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ersimmon extract

검색결과 114건 처리시간 0.021초

납투여한 흰쥐의 헴합성과 적혈구 중의 항산화효소 활성에 미치는 녹차, 감잎, 홍화 열수추출물의 영향 (Effect of Water Extract of Green tea, Persimmon Leaf and Safflower Seed on Heme Synthesis and Erythrocyte Antioxidant Enzyme Activities in Lead-Administered Rats)

  • 김명주;조수열;장주연;박지윤;박은미;이미경;김덕진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2권2호
    • /
    • pp.191-196
    • /
    • 2003
  • 한국전통차로 알려진 녹차, 감잎 및 홍화의 열수추출물이 납투여된 흰쥐의 헴합성과 적혈구 중의 항산화효소 활성도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기 위하여 체중 kg당 25 mg의 납을 매주 1회 경구투여 하였다. 녹차잎, 감잎 및 홍화 열수추출물은 매일 일정시간에 체중 kg당 1.26 g 수준이 되도록 4주간 경구투여하여 사육한 결과 헤마토크릿치, 헤모글로빈 함량 및 적혈구 수는 납 단독투여군이 정상군에 비하여 유의적인 감소를 보였으나 녹차, 감잎 및 홍화 열수추출물 급여로 감소 정도가 완화되었다. 혈액과 간조직 ALAD 중의 활성은 정상군에 비하여 납 단톡투여 군이 유의 적으로 감소되었으며, 한국전통차 열수 추출물 급여시 활성이 정상 수준 가까이 회복되었는데 그 효능은 혈액학적 성상 변화와 유사한 경향을 나타내었다 혈장 중 AST, ALT활성은 정상군에 비하여 납 단독투여군에서 유의적으로 증가되었으며 각각의 열수추출물 급여시 납에 의한 활성 증가가 현저하게 억제되어 정상수준으로 회복되었으며 한국전통차 종류에 따른 차이는 유의적이지는 않으나 감잎과 홍화가 효과적인 것으로 관찰되었다. 적혈구 중의 SOD와 CAT활성 및 GSH 함량은 납 단독투여시 유의적으로 증가되고 GSH-Px 활성은 감소된 반면, 녹차, 감잎 및 홍화 열수추출물 급여시 납으로 인한 적혈구의 항산화효소 활성변화가 완화되었다

감꽃 침출차의 품질 특성 (Quality Properties of Tea Extracts Prepared with Persimmon Flowers)

  • 정헌식;윤광섭;성종환;문광덕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4권2호
    • /
    • pp.148-153
    • /
    • 2007
  • 감 꽃잎과 꽃받침의 이용가능성을 검토하고자, 꽃잎과 꽃받침의 화학성분 분석과 이들을 스팀처리 후 건조(열풍, 동결), 분쇄하여 제조한 분말의 열수 침출차의 품질특성을 조사하였다. 꽃잎과 꽃받침의 수분, 조단백질, 조지방 및 탄수화물 함량은 유의적인 차이가 없이 평균적으로 84.8%, 0.4%, 0.3%, 13.7%를 각각 나타내었으나, 조회분 함량은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며 0.5%와 1.1%를 각각 나타내었다. 꽃잎과 꽃받침의 비타민 C 함량은 192.3mg%와 392.7mg%,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88.4mg%와 355.2mg%, 카로테노이드 함량은 0.8mg%와 3.8mg%를 각각 나타내었다. 침출차의 품질특성 분석결과, 꽃잎의 건조방법은 침출차의 가용성 고형물, 가용성 탄닌, DPPH유리기 소거능 등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으며, 꽃잎보다는 꽃받침 침출차가 낮은 pH와 높은 L값, -a값, 가용성 탄닌, DPPH유리기 소거능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꽃잎 침출차가 꽃받침 침출차보다 fructose와 glucose는 높았으나 sucrose는 낮았으며, 꽃잎의 경우는 열풍건조보다는 동결건조품이 유의적으로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침출차의 유기산은 citric acid, oxalic acid, malic acid 순으로 함유되어 있었으며, 각 성분함량은 꽃받침이 꽃잎보다 높은 경향이었으며, 꽃잎은 동결건조보다 열풍건조품에서 다소 높게 나타났다. 침출차의 관능검사 결과, aroma, taste 및 overall acceptability 등이 시료별 유의적인 차이가 없이 '좋지도 싫지도 않다' 정도로 평가되었다. 이로써 감 꽃잎과 꽃받침은 식품소재로서의 가치를 지니며 음용차로의 제조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한국산 감잎로부터 Polyphenol계 생리활성물질 분리 (Isolation of Polyphenol Compounds from the Leaves of Korean Persimmon (Diospyrus kaki L. Folium))

  • 안봉전;배만종;최희진;장운빈;성태수;최청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45권4호
    • /
    • pp.212-217
    • /
    • 2002
  • 옛부터 민간 약제로 사용했던 감나무 잎을 식품, 화장품 기능 생물 신소재로 활용하기 위해 감나무잎의 주성분으로 알려진 폴리페놀 화합물을 분리하고 생리활성 기능을 조사하였다. 감나무 잎을 60%의 아세톤으로 추출한 용액을 동결 건조시켜 농도별로 조제하고 glucosyltransferase, tyrosinase 효소저해를 관찰한 결과 glucoslytransferase는 $1.8{\times}10^{-1}$ mg/ml에서 82.84% 저해를, tyrosinase는 0.8 mg/ml에서 21,65% 저해 활성이 확인되었다. Sephadex G-50으로 gel filtration한 결과 fraction 1, 2, 3, 4, 5로 분획되었고 이중 fraction 1, 2에서 효소 저해 활성을 나타내었다. 활성 분획물의 물질군을 확인하기 위해 proteinase K 처리와 멸균처리한 결과 효소저해에 영향은 없어 활성물질군은 단백질군이 아니며, UV spectrum에서 자외선 영역에 최대 흡광치를 보여주므로 페놀링을 갖는 화합물로 추정하게 되었다. 추정화합물을 Sephadex LH-20, MCI-gel 및 Bondapak $C_{18}$ column에서 분리한 결과 F1 fraction에서 compound $1{\sim}4$가지 4종류의 화합물, F2 fraction에서는 compounds 5, 6, F3 fraction에서 compound 7, 8, 9를 순수 정제하여 재결정하였다. 분리된 화합물은 TLC 발색반응에서 flavan-3-ol 골격을 기본으로 하는 축합탄닌 반응을 보였고 전개정도에서 monomer가 2종류, dimer가 3종류, trimer가 1종류로 확인되었다.

Penicillium expansum에 의한 감 푸른곰팡이병 발생 (Occurrence of Blue Mold on Sweet Persimmon(Diospyros kaki) Caused by Penicillium expansum)

  • 권진혁;정선기;홍승범;채윤석;박창석
    • 식물병연구
    • /
    • 제12권3호
    • /
    • pp.290-293
    • /
    • 2006
  • 저장 및 유통중인 단감 과실에서 Penicillium expansum에 의한 푸른곰팡이병이 발생하였다. 병징은 과실 표면이 약간 함몰되면서 부패되고 그 위에 푸른곰팡이가 발생하는 것이 특징이다. 균총의 색깔은 MEA 배지에서 처음 흰색에서 푸른색을 띄며 분생포자를 많이 형성하였다. 분생포자의 모양은 타원형이며 푸른색으로, 크기가 $2.6{\sim}4.0{\times}2.2{\sim}3.8{\mu}m$ 이었다. 분생포자경은 기중균사나 균사표면으로부터 대부분 형성되고, Phialide는 3-7개의 윤생체가 있으며 단지모양으로 매끈하며 크기는 $8.0{\sim}9.2{\times}2.0{\sim}3.0{\mu}m$이며, Matulae는 2-4개의 윤생체가 있으며 거칠고 크기는 $9.0{\sim}12.6{\times}3.0{\sim}4.6{\mu}m$이다. Ramuli의 크기는 $11.0{\sim}17.6{\times}2.3{\sim}3.0{\mu}m$이고, Rami는 1-2개의 그룹으로 되어 있으며 크기가 $7.5{\sim}32.6{\times}2.6{\sim}4.2{\mu}m$이었다. Stipes에 격막이 있고 매끄러우며 가는 벽을 가졌고 크기는 $56{\sim}302{\times}2.8{\sim}4.0{\mu}m$이었다. 균사생육 적온은 $25^{\circ}C$였다. 병원성 검정결과 동일한 병원성을 나타내었다. 이상 조사한 결과로 보아, 이 병을 Penicillium expansum에 의한 감 푸른곰팡이병으로 명명할 것을 제안한다.

Change of Ginsenoside Composition in Ginseng Extract by Vinegar Process

  • Ko, Sung-Kwon;Lee, Kyung-Hee;Hong, Jun-Kee;Kang, Sung-An;Sohn, Uy-Dong;Im, Byung-Ok;Han, Sung-Tai;Yang, Byung-Wook;Chung, Sung-Hyun;Lee, Boo-Yong
    • Food Science and Biotechnology
    • /
    • 제14권4호
    • /
    • pp.509-513
    • /
    • 2005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new preparation process of ginseng extract using high concentrations of ginsenoside $Rg_3$, a special component in red ginseng. From when the ginseng saponin glycosides transformed into the prosapogenins chemically, they were analyzed using the HPLC method. The ginseng and ginseng extract were processed with several treatment conditions of an edible brewing vinegar. The results indicated that ginsenoside $Rg_3$ quantities increased over 4% at the pH 2-4 level of vinegar treatment. This occurred at temperatures above $R90^{\circ}C$, but not occurred at other pH and temperature condition. In addition, the ginseng and ginseng extract were processed with the twice-brewed vinegar (about 14% acidity). This produced about 1.5 times more ginsenoside $Rg_3$ than those processed with regular amounts of brewing vinegar (about 7% acidity) and persimmon vinegar (about 3% acidity). Though the white ginseng extract was processed with the brewing vinegar over four hr, there was no change for ginsenoside $Rg_3$. However, the VG8-7 was the highest amount of ginsenoside $Rg_3$ (4.71%) in the white ginseng extract, which was processed with the twice-brewed vinegar for nine hr. These results indicate that ginseng treated with vinegar had 10 times the quantity of ginsenoside $Rg_3$, compared to the amount of ginsenoside $Rg_3$ in the generally commercial red ginseng, while ginsenoside $Rg_3$ was not found in raw and white ginseng.

감잎추출물이 고콜레스테롤혈증 흰쥐의 혈청 및 간 지질함량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Persimmon Leaves (Diospyros kaki folium) Extract on Serum and Liver Lipid Concentrations in Hypercholesterolemic Rats)

  • 박지윤;박은미;이미경;장주연;김명주;조수열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9권3호
    • /
    • pp.537-542
    • /
    • 2000
  • 감잎추출물이 고콜레스테롤혈증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고자 흰쥐에게 1% 콜레스테롤과 0.25% 콜산나트륨을 첨가한 고폴레스테롤혈증 유발 식이와 감잎추출물을 1, II수준(126 mg or 252 mg/kg body weight)으로 나누어 경구투어하여 녹차추출물 (126 mg/kg body weight)과 비교.검토하였다. 혈청과 간조직의 중성지질 농도는 녹차추출물군에서 가장 낮은 반면 총, 유리, 콜레스테릴에스테르 농도는 녹차추출물군에 비하여 감잎추출물 I군의 감소 정도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킬로미크론, LDL콜레스테롤 농도 역시 감이ㅠ추출물 투여로 현저하게 감소하였으며, II수준에 비하여 I 수준에서 그 효과가 우수한 것으로 관찰되었다. VLDL-콜레스테롤 농도는 감잎, II군이 감잎 1군에 비하여 유의적으로 감소되었다. 반면, HDL-콜레스테롤 농도와 HDL-C/TC비는 감잎추출물 I군이 녹차추출물군과 감잎추출물 II군에 비하여 유의적으로 증가하였으나, 동맥경화지수는 감소하였다. 총콜레스테롤, VLDL-과 LDL-콜레스테롤의 농도 증가는 관상 동맥질환의 위험요소인데, 특히 감잎추출물 투여시 이들 콜레스테롤 농도 감소가 현저하므로 고콜레스테롤 혈증 흰쥐의 지질대사 개선효능을 알 수 있었다.

  • PDF

Anti-aging Potential of Extracts Prepared from Fruits and Medicinal Herbs Cultivated in the Gyeongnam Area of Korea

  • Shon, Myung-Soo;Lee, Yunjeong;Song, Ji-Hye;Park, Taehyun;Lee, Jun Kyoung;Kim, Minju;Park, Eunju;Kim, Gyo-Nam
    • Preventive Nutrition and Food Science
    • /
    • 제19권3호
    • /
    • pp.178-186
    • /
    • 2014
  • Many recent studies have focused on maintaining a healthy life by preventing and/or postponing the aging process. Numerous studies have reported that continuous exposure to reactive oxygen species can stimulate skin aging and that excessive accumulation of fat can cause an impaired skin barrier and tissue structure alterations. Thus, the maintenance of antioxidant homeostasis and the suppression of adipose accumulation are important strategies for skin anti-aging. Here, we prepared three types of extracts [whole juice, acetone-perchloric acid (PCA), and ethanol] from 20 fruits and medicinal herbs native to the Gyeongnam area of Korea. The total phenolic content of each extract was analyzed, and we observed higher total phenolic contents in the medicinal herbs. Consistent with this, the results of the oxygen radical absorbance activity capacity assay indicated that the in vitro antioxidant activities of the medicinal herb extracts were stronger than those of the fruit extracts. The fruits and medicinal herbs had strong effects on cell-based systems, including $H_2O_2$-induced oxidative stress in human keratinocytes and 3T3-L1 lipid accumulation. Nishimura Wase persimmon, Taishu persimmon, wrinkled giant hyssop, sweet wormwood, Chinese cedar, red perilla, tan shen, hiyodori-jogo, and cramp bark may be natural anti-aging materials with effective antioxidant and anti-adipogenic activities. Taken together, our findings may provide scientific evidence supporting the development of functional foods and nutraceuticals from fruits and medicinal herbs.

각종 차성분의 아질산염 소거능에 대한 연구 (A Study on Nitrite Scavenging Ability of Tea Extracts)

  • 이정민;안명수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12권5호
    • /
    • pp.567-572
    • /
    • 1997
  • This reserch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nitrite scavenging abilities (NSA) of 7 kinds of tea extracts. Nitrites are used as additives of cured meat preperation and exist in plants, foods, and medicines, so we intake it very often easily. Nitrites can act with amines to produce nitrosamine which is known to be a carcinogen. It is known that the pH, concentration of amines, and amounts of nitrite are three important conditions of nitrosamine occurence. 7 kinds of tea used in this experiment were Persimmon tree (Diospyroo kaki Thiunb, Per.), Mulberry tree (Morus alba Linne, Mul.), Rubber tree (eucommia ulmoi-des Oliver, Rub.), Solomon's-seal (Bolygonatu Morr, Som.), Chicory (Cichorrium intybus L, Chi.), Sumach (Rhus javanica L., Sum.), Docwood (Cornus officinale Sieb, Doc.) and they were extracted with methanol (MeOH), ethyl ether (EtEt), ethyl acetate (EtAc), and also the extract existed in the aqueous layer II (Aq L. II) was used.

  • PDF

감잎 핵산획분의 항돌연변이 효과와 항돌연변이 물질의 GC-MS를 이용한 동정 (Antimutagenic Effects and Compounds Identified from Hexane Fraction of Persimmon Leaves)

  • Moon, Suk-Hee;Kim, Jeong-Ok;Rhee, Sook-Hee;Park, Kun-Young;Kim, Kwang-Hyuk;Rhew, Tae-Hyong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2권3호
    • /
    • pp.307-312
    • /
    • 1993
  • 감잎의 메탄올 추출물이 Salmonella typhimurium TA100에서 aflatoxin B$_1$(AFB$_1$), DMAB, MNNG, 그리고 4-NQO의 돌연변이 유발성을 억제시키는 효과가 있었다. 메탄올 추출물을 다시 hexane, chloroform, ethyl acetate, butanol, 그리고 수용성층으로 분획하여 각 획분의 수득율과 항돌연변이 효과를 조사하였다. Hexane, butanol, 그리고 수용성 획분의 수득율이 높았으며, 이중 hexane 획분이 AFB$_1$, DMAB, MNNG, 그리고 4-NQO에 대한 Salmonella typhimurium TA100에서 항돌연변이효과가 가장 크게 나타났다. Hexane 획분을 silica gel column과 thin layer chromatography (TLC)법으로 연속분리하여 TLC상에서 8개의 bands로 분리하였다. 그중 항돌연변이 효과가 가장 컸던 band를 hexane/ethylacetate (1 : 1, v/v)로 추출한 다음 그중에 존재하는 화합물을 GC-MS를 이용하여 분리동정하였다. 활성획분에서는 1'-oxocannabinol, 3$\beta$-acetoxy-17-methyl-5$\alpha$-18 (13-17) abeoard-rost-13-ene, 4-methoxy-2'6'-dinitro-3,5-di-t-butylbiphenyl, 8, 9-dihydro-5,6-dimethoxy-dibenz[c,h]isoquino [2, 1, 8-1ma]carbazole-11, 16-dione 등이 분리동정되었다.

  • PDF

감 초미세 분말의 추출물을 이용한 항산화 및 항아토피 활성 (Anti-Allergic Activities of Ultra-fine Powder from Persimmon)

  • 허진철;이강열;이범구;최소영;이숙희;이상한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7권1호
    • /
    • pp.145-150
    • /
    • 2010
  • 초미세 분쇄법은 식품의 가공방법 중 하나로 특히 이를 이용하여 음용으로 활용범위를 넓힐 수 있다. 본 연구는 이에 착안하여 감을 이용한 초미세 분말을 이용하여 항산화 활성과 자가면역질환인 아토피에 효과가 있는지를 확인하여 보았다. 감 초미세 분말을 이용하여 DPPH와 FRAP 항산화 활성 실험을 수행 하였으며, 마우스 동물모델을 이용한 항알러지 피부염 동물모델을 이용하여 확인하였다. 항산화 활성 실험 결과 감 초미세 추출물은 농도에 따른 활성 등가를 나타내었다. DNFB (dinitrofluorobenzene)를 이용한 아토피 유도 후 이의 억제 활성은 아토피 유도군에서 염증의 유도와 함께 약 1.7배 정도 귀의 두께가 증가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감 초미세 추출물 FA 1, 2, 3 추출물을 처리한 결과, FA3이 다른 두 그룹 보다 귀에 비후정도가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귀의 표피나 진피에서 발견되는 면역관련 세포는 대조군에 비해 아토피를 유도한 군에서 약 7배 정도의 세포수가 증가하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감 초미세 분말 추출물을 처리한 경우, 수적으로 감소하는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