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erilla seeds oil

검색결과 40건 처리시간 0.024초

들깨 및 들기름의 자외선 조사 중 지방질 산화와 산화방지제의 변화 (Oxidative Stability and Antioxidant Changes in Perilla Seeds and Perilla Oil Affected by UV Irradiation)

  • 왕선영;최은옥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4권1호
    • /
    • pp.8-13
    • /
    • 2012
  • 자외선 조사는 들깨와 들기름에서 지방질 산화를 유발하였으며 들기름에 비해 들깨의 산화안정성이, 볶은 들깨에 비해 생 들깨의 유지 산화안정성이 우수하였다. 자외선 조사 중 들깨와 들기름에 존재하는 토코페롤과 폴리페놀 화합물은 분해되었으며 분해 속도는 들기름보다 들깨에서, 볶은 들깨보다 생 들깨에서 높았다. 또한 자외선 조사 중 들깨에 비해 들기름이 산화방지제 농도에 더욱 민감하게 영향을 받았으며, 토코페롤에 비해 폴리페놀 화합물이 들깨 및 들기름의 산화방지에 높은 기여도를 보였다.

들깨 품질평가 현황과 전망 (Current Status and Prospects of Quality Evaluation in Perilla)

  • 이봉호;류수노;곽태순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47권
    • /
    • pp.150-162
    • /
    • 2002
  • 1. 들깨는 용도면에서 볼 때 종실은 식용으로, 기름은 식용과 공업용, 깻잎은 채소로 또 깻잎의 정유성분은 향료로 이용될 수 있는 다용도 작물이다. 2. 종실의 단백질 함량은 18-28% 정도이고 단백질의 아미노산조성에 있어 글루타메이트(glutamate)함량은 계란보다 월등히 많다. 3. 종실의 기름 함량은 35~54%로서 기름중에는 리놀렌산(linolenic acid)이 60% 이상 함유되어 있으므로 생리적 기능성 식품으로 우수한 특성을 갖고 있으며 필수지방산의 공급원으로서도 중요하다. 4. 기름의 특성상 들기름은 고도의 불포화 지방산인 리놀렌산이 주성분이기 때문에 들기름을 짜서 상온에서 보관하게 되면 산패(oxidation)되기 쉬우므로 장기간 저장 이용하기 어렵다. 5. 깻잎은 비타민 C와 베타카로틴($\beta$-carotene) 함량이 많고 다른 미량성분도 풍부하게 함유되어 있으므로 들깨잎은 생식용 채소로서의 이용가치가 높다. 6. 깻잎의 정유(essential oil) 성분은 페릴라알데하이드(perilla aldehyde)가 주성분이며 이는 식품이나 식품첨가제로 쓰일 때 광범위한 항균작용(antimicrobial activity)을 나타낸다. 7 들깨나 자소잎의 붉은 색소중에는 안토시아닌(anthocynins)이 다량 함유되어 있으며 이는 식품색소로 널리 쓰인다.

자외선 흡수특성을 이용한 참기름의 이종기름 혼입판별에 관하여 (Determination of Sesame oil Adulterated with other Vegetable oils by Spectrophotometric Method)

  • 이영근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8권3호
    • /
    • pp.151-155
    • /
    • 1993
  • 참기름에 이종의 식용유를 혼합하였을 때 이를 판별할 수 있는 방법을 연구하기 위하여, 순수한 참기름을 비롯한 일반적인 식용유 5종의 UV흡수양상을 조사하여 각 식용유의 UV흡수특성을 이용하여 순수한 참기름과 혼합 기름을 구별할 수 있는 근거를 마련하였다. 순수한 참기름의 spectrum은 215, 230 및 290 nm에서 흡수피크를 형성한 반면, 옥수수유, 들기름 및 대두유는 모두 215, 230 및 280 nm에서, 그리고 미강유는 215, 290 및 320 nm에서 흡수피크를 형성하였다. 참기름의 290 nm에서의 흡수피크는 참기름 제조과정인 참깨의 볶는 온도와 시간이 증가할수록 그 흡광도가 증가하는 경향이 있었으며, 일반적인 조건으로 추정되는 $200^{\circ}C$, 60분간 볶은 후 제조한 참기름은 대략 0.7 정도의 흡광도를 나타내었다. 참기름에 미강유를 혼합한 기름에서는 320 nm에서 미강유의 존재를 확인할 수 있는 흡수피크가 나타나고, 참기름에 옥수수유, 들기름 또는 대두유를 각각 혼합한 기름들은 290 nm에서의 흡광도가 순수한 참기름의 흡광도에 비하여 적었으며, 이종기름의 혼합율이 높을수록 비례적인 감소를 나타내었다.

  • PDF

Characterization of Lipophilic Nutraceutical Compounds in Seeds and Leaves of Perilla frutescens

  • Um, Seungduk;Bhandari, Shiva Ram;Kim, Nam-Hoon;Yang, Tae-Jin;Lee, Ju Kyoung;Lee, Young-Sang
    • 원예과학기술지
    • /
    • 제31권2호
    • /
    • pp.231-238
    • /
    • 2013
  • Perilla frutescens, which comprises var. frutescens and var. crispa, has been cultivated traditionally in Asian countries as an edible oil, leaf vegetable, and medicinal crop. To evaluate the lipophilic phytonutrient properties of P. frutescens, we selected 54 Perilla accessions [19 landraces of var. frutescens (FL), 22 weedy type var. frutescens (FW), 9 weedy type var. crispa (CW), 2 cultivars of var. frutescens widely cultivated for seed oil (FCS), and 2 cultivars of var. frutescens cultivated as a leaf vegetable (FCL)] and analyzed their seeds and leaves for vitamin E, squalene, and phytosterols. Among the four vitamin E isomers analyzed, ${\gamma}$-tocopherol was the major form of vitamin E in seeds, whereas ${\alpha}$-tocopherol was the major form in leaves of all types of P. frutescens. The highest total vitamin E content in seeds was present in FL ($170.0mg{\cdot}kg^{-1}$), whereas that in leaves was highest in FCL ($358.1mg{\cdot}kg^{-1}$). The highest levels of squalene in seeds and leaves were in FL ($65.5mg{\cdot}kg^{-1}$) and CW ($719.3mg{\cdot}kg^{-1}$), respectively. Among the three phytosterols, ${\beta}$-sitosterol occurred in the highest amount in both leaves and seeds of all of the crop types. Phytonutrient contents were comparatively higher in leaves than in seeds of all crop types. All of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consumption of leaves and seeds of Perilla crops could be beneficial to human health, as Perilla possesses considerable amounts of various lipophilic compounds.

한국산(韓國産) 식물식용유지(植物食用油脂)의 성분(成分)에 관(關)한 연구(硏究) -제(第)4보(報) : 참깨와 들깨종자중(種子中)의 Sesamol의 정량(定量)- (Studies on the Constituents of Korean Edible Oils and Fats -Part 4. Determination of Sesamol in Sesame and Perilla Seeds-)

  • 황성자;고영수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13권4호
    • /
    • pp.177-186
    • /
    • 1980
  • Experiments were carried out in order to compare the sesamol contents in the methanol extracts and unsaponifiable matters from raw and baked seeds of Korean sesame and perilla by thinchrography. The oil and sesamol contents of sesame seeds were higher than those of perilla seeds. The contents of sesamol in raw and baked sesame seeds were 0.22 and 0.096% respectively in methanol extracts and 0.41 and 0.29% respectively in unsaponifiable matters. The sesame contents in raw and baked perilla seeds were 0.0022 and 0.0043% respectively in methanol extracts and not detected in unsaponifiable matters.

  • PDF

탈지들깨박 Ethanol 추출물의 항산화 효과 (Studies on Antioxidant Activity of Ethanol Extracts from Defatted Perilla Flour)

  • 윤석권;김정한;김재욱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5권2호
    • /
    • pp.160-164
    • /
    • 1993
  • The antioxidant activity of ethanol extracts from defatted perilla flour was investigated by measuring peroxide value of perilla oil during storage at $45^{\circ}C$. The antioxidant activity of ethanol extracts was also compared with BHA, BHT and tocopherol. Anti-oxidant activity of ethanol extracts was also examined in corn oil and lard. The ethanol extracts contents of defatted perilla flour and the original perilla seed were 7.69 and 4.56% respectively. The antioxidant activity of ethanol extracts was superior to that of 0.02% BHT, BHA and tocopherol in the perilla oil substrate, merely in concentration of one-twentieth as much as that contained in original perilla oil seeds. The fractions of non-polar solvent (hexane and chloroform) obtained from silicic acid column chromatography are less effective than that of polar solvent as an antioxidant. Antioxidant activity of partially purified ethanol fraction is slightly inferior to that of original crude ethanol extracts. Ethanol extracts were also effective in corn oil and lard almost same as in perilla oil. The total phenolic compound contents of crude ethanol extracts and partially purified ethanol fraction were 9.3, 6.4%, respectively.

  • PDF

들깨의 발아가 들깨유의 산화 및 토코페롤 안정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Seed Germination on Oil Oxidation and Tocopherol Stability of Perilla Oil)

  • 황현숙;최은옥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3권3호
    • /
    • pp.255-262
    • /
    • 2011
  • 본 연구에서는 비발아들깨와 12, 36, 48시간 발아시킨 들깨로 부터 유지를 추출한 후 $60^{\circ}C$의 빛이 차단된 상태 또는 빛의 존재 하에 4일 동안 저장하면서 가속조건에서의 유지 산화 및 토코페롤 안정성을 평가하였다. 들깨유의 과산화물값과 공액이중산 값은 저장기간이 증가함에 따라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며, 비발아 들깨유에 비해 발아들깨유에서 낮은 경향을 보였다. 또한 빛이 차단된 조건에 비해 빛 존재 하에서 들깨유의 산화와 토코페롤 분해가 더 많이, 더 빨리 진행되었다. 들깨유 중 12시간 발아시킨 들깨로부터 추출한 들깨유는 유의하게 낮은 공액이중산값과 토코페롤의 낮은 분해속도 등에 기인하여 가장 높은 자동산화, 광산화 안정성을 보여주었다.

Estimation of Oil Yield of Perilla by Seed Characteristics and Crude Fat Content

  • Oh, Eunyoung;Lee, Myoung Hee;Kim, Jung In;Kim, Sungup;Pae, Suk-Bok;Ha, Tae Joung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63권2호
    • /
    • pp.158-163
    • /
    • 2018
  • Perilla (Perilla frutescens var.frutescens) is an annual plant of the Lamiaceae family, mainly grown for obtaining oil by press extraction after roasting the seeds. Oil yield is one of its important traits, but evaluating this yield is time-consuming, requires many seeds, and is hard to adjust to pedigrees in a breeding field.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method for selecting high-oil-yield lines in a breeding population without oil extraction. Twenty-three perilla cultivars were used for evaluating the oil yield and seed traits such as seed hardness, seed coat thickness, seed coat proportion and crude fat. After evaluation of the seed traits of 23 perilla cultivars, the ranges of oil yields, seed hardness, seed coat thickness, seed coat proportion, 100-seed weight, and crude fat were 24.68-38.75%, 157-1166 gf, $24-399{\mu}m$, 15.4-41.5%, 2.79-6.69 g, and 33.0-47.8%, respectively. In an analysis of correlation coefficients, the oil yield negatively correlated with seed length, seed width, the proportion of seed coat, seed hardness, and 1000-seed weight, but positively correlated with crude fat content. It was observed that as the seed coat proportion increased, the seed coat thickness, hardness, and 1000-seed weight also increased. Multiple linear regression (MLR) was employed to find major variables affecting the oil yield. Among the variables, traits crude fat content and seed coat proportion were assumed to be indirect parameters for estimating the potential oil yield, with respect to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the observed oil yield ($R^2=0.791$). Using these two parameters, an equation was derived to predict the oil yield.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 that various seed traits in 23 perilla cultivars positively or negatively correlated with the oil yield. In particular, crude fat and the seed coat proportion can be used for predicting the oil yield with the newly developed equation, and this approach will improve the efficiency of selecting prominent lines for the oil yield.

들깨유의 산화에 대한 들깨 발아 싹 추출물의 억제효과 (Inhibitory Effect of Perilla Sprouts Extracts on Oxidation of Perilla Oil)

  • 김석중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29권2호
    • /
    • pp.330-338
    • /
    • 2012
  • 들깨 종자를 10일 간 발아시키면서 얻어지는 싹에 대하여 일반성분 및 항산화력의 변화를 분석하였고, 들깨유 산화에 대한 싹 추출물의 억제효과를 조사하였다. 종자의 수분 함량(2.9%)은 발아 10일째 싹에서 9.2%로 증가하였으나 조회분 함량은 유의적인 변화가 없었다. 종자에서 46.8%와 20.7%이었던 조지방과 조단백질 함량은 발아 10일째 싹에서 각각 18.2%와 18.3%로 감소하였지만, 환원당과 조섬유 함량은 2.2% 및 14.8%에서 각각 12.8%와 22.4%로 증가하였다. 깻잎과 비교하면 10일째 싹은 조지방, 탄수화물, 환원당, 조섬유 함량이 더 높았고 수분, 조회분 및 조단백질 함량은 더 낮았다. 발아동안 항산화력은 증가하여 8일째에 최대치에 도달하였는데, DPPH와 ABTS 라디칼 소거능에 기반한 Trolox 당량 항산화력(TEAC)은 각각 133.1과 136.8 Trolox eq. mmol/kg이었으며, 3가 철이온 환원력(FRAP)는 399.3 Fe(II) eq. mmol/kg이었다. 폴리페놀 함량(19.2 g/kg)도 이 단계에서 가장 높았다. 한편, 깻잎은 발아 8일째의 싹과 유사한 TEAC를 보였으나 FRAP은 더 높았다. 발아 8일째 싹의 메탄올 추출물을 들깨유에 첨가 시 농도 의존적으로 산화가 억제되었는데, 대조 들깨유에서 1.67 hr이었던 산화유도기간이 2.5%(w/w) 추출물 첨가 들깨유에서는 4.62 hr로 나타나 들깨유의 산화 안정성이 약 2.8배 증가하였다. 이러한 산화유도기간은는 동일농도의 BHT 첨가구와 비교 시 약 38% 수준에 해당하였다.

온도와 압력이 들깨종자의 압착착유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Temperature and Pressure on the Oil Expression of Perilla Seed)

  • 민용규;정헌상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5권1호
    • /
    • pp.28-32
    • /
    • 1993
  • 들깨종자의 압착착유에 미치는 온도와 압력의 영향을 살펴보기 위해 생들깨와 볶은들깨의 기름의 추출율 및 압착케이크의 부피변형율을 각각의 온도, 압력 및 압착시간에서 관찰하였다. 본 실험을 위해 들깨종자의 수분함량은 2.5%로 조절하였고 온도는 30, 40, 50 및 $60^{\circ}C$가 사용되었고 압력은 10, 30, 50 및 70 MPa을 적용하였으며 압착시간은 5, 7, 9 및 11분을 적용하였다. 온도, 압력 그리고 압착시간이 증가할수록 기름의 추출율 및 압착케이크의 부피변형율은 증가를 하였다. 생들깨와 볶은들깨의 최대 추출율은 $60^{\circ}C$, 70 MPa, 11분에서 각각 85.59% 및 85.30%이었다. 추출된 기름의 점도는 지수함수적인 온도의존성을 보여주었으며, 점도가 낮을수록 즉, 온도가 높을수록 기름의 추출율은 증가하였다. 압착요인과 기름의 추출율 및 압착케이크의 부피변형율과의 상관관계 분석에서 압착요인의 효과는 압력, 온도, 온도${\times}$압력 그리고 압착시간 순으로 감소하였다. 온도(T), 압력(P) 그리고 압착시간(D)과 기름의 추출율(Y)과의 관계는 생들깨는 $Y=7.95+36.85P+1.12T^2-0.55TP-5.08P^2(r^2=0.97\;p<0.01)$였으며, 볶은들깨는 $Y=4.50T+39.23P+0.83T^2-1.71P-5.07P^2(r^2=0.99,\;p<0.01)$이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