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ermeability coefficients

검색결과 158건 처리시간 0.027초

A Study on Multi-Layered EM Wave Absorber Using Natural Lacquer as a Binder

  • Choi, Dong-Han;Kim, Dong-Il;Choi, Chang-Mook;Li, Rui
    • 한국항해항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항해항만학회 2006년도 International Symposium on GPS/GNSS Vol.1
    • /
    • pp.157-161
    • /
    • 2006
  • Generally, a silicone rubber and a chlorinated polyethylene(CPE) have been used as a binder for the development of high-performance composite EM(Electro Magnetic) wave absorbers. In this paper, the EM wave absorption performance of natural lacquer, which is newly proposed as a binder was investigated. The prepared MnZn ferrite EM wave absorbers are mixed with natural lacquer showed excellent EM wave absorption characteristics compared with MnZn ferrite EM wave absorbers which are mixed with the conventional binders. MnZn ferrite EM wave absorbers mixed with natural lacquer were prepared and their absorption ability was also investigated. The EM wave absorbers are fabricated in different proportions of MnZn, or NiZn ferrite and natural lacquer, and their reflection coefficients are measured. The permittivity and permeability are calculated by using the measured reflection coefficients. The EM wave absorption abilities are calculated according to different thicknesses of the EM wave absorbers.

  • PDF

The Study of Improvement of Measurement Precision on Bulk Density, Soil Hardness and Air Permeability in Upland Soils

  • Ok, Jung-hun;Han, Kyung-hwa;Cho, Hee-rae;Zhang, Yong-seon;Seo, Young-ho;Jung, Kang-ho;Lee, Hyub-sung;Kim, Gi-sun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50권5호
    • /
    • pp.482-488
    • /
    • 2017
  • The measurement based on reliable standard operating procedures (SOPs) is important for consistent information.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reliable SOPs of soil physical methods, including core method for bulk density, Yamanaka hardness, and air permeameter method for air permeability. The coefficients of variation in bulk density (core method), Yamanaka hardness, and air permeability were ranged of 1~6%, 8~13%, and 10~84%, respectively. The variation in situ measurement such as bulk density, hardness, and air permeability due to spatial variability at measuring site was larger due to the number of replicates, organic matter content, and soil texture. Nevertheless, air permeability had different values as different number of replicates, and thus, it is thought that more replicates can result in higher reliability. It suggested that investigation of soil physical properties for the target sites should required to consider about soil texture, organic matter content, and number of replications before measurement. In conclusion, core sampling for bulk density measurement in upland soil recommended to perform in 3 repetitions with 2 inch core, and 3 inch core sampling for higher organic matter content.

뒷채움 모래의 다짐에 의한 투수이방성이 주동토압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Permeability Anisotropy on the Active Earth Pressure In Compacted Sand Backfill)

  • 정성교;신종보;전용백
    • 한국지반공학회지:지반
    • /
    • 제2권3호
    • /
    • pp.27-36
    • /
    • 1986
  • 뒷채움 다짐한 옹벽에 저해 침투빙가 주동토압에 미치는 영향을 관찰하기 위하여 책험과 이론해석에 의하여 연구가 수행되었다. 다짐방법이 모래의 투빙성에 미치는 영향을 관찰하기 위하여 특별히 고안된 정수두 투수시험장치와 전기전도도 측정법에 의하여 실험이 행해졌다. 실험결과, 다짐방상에 직각인 방향과 평행한 방향의 투수계수의 비(kz/ky)는 공소비와 반대수방안지에서 직선관계로 보이고, 상대밀도가 90% 이상에서는 kz/ky의 값이 2-4로 나타났다. 이 때 다짐방법은 투수계수에 별다른 영향을 주지 않았으며, 굵은 모래보다 가는 모래에서 이방성이 크게 나타났다. 이방성 침투가 주동토압에 미치는 영향을 관찰하기 위하여 확장된 Gray 이론에 실험결과를 적용하여 보았다. kz/ky의 값이 클수록 주동토압의 크기는 작아지고, 벽면마찰의 영향은 크지 않았다.

  • PDF

백합나무 횡단면 흡음성능의 방사방향 변이 (Radial Variation of Sound Absorption Capability in the Cross Sectional Surface of Yellow Poplar Wood)

  • 강춘원;이용훈;강호양;강욱;서혜란;정우양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39권4호
    • /
    • pp.326-332
    • /
    • 2011
  • 국산 산공재 중 구조적 특징이 목재흡음에 적합하다고 생각되는 백합나무 목재 횡단면의 흡음성능과 기체투과성의 방사방향 변동과 폭쇄처리 영향을 관찰하고자 무처리와 폭쇄처리 목재원반에서 방사방향위치가 다른 원형시험편을 채취하여 전달함수법과 CFP (capillary flow porometry)법으로 흡음율과 기체투과성을 각각 측정, 비교하였다. 측정주파수범위에서 폭쇄처리 횡단면의 흡음율이 무처리재보다 높은 흡음성능을 나타내었으며 횡단면에서는 대경 도관이 다수 존재하여 다공질형흡음에 유용한 연속된 모세관이 다량 존재하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 방사방향으로는 심재부위에서 채취한 시험편보다 변재부위에서 채취한 시험편의 흡음계수가 높은 흡음율을 나타내었으며, 기체투과성도 변재부위가 심재부위보다 높은 수치를 나타내었다.

고전장하에서 제조된 PVA/Gelatin 블렌드막의 이온투과 특성 (Ion Permeation of PVA/Gelatin Blend Membrane Prepared Under High Electric Field)

  • 허양일;조정웅
    • 폴리머
    • /
    • 제30권6호
    • /
    • pp.568-571
    • /
    • 2006
  • Poly(vinyl alcohol) (PVA)/gelatin(GEL) 블렌드막을 고전장하에서 제조한 후, 팽윤거동 및 이온투과 특성을 연구하였다. 알칼리 금속염(LiCl, NaCl, KCl)에 대한 투과 실험 결과, 인가된 전장의 강도가 10 kV까지 증가하면 막의 곡로율이 감소하여 이온 투과도가 증가하지만, 10 kV이상이 되면 막의 결정화도의 증가 영향이 커져 투과도는 감소하였다. 완충용액에 대한 팽윤 실험에서 pH 6을 기점으로 산성영역 혹은 염기성 영역으로 갈수록 하전기간의 반발로 인하여 팽윤도가 증가함을 관찰하였다. 제조된 블렌드막의 KCl 투과도 계수는 pH 6에서 극대값을 보였고, 산성 혹은 염기성 영역으로 갈수록 급격히 감소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거동은 막내 존재하는 관능기들이 해리함에 따라 용해도 증가 영향보다는 Donnan 배제효과가 우세하게 작용하기 때문인 것으로 생각된다. 특히 온도에 따른 투과거동에서 $40^{\circ}C$를 기점으로 KCl 투과도 계수가 약 5배 정도 급격히 증가함을 보여주었다.

저소성 연약지반에서의 스미어 존 특성 평가 (Characteristics of the Smear Zone by Vertical Drain of Low Plasticity on Soft Ground)

  • 강윤;백성철;김홍택
    • 한국지반환경공학회 논문집
    • /
    • 제8권3호
    • /
    • pp.27-33
    • /
    • 2007
  • 최근에 연약지반개량공사에서 연직배수공법은 가장 많이 사용하는 공법 중 하나이다. 그러나 개량을 위한 배수재의 시공시에 지반 교란이 발생하여 스미어 존이라는 교란영역을 발생시킨다. 이렇게 발생된 스미어 존의 특징은 그 영역내의 투수계수가 감소하여, 설계시 예상하였던 압밀이 원활히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점이 발생 된다는 점이다. 스미어 존의 수평압밀계수, 수평투수계수는 압밀도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설계인자이다. 그러나 기존에 수행되는 설계방법에서 이러한 주요설계인자의 산정방법은 수직압밀계수에 의하여 수평압밀계수 및 수평투수계수를 경험적으로 유추하여 설계를 수행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으로 산정된 수평투수계수, 수평압밀계수는 설계 특성상 불확실성에 대한 과대설계로 진행되어 시공성, 공사기간 및 경제적인 측면에서 큰 손실을 가져올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이번 연구에서는 국내에 서해안과 남해안 지역에 널리 분포하고 있는 저소성 지반을 대상으로 선정, 실험을 수행하여 저소성의 실트 및 점토지반에서의 스미어 존의 크기를 평가하였으며, 원지반의 압밀특성 및 물리적 특성과의 상관성 분석을 수행하여 설계시 참고자료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 PDF

재령에 따른 고성능 콘크리트의 수화 특성치와 염화물 확산성 변화 (Changes in Cement Hydrate Characteristics and Chloride Diffusivity in High Performance Concrete with Ages)

  • 고태호;권성준
    •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논문집
    • /
    • 제23권6호
    • /
    • pp.9-17
    • /
    • 2019
  • 콘크리트의 수화물 및 이와 관련된 특성치들은 재령에 따라 변화하며 이는 염화물 확산성과 큰 관련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세 가지 수준의 물-결합재 비와 플라이 애시 및 고로슬래그 미분말을 30% 혼입한 콘크리트 대하여 2년간 장기 양생을 수행하였다. 5번의 측정 시점(28일, 56일, 180일, 365일, 730일)에 대하여 촉진실험을 통하여 촉진 염화물 확산계수를 평가하였으며, DUCOM을 통하여 도출된 공극률, 염화물 구속능, 투수계수의 변화와 비교하였다. 염화물 확산성과 투수성의 변화 패턴이 가장 유사하였는데, 이는 투수성이 공극률의 제곱에 비례하기 때문이다. 또한, 각 재령 기간 동안 변화하는 비율을 분석하였는데, 초기 재령(재령 28일~56일)에서 공극률, 투수성 및 염화물 확산성의 변화가 지배적이었고, 낮은 물-결합재 비를 가진 OPC 콘크리트에서는 180일까지 확산성의 변화가 지속적으로 크게 평가되었다.

치밀가스 저류층의 저투과도 측정에 관한 실험적 연구 (Experimental Study on the Measurement of the Low Permeability in Tight Gas Reservoir)

  • 장호창;신창훈;이정환
    • 한국가스학회지
    • /
    • 제18권3호
    • /
    • pp.20-30
    • /
    • 2014
  • 비전통가스 자원을 개발하기 위해서는 저류층 암체의 치밀성을 도출하는 물성 분석이 요구된다. 특히, 치밀가스와 같은 비전통자원의 경우, 전통적인 천연가스전과 비교하여 투과도가 특징적으로 낮아서 통상적인 물성 측정 기술을 적용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비정상상태에서 저투과성 암체의 물성을 측정하는 압력펄스감소법을 기반으로 실험 장치를 개발하였다. 개발된 기기는 우리나라 경상분지 치밀사암의 물성 분석에 이용되었으며, 각 시료의 투과도와 공극률을 도출하였다. 또한, 실험을 통해 얻은 자료와 이론해 모델 간의 회귀분석 결과 모두 0.96 이상의 상관계수를 나타냈으며, 개발된 장치에 대한 높은 신뢰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충전재 종류에 따른 포장용 포러스 폴리머 콘크리트의 강도 및 투수 특성 (Strengths and Permeability Properties of Porous Polymer Concrete for Pavement with Different Fillers)

  • 김영익;성찬용
    • 한국농공학회논문집
    • /
    • 제49권4호
    • /
    • pp.51-59
    • /
    • 2007
  • Recently, concrete has been made porous and used for sound absorption, water permeation, vegetation and water purification according to void characteristics. Many studies are carried out on the utilization of sewage sludge, fly ash and waste concrete to reduce the environmental load. This study was performed to evaluate the void, strength, relationship between void and strength, permeability and chemical resistance properties of porous polymer concrete for pavement with different fillers. An unsaturated polyester resin was used as a binder, crushed stone and natural sand were used as an aggregate and bottom ash, fly ash and blast furnace slag were used as fillers. The mix proportions were determined to satisfy the requirement for the permeability coefficient, $1{\times}10^{-2}$ cm/s for general permeable cement concrete pavement in Korea. The void ratios of porous polymer concrete with fillers were in the range of $18{\sim}23%$. The compressive strength and flexural load of porous polymer concrete with fillers were in the range of $19{\sim}22$ MPa and $18{\sim}24$ KN, respectively. The permeability coefficients of porous polymer concrete with fillers were in the range of $5.5{\times}10^{-1}{\sim}9.7{\times}10^{-2}$ cm/s. At the sulfuric acid resistance, the weight reduction ratios of porous polymer concrete immersed during 8-week in 5% $H_{2}SO_{4}$ were in the range of $1.08{\sim}3.56%$.

Durability properties of concrete containing metakaolin

  • Nas, Memduh;Kurbetci, Sirin
    • Advances in concrete construction
    • /
    • 제6권2호
    • /
    • pp.159-175
    • /
    • 2018
  • The main aim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possible effects of metakaolin on strength and durability properties of concrete. For this purpose, concrete mixtures are produced by substituting cement with metakaolin 0, 5, 10 and 20% by weight. The amount of binder for the concrete mixtures are 300 and $400kg/m^3$ with a constant water to cement ratio of 0.6. Compressive and bending strengths, freeze-thaw and high-temperature resistances, capillary coefficients and rapid chloride permeability properties were determined and compared each other. Because of all the experiments conducted, it has been found that the use of metakaolin as a pozzolanic additive in concrete have positive effects especially on compressive and bending strengths, capillary, rapid chloride permeability, freeze-thaw resistance, and high temperatures, up to $800^{\circ}C$.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 performance of concrete can be enhanced by metakaolin. Particularly, compressive strength and durability properties have found to be improved with increasing metakaolin content which is attributed to pozzolanic activity and filler effect. Furthermore, metakaolin has relatively positive impacts under elevated temperatures and freeze-thaw effects. However, almost all the strengths of entire concrete specimens are lost at $800^{\circ}C$. Consequently, the optimum metakaolin substitution ratio can be suggested to be 20% as per this stud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