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erceiving a calling

검색결과 5건 처리시간 0.02초

보호직공무원의 소명의식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일의 의미와 경력몰입의 매개효과 (Relations between Perceiving a Calling and Job Satisfaction in Probation Officers: Testing a Mediated Effect of Work Meaning and Career Commitment)

  • 고자인;강경아
    • 한국직업건강간호학회지
    • /
    • 제24권3호
    • /
    • pp.194-203
    • /
    • 2015
  • Purpose: This study examined relations between perceiving a calling and job satisfaction in probation officers. Additionally, multiple mediator model was run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 of work meaning and career commitment in the relations of perceiving a calling and job satisfaction. Methods: Four factors (job satisfaction, perceiving a calling, work meaning, career commitment) were measured with Likert scales. Data collection was conducted from Aug. 1 to Sept. 20, 2014 using self-report questionnaires. Participants (211 probation officers) were selected from 7 probation offices and 1 Juvenile Training School in Seoul of South Korea.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WIN 21, AMOS 21, and Sobel test. Results: The study result was as followings. 1) Job satisfaction was influenced by perceiving a calling, work meaning and career commitment. 2) Results indicated that work meaning and career commitment fully mediated the relation between perceiving a calling and job satisfaction.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 that improving job satisfaction and mental health in probation officers is necessary to implement concerning work meaning and career commitment program at the organizational level.

Latent Mean Analysis of the Perceiving and Living a Calling Scales

  • Park, Yonguk L.;Lee, Hyejoo J.
    • International Journal of Advanced Culture Technology
    • /
    • 제10권1호
    • /
    • pp.97-101
    • /
    • 2022
  • The perceiving a calling scale is composed of three constructs: transcendent sermon, meaningful and prosocial aspects. Based on the multiple group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from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we confirmed the measurement invariance between Christians and non-Christians at the scale level. Furthermore, to investigate the mean difference between Christians and non-Christians, we performed latent mean analysi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three-factor structure is equivalent across Christians and non-Christians, and further confirmed metric invariance and scalar invariance. Thus, the perceived calling scale is applicable to both Christians and non-Christians without biases. We also examined mean differences between the two groups. Christians demonstrated significantly higher scores on the three factors but no difference on the living a calling. This study provided meaningful information in understanding calling, and we discussed limitations and future directions.

Exploring the Measurement Invariance of the Calling Scale with College Students and Employees

  • Park, Yonguk L.;Lee, Hyejoo J.
    • International Journal of Advanced Culture Technology
    • /
    • 제9권1호
    • /
    • pp.99-104
    • /
    • 2021
  • The most widely used instrument to assess perceiving a calling, the CVQ(Calling and Vocational Questionnaire), is composed of three constructs: transcendent sermon, purposeful work, and prosocial orientation. Recently assessing perceiving a calling has received great attention and it is critical not only for job incumbents but also college students who are in the job search stag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measurement invariance of the Korean CVQ between employees and college students. 339 job incumbents and 252 college students participated in this study, and based on the multiple group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from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we confirmed the measurement invariance between employees and college students at the scale level. Thus, the perceived calling scale is applicable to both employees and college students without biases. This study provided meaningful information in understanding calling, and we discussed limitations and future directions.

성인 직장인의 소명의식이 삶의 만족에 미치는 영향: 소명수행의식과 몰입의 매개효과와 자기효능감의 조절효과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iving a Calling and Life Satisfaction: The Mediating Effects of Living a Calling and Flow, The Moderating Effect of Self-Efficacy)

  • 김소연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8권3호
    • /
    • pp.364-373
    • /
    • 2017
  • 본 연구는 성인 직장인의 소명의식이 삶의 만족에 미치는 영향과 그 과정에서의 실천적 경험요인인 소명수행의식과 몰입의 매개효과와 자기신념과 관련된 자기효능감의 조절효과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서울 및 수도권에 거주하며 서울 소재 직장에 다니는 성인 185명을 대상으로 소명의식, 삶의 만족, 소명수행의식, 몰입과 자기효능감 척도를 사용하여 2016년 6월부터 7월까지 60일간 자료를 수집하였다. 본 연구의 가설은 다음과 같다. 첫째, 성인 직장인의 소명의식은 삶의 만족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 둘째, 소명의식과 삶의 만족 간의 관계에서 소명수행의식이 매개효과를 나타낼 것이다. 셋째, 몰입은 소명수행의식과 삶의 만족 간의 관계에서 매개효과를 나타낼 것이다. 넷째, 자기효능감은 소명수행의식과 몰입 간의 관계에서 조절효과를 나타낼 것이다. 본 연구의 가설을 검증하기 위하여 선행 연구 결과들을 바탕으로 연구모형과 경쟁모형 2개를 설정한 후, SPSS 20.0과 AMOS 20.0 통계 프로그램를 이용하여 수집된 데이터에 대한 구조방정식(SEM) 분석을 실시하였다. 검증 결과, 연구모형이 최종모형으로 선택됨으로써 본 연구의 가설은 모두 지지되었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성인 직장인의 소명수행의식과 몰입 등의 실천적 행위에 대한 중요성과 삶의 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심리적 요인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중·장년 성인의 정당한 세상에 대한 믿음과 사회계층에 따른 잠재집단의 진로발달 특성 (Career Developmental Characteristic in Latent Classes based on Belief in a Just World and Social class of Middle-aged adult)

  • 김도현;장진이
    • 한국노년학
    • /
    • 제41권4호
    • /
    • pp.567-586
    • /
    • 2021
  • 이 연구는 중·장년 성인의 정당한 세상에 대한 믿음(Belief in a Just World; BJW)과 사회계층의 조합에 따라 어떤 잠재집단이 나타나는지 탐색하고, 각 집단에서 진로전환, 소명의식, 일의 의미에서 차이가 있는지와 그리고 어떤 특징을 가지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온·오프라인 설문을 통해 이직을 경험한 중·장년층 224명을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잠재프로파일 분석 결과, BJW와 사회계층의 수준 조합에 따라 총 5개의 잠재집단이 분류되었으며, 각각 '상대적 자기만족'집단, '사회만족'집단, '상대적 박탈감'집단, '공정성 신뢰'집단, '공정성 불신'집단으로 명명하였다. 다음으로 잠재집단에 따라 진로전환, 소명의식, 일의 의미에서 차이가 있는지 살펴보기 위해 다변량 분산분석(MANOVA)을 실시하였고, 그 결과 잠재집단별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마지막으로 인구통계학적 특성과 '괜찮은 일 경험'이 잠재집단 분류에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기 위하여 다항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괜찮은 일 경험'을 할수록 BJW와 사회계층이 높은 집단에 속할 확률이 높았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중·장년층의 진로상담에서 BJW와 사회계층을 고려한 상담전략에 대해 논의 하였고, 본 연구의 의의와 제한점을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