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erception of science teachers

검색결과 442건 처리시간 0.026초

컴퓨팅 사고를 반영한 교사연수 과정에서 나타난 교사의 인식 탐색 (Exploring Teachers' Perceptions of Computational Thinking Embedded in Professional Development Program)

  • 황규진;박영신
    • 한국지구과학회지
    • /
    • 제42권3호
    • /
    • pp.344-364
    • /
    • 2021
  • 이 연구는 두 명의 초등교사가 컴퓨팅 사고를 어떻게 인식하고 이를 교육과정 재구성에 어떻게 반영하고 수업을 하게 되는지를 장기간의 걸친 교사연수과정을 통해 탐색한 것이다. 컴퓨팅 사고는 과학교육에 연계하는 새로운 교육정책 방향이기에 초등부터 나타나는 교사의 인식을 조사하고자 하였다. 교사와의 9번의 교사회의를 가졌으며 이는 매회 2시간 정도의 시간이 소요되었고, 그 시기에 교수하게 될 한 단원을 각자 인식아래 재구성을 하여 11차시의 수업과정안을 개발하였다. 자료수집은 9개월간에 걸쳐서 인터뷰, 교사회의, 수업과정안에서 수행되었으며, 이 자료는 수업 전후의 교사회의를 통한 논의, 수업과정안 등을 통해 수집되었으며, 컴퓨팅 사고를 인식하면서 나타난 초등교사의 컴퓨팅 사고의 인식은 다음과 같이 나타났다. 첫 번째, 과학교육의 목적인 과학적 소양의 정의가 확장되었음을 볼 수 있다. 즉 문제인식에서부터 창의적인 문제해결자를 양성하는 것이 과학적 소양이라고 인식하였다. 두 번째, 과학적 사고가 강조된 개념형성단계와 컴퓨팅 사고가 강조된 개념활용단계로 수업차시를 구분하였다. 세 번째, 컴퓨팅 사고는 인지적 사고과정이며, ICT는 기능적 도구라고 인식하였다. 네 번째, 컴퓨팅 사고 요소는 중복되어 반복적으로 나타나며, 순차적이지 않을 수 있다는 것이다. 마지막으로 컴퓨팅 사고의 활용을 통해 STEAM 교육을 활성화할 수 있다고 인식하고 있음을 보여주었다. 이 연구를 바탕으로 컴퓨팅 사고의 실천은 STEAM 교육의 활성화를 위한 도구로 사용될 수 있고 이를 위해서는 일회성이 아닌 지속적이고 전문적인 교사연수를 통해 컴퓨팅 사고 전문역량 강화를 할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한국 역사 속 과학탐방'에 대한 교사의 인식 (Teachers' Perception about 'Science Field Trip to Korean Historical Sites')

  • 오경진;조광희;박상우;박승재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19권3호
    • /
    • pp.461-470
    • /
    • 1999
  • 본 연구는 한국 역사 속 과학탐방에 대하여 교사들이 가지고 있는 교육적 가치, 지도방식, 어려운 점에 대한 인식을 알아보는데 있다. "98 과학교육자 큰모임"에 참석한 현직 교사 및 과학교육자 97명을 대상으로 연구가 이루어졌다. 검사도구는 본 연구자들에 의해 개발되어 과학교육전문가 4인으로부터 안면 타당도를 검증받았다. 수집된 자료를 분석한 결과, 한국 역사 속 과학탐방은 교육적으로 매우 가치 있다고 응답하였다. 응답자의 다수가 한국 역사 속 과학탐방이 한국 문화를 이해하고, 탐구과정기능의 습득에 기여할 것이라고 하였다. 또한 발산적 탐구와 협동학습의 기회를 제공하며, 통합교과적이고 종합적인 사고능력을 기르는데 도움을 줄 것이라고 반응하였다. 정규 과학교과 내용과 밀접한 관련이 있고, 과학관련 진로지도 및 생활지도로 활용할 수 있다는 의견을 제시하였다. 기존 과학탐방의 지도경험에 대한 조사를 통해 볼 때, 탐방 전 활동이 거의 없었고 탐방 중에는 교사설명 중심의 활동이 이루어졌으며 탐방 후에는 과학기사나 일기 형식의 작문을 주로 하였다. 이에 비해 교사들이 생각하는 바람직한 한국 역사 속 과학탐방의 지도방식은 학생용 탐방자료나 비디오를 통한 탐방 전 활동, 간단한 안내 후 조별 탐구로 이루어진 탐방 중 활동, 탐방결과에 대하여 발표 토론하는 탐방 후 활동을 강조하였다. 한국 역사 속 과학탐방의 어려운 점으로 교사들은 교수학습자료의 부족과 거리 비용 및 교통문제, 교사의 경험부족 등을 언급하였다. 또한 한국 역사 속 과학탐방이 잘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과학탐방 교수학습 자료의 개발과 탐방활동에 대한 정규 교사 연수 과정이 필요하다고 제안하였다.

  • PDF

Exploring the Impact of a STEM Integration Teacher Professional Development Program on Secondary Science and Mathematics Teachers' Perceptions of Engineering and Their Attitude toward Engineering Integrated Teaching

  • Wang, Hui-Hui;Nam, Younkyeong
    • 한국지구과학회지
    • /
    • 제36권5호
    • /
    • pp.484-499
    • /
    • 2015
  • This study explores the impact of a STEM integration teacher professional development program focusing on teachers' perception of engineering and their attitudes toward integrating engineering into teaching. A total of sixty-eight teachers from ten schools participated in the program for five days. Data are collected from three main sources including (1) pre and post concept maps probing teachers' perceptions about the engineering discipline, (2) a pre and post survey measuring teachers' self-efficacy of teaching science/mathematics within the engineering context, and (3) engineering integrated science and (or) mathematics lesson plans and teaching reflections. This study utilizes both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research methods depending on the data we have collected. The results show that both science and math teachers thought that integrating engineering into teaching provided valuable outcomes, i.e., promoting students' learning about engineering and improving their interest in science or math through real-world problem solving exercises. Participants also felt more comfortable about integrating engineering in their teaching after the program. The results also imply that the teachers' understandings of engineering become more concrete after the program. This study also provides an overview of the challenges and advantages of teaching engineering in K-12 science and mathematics classrooms.

예비유아교사의 학업적 자기효능감과 회복 탄력성이 교직 전문성 인식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Academic Self-efficacy and Resilience on Perception of Professionalism with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 배재현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0권3호
    • /
    • pp.149-156
    • /
    • 2019
  • 본 연구는 예비유아교사를 대상으로 학업적 자기효능감과 회복 탄력성이 교직전문성 인식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봄으로써, 교직전문성을 높이기 위한 실천적 함의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예비유아교사 313명에 대한 설문조사자료를 토대로 SPSS Win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다변량분산분석과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자기조절 효능감은 학년과 보육실습유무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둘째, 통제성과 사회성, 긍정성은 학년과 보육실습유무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셋째, 교직 전문성 인식은 학년, 보육실습유무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넷째, 자기조절 효능감과 과제 난이도 선호는 교직 전문성 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자기조절 효능감과 과제 난이도 선호가 높을수록 교직 전문성 인식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긍정성과 통제성도 교직 전문성 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긍정성과 통제성이 높을수록 교직 전문성 인식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본 연구는 예비유아교사들의 교직 전문성 인식을 높이기 위한 방법으로 자기조절 효능감과 과제 난이도, 긍정성과 통제성을 높이는 것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과학교육평가(科孝敎育評價)와 목표(目標)에 관(開)한 중등고학교사(中等科學敎師)의 인식(認識) 조사(調査) 연구(硏究) (A Survey Study on the Science Education Evaluation and Objectives -attached perception and actual state of middle school science teachers in pusan-)

  • 우종옥;이경훈;손은주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5권1호
    • /
    • pp.63-79
    • /
    • 1985
  • The purpose of our survey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status on perception and actual state toward science educational evaluation and objectives of middle school science teachers in Pusan. The perception and actual state were surveyed by the questionaire which was developed by Jong-Ok Woo et. al. We developed two kinds of questionaire. One is designed to use Likert type scale and is composed of two main category(SE; Science educational evaluation, SO; Science educational objectives) which contains 21 question items, and the other has 16 question items From 313 science teacger's responses of 75 middle schools in pusan, the tendency. of total(SE+SO) and each sub category, and the contrast with their background and actual state were analized by SPSS program of KAIST. Some results of our survey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1. Total tendency of science educational evaluation(SE) and objectives(SO) of middle school science teachers in pusan shows a positive and right tendency of conception in general(m-85.8/100). 2. Tendency of SE(m-87.8/100) are slightly higher than SO(m-81.7/100). At the level of 5% significance, there are correlated but shows low correlation (r=0.12(4). 3. In each correlation toward total tendency(SE+SO), SE is highly correlated(r-0.8486) but SO is moderately correlated(r=0.6297) at the level of 0.1% significance. 4. Tendencies of 5sub category (PE, PC, PD, PO, PB) shows considerably right tendencies (m=$73.4/100{\sim}92.7/100$), there are moderately correlated foward total tendency(SE+SO) at the level of 0.1% significance (r=$0.49{\sim}0.60$). 5. At the level of 5%significance, total means are no differences which their background(Sex, Final alma mate, Major, Difference of training), but there is differences to teaching career at the level of 5% significance.

  • PDF

Factors Affecting Earth Science Problem-Solving Performances of Elementary School Pre-service Teachers: A Study on the Motions of the Moon and the Planets

  • Myeong, Jeon-Ok
    • 한국지구과학회지
    • /
    • 제23권2호
    • /
    • pp.180-187
    • /
    • 2002
  •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factors affecting earth science problem-solving performances of elementary school pre-service teachers. The participants of the study were 81 students attending an elementary school teacher education university. The instruments of the study were paper-and-pencil tests, questionnaires, and interviews. The tests mainly measured the participants' problem solving abilities in the motions of the moon and the planets. Correlation and multiple regression techniques were used for data analysis. The results demonstrated that the pre-service teachers' problem solving abilities were low. Problem-solving performances were affected by the procedural knowledge, the participants' perception of the past earth science performance, self-efficacy, and the prerequisite declarative knowledge. Contrary to our expectation, the spatial visualization ability was not found to be related to the problem-solving performances. Implications of the study are drawn, and suggestions are made for further research.

초등교사의 과학수업에 대한 기대도와 실행도에 관한 학생의 인식 (The Perceptions of the Students about Expectation and Performance on the Elementary Teachers' Science Teaching)

  • 성승민;여상인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36권3호
    • /
    • pp.246-255
    • /
    • 2017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perceptions of the students about expectation and performance on the elementary teachers' science teaching. For this study, questionnaires were made based on the advanced article, and conducted to 279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the t-test, ANOVA, and $Scheff{\grave{e}}$.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The perceptions of the students on the elementary teachers performance can not reach to those of their expectation. Ther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some of the sub-domains of expectation and performance according to personal backgrounds (gender, grade, and interest toward science class). Based on the result of this study, implications to improve teachers' professionalism about science teaching were suggested.

초임과학교사 수업 전문성 신장을 위한 협력적 멘토링 과정에서 나타나는 멘토교사의 멘토링 유형 및 유형 변화 분석 (Analysis of Mentor Teachers' Mentoring Type and Type Changes in Collaborative Mentoring Programs for Professional Development of Beginning Science Teachers' Teaching Practice)

  • 정도준;남정희
    • 대한화학회지
    • /
    • 제62권6호
    • /
    • pp.441-452
    • /
    • 2018
  • 이 연구는 교수 활동에 어려움을 겪는 초임 중등과학교사를 대상으로 실시한 협력적 멘토링 과정에서 멘토교사의 멘토링 유형이 어떻게 나타나는지 살펴보고, 멘토링이 진행됨에 따라 멘토교사의 멘토링 유형이 어떻게 변화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멘토링에서 수집된 멘토교사와 멘티교사의 일대일 멘토링 대화를 질적으로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협력적 멘토링 과정에서 멘토교사는 관찰자, 비판적 동료, 지원자, 지시자, 역할 모델, 평가자, 상담자, 동반자 등 다양한 역할을 수행하였다. 그러나 멘토교사의 멘토링이 멘티교사의 과학교수에 대한 인식 변화를 가져오지 못하는 경우에는 멘티교사의 수업에서 긍정적인 변화가 나타나지 않았다. 따라서 멘토교사는 멘토링을 실시하기 전 멘티교사와 함께 과학교수에 대한 신념, 멘토링 방법 등에 관해 구체적으로 논의하는 시간을 충분히 가져야 할 것이다. 또한 멘토교사는 멘티교사의 수업 전문성 향상을 유도하기 위해 다양한 역할이 존재하고 있음을 인식하고, 자신의 멘토링 과정을 평가하는 데에도 이를 활용할 수 있어야 할 것이다.

The Extent of Ordinary Classrooms Teachers' Knowledge and Perception of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ADHD)

  • Talafha, Abdulhameed Hasan
    • International Journal of Computer Science & Network Security
    • /
    • 제22권10호
    • /
    • pp.413-422
    • /
    • 2022
  • The present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extent to which ordinary classrooms teachers are informed are familiar with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ADHD'. The researcher adopted the descriptive approach. The sample of the study consisted of (89) male and female teachers who teach students from grade (1) to grade (6) at public primary schools in Northern Mazar Directorate of Education in Jordan. A questionnaire was employed as the primary tool for collecting the data. The findings of the current study indicated an average level of knowledge of ordinary classroom teachers about ADHD. The findings also indicated that there were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extent of ordinary classroom teachers' knowledge of ADHD due to the variables (gender, qualification, professional experience, grade level being taught).

The Extent of Ordinary Classrooms Teachers' Knowledge and Perception of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ADHD)

  • Talafha, Abdulhameed Hasan
    • International Journal of Computer Science & Network Security
    • /
    • 제22권11호
    • /
    • pp.127-136
    • /
    • 2022
  • The present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extent to which ordinary classrooms teachers are informed are familiar with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ADHD'. The researcher adopted the descriptive approach. The sample of the study consisted of (89) male and female teachers who teach students from grade (1) to grade (6) at public primary schools in Northern Mazar Directorate of Education in Jordan. A questionnaire was employed as the primary tool for collecting the data. The findings of the current study indicated an average level of knowledge of ordinary classroom teachers about ADHD. The findings also indicated that there were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extent of ordinary classroom teachers' knowledge of ADHD due to the variables (gender, qualification, professional experience, grade level being tau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