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erception on school library

검색결과 67건 처리시간 0.031초

공공도서관에서의 문화다양성교육 프로그램과 인식변화 연구 (A Study on the Change of Perception and Culture Diversity Education Program in Public Library)

  • 정은지;노영희;강정아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27권3호
    • /
    • pp.201-233
    • /
    • 2016
  • 본 연구는 초등학교 3~6학년 다문화가정 어린이와 일반가정 어린이를 대상으로 문화다양성교육을 제공함으로써 세계의 여러 다른 문화와 다양한 가치, 삶의 방식을 존중하고 문화다양성에 대한 인식을 개선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공공도서관에서의 문화다양성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적용하고 문화다양성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사전-사후 인식 차이, 실험집단-비교집단의 인식 차이, 도서관 서비스와 이용률 및 서비스 활성화 방법에 대해 분석하였다. 그 결과, 문화다양성교육 프로그램 인식조사를 통해 문화다양성에 대한 이해, 수용, 배려, 존중 등이 높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문헌정보학과 현장분야로서 학교도서관의 가치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Value of School Libraries in the LIS(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and the Field of Libraries in Korea)

  • 김성준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44권1호
    • /
    • pp.73-97
    • /
    • 2013
  • 이 연구는 학교도서관과 사서교사에 대한 기본적인 이해를 바탕으로 문헌정보학과 현장분야로서 학교도서관의 가치를 규명하고, 가치실현을 위한 과제를 살펴보기 위한 목적을 지니고 있다. 연구결과, 학교도서관은 국민 대다수가 경험하는 초 중 고 학생을 이용대상으로 하기 때문에 문헌정보학과 도서관에 대한 사회적 인식을 높일수 있는 중요한 수단이 되며, 문헌정보학의 지속적 연구분야로서 그리고 양질의 사서직 진출분야로서 높은 가능성을 지니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학교도서관의 가치실현을 위해서는 사서교사를 중심으로 하는 전담인력배치에 대한 도서관계의 협력과 법제화 노력이 필요하며, 전문성 높은 사서교사의 양성과 더불어 학교도서관 현장연구가 활성화 될 수 있도록 연구인력을 확대해야 한다.

A Study on the Student Perception Survey to Improve the Quality of Field Practice

  • Younghee Noh
    • International Journal of Knowledge Content Development & Technology
    • /
    • 제13권2호
    • /
    • pp.89-104
    • /
    • 2023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pose ways to improve the library field practice of Department of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to improve the field environment and educational content, enhance students' field practice, increase efficiency, and increase students' satisfaction. To this end, a survey and interview survey were conducted on students who were going to do field training, and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students were well aware of what preparations should be made at school before going to field training. Second, students showed high awareness of their rights guarantees and requests for action in the event of problems at field training institutions. Third, students showed a high demand that field training should guarantee the minimum hourly wage. What is an issue in this regard is that policies that can satisfy both the burden of universities for continuous student guidance and evaluation, the burden of training institutions to conduct education while paying practical expenses, and the rights of students to be protected. This study was aimed at students, but it seems that realistic field practice policies should be presented from various angles as research on government ministries or university authorities is added.

학교도서관 이용동기가 도서관 서비스품질인식에 미치는 영향: 자기결정성 이론(self-determination theory) 기반 연구 (The Influence of School Library Use Motivation on the Library Service Quality Perception: A Study Based on Self-Determination Theory)

  • 이성인;박지홍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37권1호
    • /
    • pp.51-78
    • /
    • 2020
  • 최근 자기주도적 학습, 평생교육이 강조되면서 교육과정에서 학교도서관의 중요성이 부각됨에 따라 학교도서관의 구조적, 제도적, 운영적 관점에서의 연구들이 주로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학교도서관이 자율성 기반의 자기주도적 교육 운영에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한다는 점을 고려하면 학교도서관 이용자의 자율적 내적동기와 같은 미시적인 주제에 대한 고찰이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는 자기결정성 이론을 기반으로 학교도서관 이용 동기에는 어떠한 유형이 더 중요한지, 학교도서관 이용 동기가 서비스 품질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지에 대해 고찰하였다. 또한 학교도서관 이용 동기와 서비스 품질 인식이 도서관 이용자의 학년에 따라 어떻게 달라지는가에 대해서도 알아보았다.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통한 예비 연구를 기반으로 서울에 소재한 4개의 고등학교와 2개의 중학교 학생 588명을 대상으로 학교도서관 이용 동기가 도서관 서비스 품질 인식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서비스 품질, 그리고 서비스 품질 요소 중 서비스 감성, 정보제어, 도서관 장소를 종속 변수로 각각 설정하였을 때, 네 가지 경우 모두 내재적 동기요인이 외재적 동기요인보다 더 많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중학생과 고등학생 집단을 각각 별도의 대상으로 설정하였을 때에도 두 집단 모두 내재적 동기가 높을수록 서비스 품질을 더 높게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자기결정성 이론을 학교도서관 서비스에 적용하였다는 점, 이론을 토대로 구분한 동기 유형의 영향력을 측정하였다는 점, 그리고 학교도서관 서비스 향상을 위해 미시적 요인에 초점을 맞추었다는 점에서 의의를 가진다.

초등학교도서관의 자료 선정에서 자기 검열에 대한 영향 요인 연구 (A Study on Factors Influencing Self-Censorship in Selection in Elementary School Libraries)

  • 박혜선;김기영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33권3호
    • /
    • pp.239-262
    • /
    • 2016
  • 본 연구는 초등학교도서관의 자료 선정 과정 중 나타나는 사서(교사)의 자기 검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확인하여 자기 검열 행위를 줄일 수 있는 구조적 방안을 모색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연구를 위하여 국내외 문헌 연구를 통해 자기 검열의 개념을 살펴보고 심층 면담을 통해 설문지를 개발하여 설문조사를 시행 후 통계적 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장서 개발 정책과 학교도서관운영위원회, 도서관 장서 관련 민원 요소에서 집단 간 유의한 자기 검열 차이를 발견하였고, 이용자 및 도서관 장서에 대한 사서(교사)의 인식에서 자기 검열 영향 요인을 확인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학교도서관운영위원회의 심의 기능 강화, 이용자 항의 대응 지침이 포함된 장서 개발 정책 마련, 학교도서관 소장 자료의 폐기 절차 간소화 등을 제안하였다.

언어네트워크 분석을 통한 사서교사 역할 및 자질에 대한 학생과 교사의 인식 연구 (Students' and Teachers' Perception on the Roles and Qualifications of Teacher Librarians based on the Semantic Network Analysis)

  • 이연옥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51권3호
    • /
    • pp.81-102
    • /
    • 2020
  • 본 연구는 언어네트워크 분석방법을 활용하여 사서교사의 역할과 자질에 대한 학교구성원의 인식을 고찰하였다. 이를 위해 중등학교의 학생과 교사 대상의 설문조사를 통해 데이터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데이터를 사서교사의 역할, 자질, 건강 및 용모, 도서관환경에 대한 평가라는 4개의 프레임과 20개의 하위범주를 토대로 분류한 뒤 하위범주 간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사서교사의 역할에 대한 학교구성원의 인식의 중심에 존재하는 핵심적 개념은 학생의 경우 '도서관운영'이었으며, 교사의 경우는 '독서교육'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정보활용교육'은 학생과 교사의 인식을 형성하는 데 영향력이 낮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셋째, '수업 지원', '도서관활용수업 및 협력수업'과 같은 사서교사의 교수협력자로서의 역할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은 높지 않은 데 비해 교사들은 이와 관련한 역할을 비중있게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자료추천과 안내 활동을 하위개념으로 구성하는 '정보봉사'는 학생과 교사의 인식에 중심적 기능을 하고 있으며, 사서교사의 역할에 대한 인식을 형성하는 데도 영향력이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마지막으로, 사서교사의 자질에 대한 학생과 교사의 인식에서는 '전문성 및 전문지식'이 중심적인 기능을 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 같은 결과는 사서교사의 역할 설정, 학생 및 교사에 대한 대응전략 수립과 인식개선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학교도서관 활용수업에 대한 교과교사의 인식 연구 (A Study on the Recognition of Teachers about School Library-Assisted Instruction)

  • 노동조;신화정
    • 정보관리연구
    • /
    • 제43권1호
    • /
    • pp.89-108
    • /
    • 2012
  • 학생의 교과학습능력 및 문제해결능력을 향상시키고 학습태도를 변화시키는 등 자기주도적 학습능력을 신장하고 실현하기 위해선 학교도서관 활용수업에 대한 교과교사들의 인식이 높아야 한다. 이에 본 연구는 도서관 전담인력(사서교사, 사서, 일반교사)에 따라 일선 교과교사들이 느끼는 학교도서관 활용수업(집단형태별, 수업모형별, 협력수업모형별)에 대한 필요성과 효과성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지를 밝혀서 그 결과를 교육현장에 발전적으로 적용하여 학교도서관 활용수업을 활성화하고자 한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경기도 10개 지역의 30개 고등학교의 교과교사 278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독서공간으로서 학교도서관 공간특성 요소에 대한 중학생 이용자 인식에 관한 연구 (A Study on Middle School Student Users' Perceptions of Spatial Characteristics of School Libraries as Reading Spaces)

  • 정문지;이지연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40권4호
    • /
    • pp.229-257
    • /
    • 2023
  • 본 연구는 독서공간으로서의 학교도서관에 주목하고 독서를 위한 학교도서관 이용 시 공간특성 요소에 대한 중학생 이용자의 인식을 파악하는데 목적이 있다. 선행연구와 예비 연구를 통해 공간특성 요소를 선정하고 각 공간특성 요소에 대해 학생들이 중요하게 생각하는 정도와 충족하는 정도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그리고 이용자의 인식이 이용현황 및 학교도서관 독서활동 경험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 살펴보았으며, 학교도서관 이용자 만족도와 지속이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지 파악하였다. 더불어 공간특성 요소의 인식이 지속이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데 있어 학교도서관 이용자 만족도가 매개 역할을 하는지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중학교 4곳에 재학 중인 342명의 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진행하였다. 연구 결과, 공간특성 요소 중 소통성, 다양성, 안전성, 편의성에 대한 이용자의 인식이 이용현황에 따라 차이를 보였으며, 소통성, 쾌적성, 분위기가 이용자 만족도에, 심미성과 소통성이 지속이용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중 소통성, 쾌적성, 분위기는 학교도서관 이용자 만족도를 매개하여 지속이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는 독서를 위한 공간으로서 학교도서관을 조사함으로써 학생들의 독서 지원을 위한 방안을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의의를 찾을 수 있다.

도서관 자료의 공동보존과 활용을 위한 관종별 사서 인식조사 분석 (Analysis of the Perception Surveys on Librarians by Type of Library for the Collaborative Preservation and Utilization of Library Materials)

  • 신배재;곽승진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55권3호
    • /
    • pp.259-280
    • /
    • 2021
  • 본 연구는 도서관 자료의 공동보존과 효과적인 활용을 위한 정책수립의 근거를 제시하기 위해 관종별 사서(사서교사 포함)들을 대상으로 인식조사를 실시하고 설문결과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사서들의 공동보존자료관에 대한 종합적 인지도는 관종별 특성과 관계없이 높게 나타났으며 광역단위 공동보존 운영주체로는 지역대표도서관이 관종을 통합하여 운영하는 것이 적합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고등학교 학생의 문헌정보학과에 대한 인식조사 연구 (A Study on High School Students' Perceptions of the Department of Library & Information Science)

  • 노영희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49권4호
    • /
    • pp.5-30
    • /
    • 2015
  • 본 연구는 급변하는 대학환경에 대응하기 위한 전략으로 문헌정보학과에 대한 인지도 및 선호도를 조사할 뿐만 아니라 문헌정보학과의 진로에 대한 인식을 높이고자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고등학교 학생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수행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우리나라 고등학생들의 사서 및 문헌정보학과에 대한 인지도는 보통 이하로 매우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문헌정보학과의 진로에 대한 인지도와 선호도를 조사하였으며, 문헌정보학과를 졸업한 후 진출할 수 있는 직장으로 생각되는 기관에 대해 공공도서관, 국가도서관, 대학도서관, 학교도서관 순으로 응답하였으나, 취업하고 싶은 직장은 방송국 자료실, 국가도서관, 학교도서관, 대학도서관, 공공도서관, 포털업체 순으로 나타났다. 셋째, 문헌정보학과의 진로에 대한 인지도는 문헌정보학과에 대한 선호도에 매우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문헌정보학과에 대해 들어본 적이 있는 학생들이 문헌정보학과를 선택할 확률이 높다고 예측할 수 있다. 본 연구결과는 문헌정보학과의 진로에 대한 인식을 높임으로써 문헌정보학의 경쟁력을 높이는데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