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elvic fin

검색결과 53건 처리시간 0.026초

쉬리 Coreoleuciscus splendidus의 골격학적 연구 (A Osteology Study of Coreoleuciscus splendidus (Cypriniformes; Cyprinidae), Korea)

  • 박종성;박종영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24권4호
    • /
    • pp.253-262
    • /
    • 2012
  • 섬진강과 만경강에 서식하는 쉬리의 전골격계를 기재하고 도해하였다. 본 종은 신장된 안전골, 8개의 뒷지느러미 근담기골 수, 제1기새골의 호리병박 같은 모양, 인두치의 2가지 형태, 삽입골에 측돌기가 없고 제4늑골의 폭이 넓은 형태를 가지는 등의 특징을 가지고 있었다. 한편, 사출골의 수와 내측돌기와 외측돌기의 길이는 개체마다 변이가 있었다. 이러한 특징은 두 집단 모두에서 나타났다. 그러나 미골의 상미골에 모양이 두가지 형태를 가지고 있었는데 오직 만경강 집단에서만 확인되었다.

Osteological Development of the Larvae and Juvenile of Favonigobius gymnauchen (Pisces:Gobiidae)

  • Jin, Dong-Soo;Park, Jae-Min;Baek, Jeong-Ik;Han, Kyeong-Ho
    • 한국발생생물학회지:발생과생식
    • /
    • 제25권1호
    • /
    • pp.33-41
    • /
    • 2021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observe the development of the autonomous skeletal development of the Favonigobius gymnauchen. Total length (TL) of larvae 3 days after hatching (DAH) were mean TL of 3.34 mm, with a line-shaped parasphenoid ossification in the cranium and basioccipital ossification in the back. The 10 DAH larvae had a mean TL of 5.20 mm, with the number of caudal vertebrae increasing to 15. The urostyle and two hypural bones in the lower part also began to ossify. The 23 DAH juveniles had a mean TL of 8.47 mm. The pectoral girdle's skeleton was completed as the scapula and coracoid were ossified. The pelvic girdle also fully supported the ventral fin as its ossification was completed. Favonigobius gymnauchen and Tridentiger obscurus showed similar characteristics in terms of the anus location of hatched larvae, number of myotomes, and melanophore distribution during the morphological development of the larvae and juveniles. However, this study confirmed differences in the development of the vertebrae and urostyle bone.

남극해에서 한국 옵서버에 의해 채집된 민태과(대구목) 어류 2종의 형태 및 분자동정 (Morphological and Molecular Identification of Two Macrourid Species (Gadiformes) Collected by the Korean Observer from the Southern Ocean)

  • 서민주;김진구;정상덕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55권6호
    • /
    • pp.967-972
    • /
    • 2022
  • We investigated the molecular and morphological traits of 338 individual macrourids collected from the Southern Ocean (FAO area number, 88.1 and 88.3) between 2021 and 2022 by Korean bottom trawls. We first identified them as Macrourus caml and Macrourus whitsoni based on morphological traits, such as the number of pelvic fin rays (PF) and the rows of lower jaw teeth (LJT). However four individuals showed uncategorizable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such as PF and LJT numbers that overlapped between the two species. Subsequently, we obtained and analyzed 509 bp of the mtDNA COI sequences of 49 individuals, including the four unidentified individuals, and found only one single nucleotide polymorphism (SNP) that distinguished the two species. Finally, using our molecular identification key, we confirmed that each two individuals were misidentified as M. whitsoni and M. caml reversely. Our results suggest that the number of PF and LJT should be investigated together to accurately identify the two species.

미토콘드리아 16S rRNA 염기서열 분석에 의해 밝혀진 동갈자돔 치어의 성장에 따른 체색변이 (Ontogenetic Color Variation of Abudefduf notatus (Pomacentridae: Perciformes) Revealed by 16S rRNA Sequences Analysis)

  • 송영선;김진구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25권2호
    • /
    • pp.53-58
    • /
    • 2013
  • 2011년과 2012년 하계에 제주도 서귀포에서 줄자돔속 어류로 추정되는 치어 7개체(체장 16.1~29.1 mm)가 채집되었다. 그중 5개체(체장 20.8~29.1 mm)는 몸 중앙에 황색의 뚜렷한 가로줄무늬와 가슴지느러미 기저에 작은 검은색 반점이 1개 있고 꼬리지느러미가 노란색을 띠는 점에서 동갈자돔(Abudefduf notatus)과 유사하였다. 그러나, 상대적으로 크기가 작은 2개체(체장 16.1 mm, 17.0 mm)는 다열의 밝은 가로줄무늬가 있고 두부의 앞쪽과 배지느러미를 제외한 모든 지느러미 연조부가 투명한 점에서 앞서 5개체와 차이를 보였다. 미토콘드리아 16S rRNA 영역 578bp를 분석한 결과, 본 개체는 동갈자돔 성어와 95% bootstrap 값으로 일치하였다(genetic distance, d=0.002).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해 동갈자돔 치어 중 20.8 mm 이상 개체는 성어와 유사한 체색을 나타내었으나 그보다 작은 16.1 mm개체에서는 성어와 다른 체색을 보여 본 종은 어린 시기에 체색이 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이들이 어린 시기에 포식자로부터 자신을 방어하기 위한 생존전략으로 사료된다

한국산 매퉁이속(홍메치목, 매퉁이과) 어류의 분류학적 재검토 (Taxonomic Review of the Genus Saurida (Aulopiformes: Synodontidae) from Korea)

  • 여민유;김진구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30권4호
    • /
    • pp.205-216
    • /
    • 2018
  • 본 연구는 1994년부터 2017년까지 우리나라 주변해역에서 채집된 매퉁이속 3종(매퉁이 Saurida macrolepis, 잔비늘매퉁이 S. microlepis, 툼빌매퉁이 S. wanieso, 날매퉁이 S. elongata)의 외부형태에 기초하여 분류학적 연구를 수행하였다. 날매퉁이는 국내 표본이 확인되지 않아 일본에서 대여한 표본으로 대신 조사하였다. 툼빌매퉁이는 S. tumbil과 외측 구개골치(툼빌매퉁이는 2열, S. tumbil은 3~4열) 및 가슴지느러미 후단부의 위치(툼빌매퉁이는 등지느러미와 배지느러미 연결선에 도달, S. tumbil은 도달하지 않는다)에서 잘 구분되었다. 매퉁이속 4종은 계수형질에서 측선비늘수가 잔비늘매퉁이 63~70개, 날매퉁이 61~62개, 툼빌매퉁이 54~58개, 매퉁이 48~50개 순으로 많았고, 척추골수 역시 잔비늘매퉁이 62~64개, 날매퉁이 57~59개, 툼빌매퉁이 51~53개, 매퉁이 47~49개 순으로 많아 잘 구분되었다. 본 연구는 S. undosquamis 및 S. tumbil이 한국해역에 없고, S. elongata는 한국해역에 드물게 존재하거나 없을 가능성을 시사한다. 이 논문에서는 한국산 S. tumbil을 S. wanieso로 처리한 Yamada et al. (1995)을 따라 S. wanieso의 한국명을 "툼빌매퉁이"로 사용한다.

Morphological Analysis of Blind-Side Hypermelanosis of the Starry Flounder, Platichthys stellatus during Early Development

  • Kang, Duk-Young;Byun, Soon-Gyu;Myeong, Jeong-In;Kim, Hyo-Chan;Min, Byoung-Hwa
    • 한국발생생물학회지:발생과생식
    • /
    • 제18권2호
    • /
    • pp.79-87
    • /
    • 2014
  • In Pleuronectiformes, blind-side malpigmentation (hypermelanosis) is common in cultured flatfishes, and is economically important. To understand the mechanism of blind-side hypermelanosis in flatfishes, we examined when the malpigmentation initially occurred, and studied how the symptoms proceeded during early development of the starry flounder, Platichthys stellatus. To assess quantitative pattern changes of blind-side skin, we observed morphological development of the whole body from 22 (total length [TL] $10.0{\pm}0.2$ mm and body weight [BW] $8.8{\pm}0.57$ mg) to 110 days (TL $23.4{\pm}0.7$ mm, BW $193.6{\pm}23.3$ mg) after hatching (DAH), and also examined the malpigmented area rate of blind-side skin and the malpigmented fish ratios. The experimental animals were reared in fiberglass-reinforced plastic (FRP) tanks in water at a temperature of $18.9{\pm}1.9^{\circ}C$ and salinity of $32.6{\pm}0.6$ psu and were fed with rotifer and Artemia nauplii from 22 to 48 DAH, and with A. nauplii and commercial feed from 49 to 110 DAH. As results, the first staining patch seen by the naked eye was observed around the area between the anus and pelvic fin or caudal edge of the trunk at 80 DAH (TL $20.6{\pm}0.5$ mm, BW $112.5{\pm}8.8$ mg). The pigmented area and the pigmented fish ratios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from 80 to 110 DAH. These results indicated that malpigmentation on the blind side of starry flounder was initially observed at about 2 cm in length and 100 mg in weight, and the pigmented domain on the blind-side skin was continually broadened by the differentiation of pigmented cells (melanophores and xanthophores) with growth.

작은대칭이, Anodonta arcaeformis flavotincta의 유생 발생 중 숙주어류내에서 글로키디움 유생의 피낭 형성과정에 관한 연구 (Studies on the Glochidial Encystment in Host Fish during the development of Anodonta arcaeformis flavotincta)

  • 박갑만
    • 한국발생생물학회지:발생과생식
    • /
    • 제2권1호
    • /
    • pp.81-87
    • /
    • 1998
  • 한국산 작은대칭이 (Anodonta arcaeformis flavotincta)의 유생발생 중 유생(glochidium)을 숙주어류인 붕어(carassius auratus)에 감염시켜 유생의 피낭형성과정(부착부위, 부착후 탈락가지의 시기)을 알아보기 위해, 주사전자현미경을 이용하여 관찰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유생들은 30분내에 숙주어류의 니트러미, 구강 그리고 아가미에 부착되었다. 이 연구에서 유생이 부착된 숙주어류의 지느러미를 시간별로 관찰하였다. 유생의 부착률은 숙주어류의 가슴지느러미,꼬리지느러미, 배지느러미에 각각 30%, 22%, 17%였다. 피낭형성과정은 천천히 진행되었다. 1차 피낭형성은 24시간에서 27시간째에 이루어졌고, 그리고 5일 내지 6일째 유생은 숙주조직의 상피세포로 완전히 덮였다. 유패의 탈락과정은 숙주에 감염시킨후 8일째에 관찰되었다. 유생의 대부분은 15일 이내에 숙주어류의 피낭으로부터 탈락되었다. 유생이 숙주에 부착되기 전과 숙주어류의 피낭으로부터 탈락된 유패의 크기는 변화가 없었다.

  • PDF

가시납지리 (Acanthorhodeus gracilis)의 골격학적 연구(硏究) (Study on Osteological Characteristics of Acanthorhodeus gracilis)

  • 김익수;김인자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10권2호
    • /
    • pp.231-240
    • /
    • 1998
  • 납자루아과(亞科)에 속하는 가시납지리(Acanthorhodeus gracilis)의 두골(頭骨), 척주(脊柱), 지느러미 골격을 조사하였다. 두개부(頭蓋部)에 천문이 없으며, 상사골(上篩骨)의 전단에 돌기가 없고, 안와설골(眼窩楔骨)은 2개로 되어 있다. 기저후두골(基底後頭骨) 돌기(突起)는 전반부에서부터 발달하였고, 상후두골(上後頭骨)은 높은 삼각형 형태의 돌기를 갖고 있으며, 미설골(尾舌骨)은 선단(先端)이 2분기(分技)되고 수평판(水平板)과 수직판(垂直板)의 후방(後方)이 넓어지며 후연(後緣)이 돌출되어 있다. 인두치(咽頭齒)는 1열로 인두치식(咽頭齒式)은 5 - 5이며 4개의 유리치(遊離齒)를 갖고 있다. 편대(扁帶)에는 오훼골(烏喙骨) 구멍이 없으며, 미골추체(尾骨推體)에는 미신경골(尾神經骨)이 나타나지 않고, 길고 가느다란 후요대돌기(後腰帶突起)를 갖는다. 유리신경간련(遊離神經間練)은 넓은 판상(板狀)이고, 신경간극(神經間棘)은 14~15개이며 제1~제4신경간극(神經間棘)은 하나의 기기골을 나머지는 두 개의 기기골을 기부(基部)에 갖고 있고, 혈관간극(血管間棘)은 11~12개이며 제1~제 4혈관간극(血管間棘)은 하나의 기기골을 나머지는 두 개의 기기골을 갖고있다.

  • PDF

한국 남해에서 출현한 돌돔 (Oplegnathus fasciatus)과 강담돔 (Oplegnathus punctatus) 사이의 자연교잡종 (Occurrence of Natural Hybrid between Oplegnathus fasciatus and Oplegnathus punctatus from the South Sea of Korea)

  • 권혁준;김진구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22권3호
    • /
    • pp.201-205
    • /
    • 2010
  • 2008년 8월 경남 통영에서 강담돔과 돌돔의 자연교잡종 1개체가 발견되어 형태 및 유전적 특정을 강담돔 및 돌돔과 비교하였다. 형태적으로 본 총은 체측에 선명한 검은색 둥근 점을 많이 가지며 동시에 4개의 연한 가로줄을 가져 강담돔과 비슷하였다. 강담돔 및 돌돔의 계수 계측형질이 거의 일치하였으나, 체장에 대한 배지느러미길이 비에서 자연교잡종(26.7%)은 돌돔(17.2~23.6%)보다 강담돔(26.4%)에 더욱 가까웠다. 미토콘드리아 DNA 16S rRNA 510 bp를 이용한 분자분석에서 자연교잡종은 형태결과와는 달리 강담돔(d=0.020)보다 돌돔(d=0.000~0.010)에 더욱 가까웠다. 본 연구결과를 통해 경남 통영에서 발견된 자연교잡종은 암컷 돌돔과 수컷 강담돔 사이에서 태어난 것으로 추정된다.

한국산 둑중개과(쏨뱅이목) 첫기록종, Cottus pollux (First Record of the Japanese Fluvial Sculpin, Cottus pollux (Scorpaeniformes: Cottidae) from Korea)

  • 윤봉한;김용휘;방인철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34권4호
    • /
    • pp.277-287
    • /
    • 2022
  • 대한민국 경상북도 경주시 암곡동 형산강 지류인 덕동천 상류에서 둑중개과 (Cottidae) 둑중개속(Cottus)에 속하는 어류 2개체 (표준체장 79.3~100.8 mm)를 채집하였다. 이들은 구개골에 이빨이 없는 점, 가슴지느러미의 기조가 분지되지 않고 기조수가 12~13개인 점, 배지느러미에 뚜렷한 반점이나 무늬가 없는 점, 그리고 머리 또는 몸 앞쪽에 검은색 띠가 없는 점 등에서 C. pollux로 동정되었다. 또한, 핵 DNA의 ITS1 유전자 영역과 미토콘드리아 DNA의 cytb 유전자 영역을 이용한 분자계통학적 분석 결과, 본 표본은 일본산 C. pollux와 동일한 유전적 clade를 형성하여 상기 형태학적 특징에 의한 종 동정 결과를 뒷받침하였다. 신한국명으로는 대한민국에 분포하는 둑중개 및 한둑중개와 달리 배지느러미에 반점이나 무늬가 없는 형태적 특징에 따라 '민무늬둑중개'를 제안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