3%를 첨가한 김치에서 색, 풍미, 조직감 및 전체적인 기호도가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p<0.05). 또, 감잎 세절물과 감잎 추출물 0.3%를 첨가하여 제조한 김치의 담근 당일과 담근 14일 후의 pH와 산도의 변화량$({\Delta}pH,\;{\Delta}TA)$을 계산한 결과, 감잎 세절물에서 유의적으로 적은 변화량을 보였다(p<0.05). 또한, 담근 14일 후의 감잎 세절물 0.3% 첨가한 김치에서 총 폴리페놀 함량과 DPPH 전자공여능이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p<0.05). 김치 제조 시 감잎 세절물 0.3%의 첨가가 김치의 숙성 중 pH, 총산도의 변화, DPPH 전자공여능, 총 폴리페놀 함량 및 관능평가에는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감잎(시엽(枾葉))의 항산화 성분 분리 (Separation of Antioxidant compounds from Persimmon Leaves)

  • 신두호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14권1호
    • /
    • pp.103-107
    • /
    • 1997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separate and identify the antioxidative substances in persimmon leaves. The antioxidative substances in persimmon leaves were extracted by methanol. The extract was fractionnated by SEP-PAK cartridge colum. From these results five fractions(F-I${\sim}$V) were obtained. Antioxidative activity of each fractions was examined by the DPPH methord. The F-II, III and IV showed antioxidative activity and among them F-II and F-III showed the strongest. Five frations were separated by TLC using ethylacetate : chloroform : formic acid : $H_2O$(8 : 1 : 1 : 1 v /v) as the solvent. From these results were obtained spots of Rf 0.71, 0.35 and 0.25. This spots were scraped from the plate and extracted by methanol. The extracts thuse obtained were used for examination of identify by TLC, UV /VIS-spectrophotometer and HPLC. Among them spot of Rf 0.71 were demonstrated to catechin and the spots of Rf 0.35 and 0.25 was suggested to polyphenol substances.

스팀 및 동결 전처리가 건조 감잎 열수추출물의 이화학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hot-water leachate prepared from persimmon leaf dried after steaming or freezing treatment)

  • 정헌식;윤광섭;김종국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30권6호
    • /
    • pp.983-990
    • /
    • 2023
  • 감나무(Diospyros kaki T.) 잎의 유효활용을 위한 가공저장 기술개발의 방편으로, 생잎의 건조 전 스팀 열처리나 동결처리가 열수 추출물의 이화학적 품질 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떫은 감잎을 무처리, 스팀 데치기(100℃, 30 sec) 또는 동결처리(-20℃, 15일)하고 열풍 건조(50℃, 12 h) 후 열수 추출(80℃, 10 min)하여 얻은 액의 이화학적 특성을 비교하였다. 기계적 색도 중 L*값(lightness)은 무처리구와 동결 처리구보다 스팀 처리구에서 높았으며, a*값(redness)은 대조구에서 가장 높았고, 스팀 처리구는 가장 낮은 값을 보였다. 흡광도로 측정한 갈변도는 대조구보다 동결 처리구에서는 높았지만 스팀 처리구에서는 낮았다. 가용성 고형분 함량은 스팀 처리구에서 가장 높았고 동결처리구에서 가장 낮았다. 유리당으로 sucrose, glucose, fructose가 검출되었으며, 스팀 처리구에서는 sucrose 함량이 동결처리구에서는 glucose와 fructose 함량이 상대적으로 높음을 보였다. 총폴리페놀 함량과 DPPH 유리기 소거능은 대조구보다 스팀 처리구에서는 높았고 동결 처리구에서는 낮았다. 이로써, 감잎의 수확 후 스팀 및 동결 전처리는 건조 감잎 열수 추출물의 수율, 색, 항산화능 및 성분 특성변화에 영향을 미치는 것이 확인되었다. 특히 동결처리는 분해와 갈변반응 촉진효과를 보였으며 이러한 효과가 필요한 경우에 유용할 것으로 판단된다.

감나무 둥근무늬낙엽병균 Mycosphaerella nawae의 자낭포자 및 분생포자에 감염된 이병엽 상에서 위자낭각 형성과정 관찰 (Microscopic Observation of the Pseudothecial Development of Mycosphaerella nawae on Persimmon Leaves Infected by Ascospore and Conidia)

  • 권진혁;강수웅;박창석;김희규
    • 한국식물병리학회지
    • /
    • 제14권5호
    • /
    • pp.408-412
    • /
    • 1998
  • In order to illustrate the role of conidia of Mycosphaerella nawae as a secondary inoculum in nature, pseudothecial development on persimmon leaves was investigated microscopically. The fungal ascospores have been believed as the primary or only inoculum source in nature, however, pseudothecia were readily formed on persimmon leaves infected naturally and artificially by conidia. The pseudothecia of M. nawae were found to form in the tissues of infected leaves while the leaves were still hanging on the trees. The size of pseudothecia were approximately 51.0~122.4$\times$51.0~112.2 ${\mu}{\textrm}{m}$ (82.8 $\times$72.5 ${\mu}{\textrm}{m}$in average), the shapes were spherical, ovoid or occidental pear type. The sizes of asci were approximately 30.6~61.2$\times$8.2~10.2 ${\mu}{\textrm}{m}$(46.6$\times$9.4 ${\mu}{\textrm}{m}$ in average) and the shapes were cylinder or banana. The ascospores were mostly spindle type, and the sizes were 10.2~12.2$\times$3.1~4.1 ${\mu}{\textrm}{m}$ (11.4$\times$3.2 ${\mu}{\textrm}{m}$ in average)-like. The pseudothecial formation was initiated before defoliation and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of the pseudothecia, ascus and ascospores on the infected leaves were fully illustrated in this study. Results indicated that conidia of M. nawae induce circular leaf spot of persimmon as much as ascospores, and might play an important role of the disease epidemics in nature.

  • PDF

Development of a Transient ihpRNA-induced Gene Silencing System for Functional Analysis in Persimmon (Diospyros kaki Thunb.)

  • Mo, Rongli;Zhang, Na;Yang, Sichao;Zhang, Qinglin;Luo, Zhengrong
    • 원예과학기술지
    • /
    • 제34권2호
    • /
    • pp.314-323
    • /
    • 2016
  • A transient ihpRNA-induced gene silencing system based on Agrobacterium-mediated injection infiltration has been established to evaluate candidate genes involved in proanthocyanidin (PAs) biosynthesis in persimmon (Diospyros kaki Thunb.). We chose DkPDS (phytoene desaturase) as a gene-silencing target to evaluate the newly developed transient gene silencing system. Our qRT-PCR analysis indicated that two ihpRNA constructs (pHG-PDS5' and pHG-PDS3') targeted DkPDS, which also led to significantly reduce expression of DkPDS in 'Mopanshi' persimmon leaves. To further confirm the reliability of the system, we successfully utilized it for DkLAR (leucoanthocyanidin reductase) gene silencing. The expression levels of DkLAR in 'Mopanshi' and 'Eshi 1' leaves were ca. 6-fold and ca. 5-fold lower than those in leaves harboring empty vector (pHG-GFP), respectively. DMACA (4-dimethylaminocinnamaldehyde) staining and the Folin-Ciocalteau assay showed that the accumulation of PAs was markedly inhibited in 'Mopanshi', 'Eshi 1' and 'Youhou' leaves. These results indicate that DkLAR plays an important role in the accumulation of PAs in persimmon. The transient ihpRNA-induced gene silencing method developed in this study is a highly efficient and useful tool for functional analysis of persimmon genes involved in PA biosynthesis.

감나무 탄저병균(Collectotrichum gloeosporioides)의 월동 전염원 조사 (Survey of Overwintering Inoculum Potential of Anthracnose of Sweet Persimmon Caused by Colletotrichum gloeosporioides)

  • 권진혁;정선기;정부근
    • 식물병연구
    • /
    • 제13권3호
    • /
    • pp.204-206
    • /
    • 2007
  • 2006년에서 2007년까지 2년간 자연상태에서 월동후 식물체 부위별 단감 탄저병의 병원균 분리비율을 조사하기 위해 병든 가지의 병반과 눈, 죽은 가지, 잎자루, 잎, 건전한 가지와 눈, 월동한 과실 등에서 조사를 하였다. 4월에 조사한 결과 병든 가지의 병반에서 93.3% 분리되었으며, 병든 가지 눈에서 46.7% 분리되었으며, 죽은 가지에서 36.7% 병원균이 분리되었다. 잎자루에서 23.3% 분리되었으며, 잎에서 16.7% 분리가 되었으며, 낙과된 과실에서 6.7% 분리되었지만 건전한 가지와 눈에서는 병원균이 분리되지 않았다. 그러나 생육중에 가지, 잎, 잎자루, 과실에 발생한 병든 부위에서는 병원균이 100%분리되었다.

감잎차 제조를 위한 감잎의 성장시기별 함유 성분의 변화 (Changes of Chemical Components in Persimmon Leaves during Growth for Processing Persimmon Leaves Tea)

  • 정선화;문광덕;김종국;성종환;손태화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6권2호
    • /
    • pp.141-146
    • /
    • 1994
  • 감잎차 제조를 위한 연구의 일환으로 청도반시, 사곡시, 경산반시, 평핵무의 감잎을 성장기간중 경시적으로 채취하여 그 이화학적 품질 특성을 조사하였다. 감잎의 성장에 따른 중량은 개화기인 5월 중순까지 빠른 증가를 보인 후 점진적으로 증가하였으며 수분함량은 5월초에 $79{\sim}81%$를 보이다가 감소하였다. 수용성 탄닌함량은 5월 중순과 6월 초에 $1.55{\sim}2.25%$로 최고함량을 나타낸 이후 7월 중순에는 증가하였으며 그 이후 다시 감소하였다. 축합형 탄닌의 전구체인 catechins의 함량은 5월 중순에 $12{\sim}27\;mg%$였으며 6월 중순에 $17{\sim}34\;mg%$로 최고 함량을 나타내었으며 각 catechin의 함량은 (+)-catechin, (-)-epicatechin, (-)-eplgallocatechingallate, (-)-epigallocatechin, (-)-epicatechingallate 순으로 낮아졌다. 감잎에 존재하는 유리당은 sucrose, glucose, fructose, raffinose 이었으며 당알콜인 mannitol도 존재하였다. Sucrose는 성장에 따라 계속 증가하였으며 glucose와 fructose는 감소하였고 raffinose는 0.1% 미만이었다. 감잎의 성장에 따라 glucose와 fructose는 5월 초순까지는 90% 이상을 차지하였으나 점차로 sucrose의 비율이 높아져 전체 유리당 함량의 $60{\sim}80%$를 차지하였다. 총 비타만 C의 함량은 청도반시, 사곡시, 경산반시가 5월 중순과 6월 초에 평핵무는 7월 중순에 최고 함량을 나타내었다. 이상의 결과에서 대부분의 성분이 5월 중순과 6월 초에 최고의 함량을 나타내었고 6월 중순에 접어들면서 감잎의 색깔이 짙어지고 두꺼워지는 점을 고려할 때 감잎차 제조를 위한 감잎의 적정 채취시기는 개화기인 5월 중순에서 6월 초순 무렵이 가장 좋은 것으로 생각되었다.

  • PDF

감관총채벌레(Ponticulothrips diospyrosj)의 발생소장과 피해 양상 (Seasonal Occurrence of Japanese Gall-forming Thrips, Ponticulothrips diospyrosi Haga et Okajima, and Its Damage Pattern)

  • 신원우;이흥수;이규철;박정규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43권2호
    • /
    • pp.103-109
    • /
    • 2004
  • 경남 김해와 창원의 단감원에서 감관총채별레(Ponticulothrips diospyrosi Haga et Okajima)의 발생생태와 피해양상을 조사하였다. 황색끈끈이 트랩 조사(2002년)와 피해권엽 내부 정밀조사(2002,2003년)에 의하면 월동세대 성충은 4월 하순부터 5월 하순 사이에 월동처에서 단감원으로 이동하여 단감의 새 잎에 산란하며, 제 1세대 성충의 발생 최성기는 6월 상중순이었다. 피해권엽 정밀조사에 의한 제1세대 난, 약충, 번데기의 발생 최성기는 각각 5월 상중순, 5월 하순6월 상순, 6월 상순이었다. 대부분의 제1세대 성충은 우화후 월동처로 이동하지만 일부 성충이 산란한 개체가 발육하여 제2세대 성충이 되는데, 7월 하순 이후에 발생하는 성충이 제2세대 성충인 것으로 생각된다. 피해엽율은 시기가 경과할수록 증가하였으며 창원포장에서 6월 상순에 9.7%로 가장 높았다. 피해과율은 6월 중순 낙화 이후부터 관찰되었으며 김해 B포장에서 9월 상순의 피해과율이 30.2%로 가장 높았다. 과수원의 가장자리에 가까이 위치한 나무일수록 피해엽 발생시기가 빨랐으며, 특히 소나무 군락을 중심으로 l0m이내에 피해가 심하였다. 성충의 발생시기와 관련하여 방제시기 문제를 고찰하였다.

감잎, 녹차, 솔잎의 건분 및 에탄올추출물이 흰쥐의 지방대사와 항산화능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Dried Leaf Powders and Ethanol Extracts of Persimmon, Green Tea and Pine Needle on Lipid Metabolism and Antioxidative Capacity in Rats)

  • 김은성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32권4호
    • /
    • pp.337-352
    • /
    • 1999
  • The effects of dried leaf powders and ethanol extract of persimmon, green tea and pine needle on lipid metabolism, lipid peroxidation and antioxidative activity were investigated in rats. Forty-nine male Spargue-Dawley rats weighing 107.8$\pm$1.8g were blocked into seven groups according to body weight. Rats were raised for four weeks with diets containing either 5%(w/w) dried leaf powders of one of three different Korea traditional teas, persimmon(Diospyros kaki Thunb), green tea(Camellia Sinensis O.Ktzc)or pine needle(pinus Koreansis Sieb. Et Zucc), or ethanol from equal amounts of each dried tea powder. Food intake, weight gain, food efficiency ratio, and weights of liver, kidney and epididymal fat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the green-tea-powder group, and significantly lower in the pine-needle-powder and pine-needle-extract groups. Persimmon-leaf powder was found to decrease plasma total lipid, triglyceride and cholesterol concentration by increasing fecal total lipid triglyceride and cholesterol excretions. Liver cholesterol concentration was significantly lower in the green-tea and pine-needle-extract groups. Red-blood-cell superoxide dismutase(SOD) and glutathione peroxidase(GSH-px) activities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in rats fed green-tea extract. Liver SOD activity was increased in rats fed pine-needle powder or extract, and liver GSH-px activity was increased in rats fed greentea powder. Plasma and liver thiobarbituric acid reactive substance(TBARS) concentration were both decreased in rats fed dried leaf posers or extracts of persimmon or green tea. It is believed that high vitamin E levels in persimmon leaf, and high flavonoid, beta-carotene and vitamin C levels in green tea effectively inhibited lipid peroxidation. In conclusion, persimmon and green tea leaves were effective in lowering lipid levels and inhibiting lipid peroxidation in animal tissue, while pine needles were effective and lowering body weight gain. From these results, persimmon and green tea leaves can be recommended in the treatment and prevention of chronic discorders such as cardiovascular disease, cancer and aging. As ethanol extracts from these teas were also effecitive in lowering tissue lipid levels and inhibiting lipid peroxidation, we recommend the use of discarded tea grounds for this.

  • PDF

떫은 감과 감잎을 이용한 과립차 개발에 관한 연구 (Development of Granular Tea by Using Astringent Persimmon and Persimmon Leaves)

  • 변광인;권용주;박미란
    • 한국조리학회지
    • /
    • 제14권2호
    • /
    • pp.273-285
    • /
    • 2008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appropriate processing condition of astringent persimmon and persimmon leaf granular tea. Under the condition of 4 hour extraction and $50^{\circ}brix$, extraction yield and concentrating of astringent persimmon were the greatest. Under the condition of 2 hour extraction and $7^{\circ}brix$, extraction yield and concentrating of persimmon leaf were the greatest. The optimum condition of granular tea with astringent persimmon and persimmon leaf added was the best in astringent persimmon concentrate of 16% and persimmon leaf concentrate of 4%. It had the best taste after the condition in a brix value of 16.15% and a pH of 5.57. The L-value of chromaticity was -79.13, a-value 2.27, and b-value 2.41. In the sensory properties correlation analysis of astringent persimmon and persimmon leaf granular tea, sweet taste, color acceptability, odor acceptability and taste accept-ability were positively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most sensory properties. However, astringent taste was no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sensory acceptability. Bitter taste and after taste were negatively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most sensory propertie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