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eripheral nervous system diseases

검색결과 46건 처리시간 0.02초

Concurrency of Guillain-Barre syndrome and acute transverse myelitis: a case report and review of literature

  • Tolunay, Orkun;Celik, Tamer;Celik, Umit;Komur, Mustafa;Tanyeli, Zeynep;Sonmezler, Abdurrahman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59권sup1호
    • /
    • pp.161-164
    • /
    • 2016
  • Guillain-$Barr{\acute{e}}$ syndrome and acute transverse myelitis manifest as demyelinating diseases of the peripheral and central nervous system. Concurrency of these two disorders is rarely documented in literature. A 4-year-old girl presenting with cough, fever, and an impaired walking ability was admitted to hospital. She had no previous complaints in her medical history. A physical examination revealed lack of muscle strength of the lower extremities and deep tendon reflexes. MRI could not be carried out due to technical problems; therefore, both Guillain-$Barr{\acute{e}}$ syndrome and acute transverse myelitis were considered for the diagnosis. Intravenous immunoglobulin treatment was started as first line therapy. Because this treatment did not relieve the patient's symptoms, spinal MRI was carried out on the fourth day of admission and demyelinating areas were identified. Based on the new findings, the patient was diagnosed with acute transverse myelitis, and high dose intravenous methylprednisolone therapy was started. Electromyography findings were consistent with acute polyneuropathy affecting both motor and sensory fibers. Therefore, the patient was diagnosed with concurrency of Guillain-$Barr{\acute{e}}$ syndrome and acute transverse myelitis. Interestingly, while concurrency of these 2 disorders is rare, this association has been demonstrated in various recent publications. Progress in diagnostic tests (magnetic resonance imaging and electrophysiological examination studies) has enabled clinicians to establish the right diagnosis. The possibility of concurrent Guillain-$Barr{\acute{e}}$ syndrome and acute transverse myelitis should be considered if recovery takes longer than anticipated.

Comprehensive investigation of the expression profiles of common long noncoding RNAs during microglial activation

  • Janghyun Kim;Bora Lee;Young Kim;Byeong C. Kim;Joon-Tae Kim;Hyong-Ho Cho
    • Genomics & Informatics
    • /
    • 제21권1호
    • /
    • pp.2.1-2.14
    • /
    • 2023
  • Microglia, similar to peripheral macrophages, are the primary immune cells of the central nervous system (CNS). Microglia exist in the resting state in the healthy CNS, but can be activated and polarized into either M1 or M2 subtypes for immune defense and the maintenance of CNS homeostasis by multiple stimuli. Several long noncoding RNAs (lncRNAs) mediate human inflammatory diseases and neuropathologies by regulating their target genes. However, the function of common lncRNAs that contribute to microglial activation remains unclear. Thus, we used bioinformatic approaches to identify common lncRNAs involved in microglial activation in vitro. Our study identified several lncRNAs as common regulators of microglial activation. We identified 283 common mRNAs and 53 common lncRNAs during mouse M1 microglial activation processes, whereas 26 common mRNAs and five common lncRNAs were identified during mouse M2 microglial activation processes. A total of 648 common mRNAs and 274 common lncRNAs were identified during the activation of human M1 microglia. In addition, we identified 1,920 common co-expressed pairs in mouse M1 activation processes and 25 common co-expressed pairs in mouse M2 activation processes. Our study provides a comprehensive understanding of common lncRNA expression profiles in microglial activation processes in vitro. The list of common lncRNAs identified in this study provides novel evidence and clues regarding the molecular mechanisms underlying microglial activation.

근골격계 질환에서 통증 조절을 위한 마약성 진통제 및 항우울제 (Opioids and Antidepressants for Pain Control in Musculoskeletal Disease)

  • 박세진;김우섭;장태동
    • 대한정형외과학회지
    • /
    • 제55권1호
    • /
    • pp.1-8
    • /
    • 2020
  • 고령화의 진행 및 근골격계 질환의 증가로 인해 여러 가지 수술적 치료 방법을 포함한 침습적인 치료 방법이 증가되고 있으나 수술적 치료 시행 전 보존적 치료는 충분히 시행되어야 한다. 보존적 치료 중에서 통증 조절을 위한 약물 치료는 오래 전부터 보존적 치료의 가장 대표적인 치료 방법으로 사용되어 왔고 여전히 가장 흔히 사용되는 방법이다. 통증 조절을 위한 약물로는 아세트아미노펜(acetaminophen), 비스테로이드성 항염증제(non-steroidal anti-inflammatory drugs), 스테로이드(steroid), 마약성 진통제(opioid), 항우울제(antidepressants) 등이 있으며 저자는 마약성 진통제 및 항우울제에 대해서 살펴보고자 한다. 통증으로 인해 말초 부위에 있는 통각 수용체에 자극이 전달되면 통증은 중추 신경계로 전달되는 상향성 경로(ascending pathway)를 거쳐 대뇌에 전달되고 대뇌는 통증을 조절하기 위해 하향성 조절 경로(descending pathway)를 통해 엔도르핀(endorphin)과 같은 내인성 마약성 진통제를 분비하게 된다. 마약성 진통제라는 것은 마약성 진통제 수용체(receptor)에 작용하는 물질을 통틀어서 일컫는 말로 마약성 진통제는 세 가지의 수용체가 존재하며 조직이나 환자의 전신 상태에 따라서 각각의 수용체에 대한 친화성이 달라진다. 이와는 달리 항우울제는 중추신경계의 시냅스에 작용하여 통증을 조절하는 상향성 경로를 조절하는 것이 주된 기전으로 만성통증과 신경병성 통증에 효과적이며 이는 마약성 진통제 계열과 효과가 유사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종설에서는 이러한 마약성 진통제와 항우울제의 효과적인 사용 방법, 사용 시 유의점 및 부작용 등에 대해 다루고자 한다.

Prostaglandin D2 contributes to cisplatin-induced neuropathic pain in rats via DP2 receptor in the spinal cord

  • Li, Yaqun;Kim, Woong Mo;Kim, Seung Hoon;You, Hyun Eung;Kang, Dong Ho;Lee, Hyung Gon;Choi, Jeong Il;Yoon, Myung Ha
    • The Korean Journal of Pain
    • /
    • 제34권1호
    • /
    • pp.27-34
    • /
    • 2021
  • Background: Chemotherapy-induced peripheral neuropathy (CIPN) is a major reason for stopping or changing anticancer therapy. Among the proposed pathomechanisms underlying CIPN, proinflammatory processes have attracted increasing attention. Here we assessed the role of prostaglandin D2 (PGD2) signaling in cisplatin-induced neuropathic pain. Methods: CIPN was induced by intraperitoneal administration of cisplatin 2 mg/kg for 4 consecutive days using adult male Sprague-Dawley rats. PGD2 receptor DP1 and/or DP2 antagonists were administered intrathecally and the paw withdrawal thresholds were measured using von Frey filaments. Spinal expression of DP1, DP2, hematopoietic PGD synthase (H-PGDS), and lipocalin PGD synthase (L-PGDS) proteins were analyzed by western blotting. Results: The DP1 and DP2 antagonist AMG 853 and the selective DP2 antagonist CAY10471, but not the DP1 antagonist MK0524, significantly increased the paw withdrawal threshold compared to vehicle controls (P = 0.004 and P < 0.001, respectively). Western blotting analyses revealed comparable protein expression levels in DP1 and DP2 in the spinal cord. In the CIPN group the protein expression level of L-PGDS, but not of H-PGDS, was significantly increased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P < 0.001). Conclusions: The findings presented here indicate that enhanced PGD2 signaling, via upregulation of L-PGDS in the spinal cord, contributes to mechanical allodynia via DP2 receptors in a cisplatin-induced neuropathic pain model in rats, and that a blockade of DP2 receptor activation may present a novel therapeutic target for managing CIPN.

만성 폐쇄성 폐질환 환자들의 다발성 말초신경병변에 대한 연구 (The Polyneuropathy in Patients with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 백종철;명재일;강헌석;김용록;염형렬;류형산;이승;김완;노진이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44권4호
    • /
    • pp.806-814
    • /
    • 1997
  • 연구배경 : 만성 폐쇄성 폐질환 환자에서의 다발성 말초신경병변은 상지보다는 하지, 운동 신경 보다는 감각 신경을 주로 침범하며, 병리학적으로 주로 수초탈락을 보인다는 것은 많은 연구에서 일치하는 소견을 보이나, 그 발생 빈도는 보고자마다 서로 다른 결과를 보고하였으며, 정확한 원인인자에 대해서는 확실하게 알려져 있지 않다. 저자들은 만성 폐쇄성 폐질환 환자에서 임상신경학적 검사와 전기 신경학적 검사를 시행하여 다발성 말초신경병변의 발생빈도와 침범부위 및 원인 인자를 찾고자 하였다. 방 법 : 만성 폐쇄성 폐질환의 여러 증상을 보이면서 폐기능 검사상 FEV1과 FEV1/FVC이 70% 이하이고 provocation test 상 가역반응을 보이지 않으며 어떠한 대사성 질환도 지니지 않으며, 신경에 독성을 야기하는 약물 복용의 과거력이 없는 44명을 대상으로 하여 임상 소견으로 팔 다리 저림, 신체검사상 심부건 반사감소, 진동 및 위치감각 저하, 내적근 위축을 조사하였고, 전기 신경학적 검사로서 운동신경과 감각신경의 전도검사 및 침근전도를 시행하여 다발성 말초신경병변을 진단하였다. 각 환자는 연령, 흡연력, 동맥혈 개스 분석, 폐기능검사 소견을 조사하였다. 결 과 : 44명의 대상 환자 중 22명이 전기 신경학적 검사상 진단되어 50%의 발생빈도를 보였으며, 임상 신경학적 검사상 20%인 9명이 양성을 보였다. 전기 신경학적 검사상 양성을 보인 22명 중 임상 신경학적 검사상 양성을 보인 군은 9명이었으며, 13명은 음성을 보여 무증상의 잠재성 다발성 말초신경병변이 많았다. 전기 신경학적 검사상 상지보다는 하지, 운동신경보다 감각신경 이상이 많았으며, 신경 손상 변성이 수초탈락보다 많았다. 유발 인자에 대한 검사로서 연령, 흡연력, 동맥혈 개스 분석, 폐기능 검사 의미 있는 인자는 찾을 수 없었다. 결 론 : 만성 폐쇄성 폐질환 환자에서 다발성 말초신경병변이 비교적 높은 발생빈도를 보여, 이에 대한 조기 발견에 관심을 가져야 하며, 향후 대단위 검사로서 보다 정확한 유병율과 함께 원인과 조직 병리학적인 조사가 더 이루어져야 되리라 여겨진다.

  • PDF

컬러광을 활용한 발반사요법이 인체 생리적 반응 변화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Study on Effect of Varience of Physiological Responses in Color Foot Reflexology Using Color Light)

  • 진혜련;유미;박경준;김남균;정성환;김동욱
    • 감성과학
    • /
    • 제13권1호
    • /
    • pp.187-196
    • /
    • 2010
  • 최근 늘어나고 있는 스트레스로 인한 피로와 심리적 장애로 인해 현대인들은 고통 받고 있다. 다수의 사람들이 고통을 완화시키기 위해 약물치료에 의존하고 있는 추세이며 대체의학이나 대체요법으로 치료하는 사람들도 많이 있다. 그러나 약물치료는 약물 복용 후 더 많은 스트레스를 겪는 등 여러 가지 부작용을 가지고 있다. 이에 비해 대체요법의 테라피분야, 마사지, 발반사요법 등은 비 약물치료로써 인체에 부담이 덜하며 편안한 심신을 유지하며 치료받을 수 있는 부분이다. 이에 본 저자는 컬러테라피요법과 발반사요법의 장점을 종합하여 고통이 없이 간단한 방법으로 치료효과를 볼 수 있는 컬러 발반사요법(color foot reflexology)을 전 연구에서 공동개발한 바 있다. 이를 본 논문에서는 자극시 효과에 플라시보 효과를 대조군으로 비교하여 인체생리신호측정반응을 평가하여 발 컬러 반사요법이 인체생리반응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정량적으로 연구하였다. 최적화된 실험환경과 객관화된 시스템에서 건강한 성인군을 대상으로 실험하였다. 그 결과 자극을 주었을 때는 HRV에서 부교감신경의 증가세가 나타났으며 혈압, 맥박, 체온 말초혈류량이 활발하게 작용하는 변화를 보였다. 그러나 플라시보에서는 거의 변화가 없거나 뷸규칙적인 결과가 나타났다. 이결과는 컬러 발반사요법이 자율신경계와 인체생리적반응에 긍정적인 영향에 관계됨을 알 수 있으며 이는 개발 기기의 유효성을 증명하는데 좋은 자료로써 충분한 근거이다. 그리고 이의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향 후 발과 관련하여 불규칙적인 생리현상에 의한 질병이나 질환에 관하여 특정군을 대상으로 실험 연구하여 객관적인 실험검증을 할 계획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