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ediatric illness

검색결과 192건 처리시간 0.027초

소아의 난치성 신증후군의 한약 치료에 대한 최신 임상연구 동향 (Review of Clinical Research for Herbal Medicine Treatment on Refractory Nephrotic Syndrome in Children)

  • 장은하;민상연;김장현
    • 대한한방소아과학회지
    • /
    • 제34권3호
    • /
    • pp.1-17
    • /
    • 2020
  •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clinical studies on effectiveness of herbal medicine in refractory nephrotic syndrome (RNS). Methods We searched the randomized controlled trials (RCTs) with herbal medicine treatment on RNS from the Pubmed, CNKI, OASIS, NDSL, J-stage, and CiNii. The demographic data, duration of illness, intervention, treatment period, outcome, adverse events, and composition of herbal medicine were analyzed for this study. Results 11 RCT studies were selected and analyzed. The children in the control group were given western medicine therapy, and the treatment group was given herbal medicine along with the same western medicine of the control group. The most commonly used herbal medicines were the prescriptions to treat 'Kidney Deficiency with Blood Stasis (腎虛兼瘀血)' which composed of 'Promoting blood circulation (化瘀)', 'Diuresis-inducing (利水)', or 'Heating Yang (溫陽)' medicine based on 'Replenishing Kidney or Spleen (補腎, 補脾)' medicine. In the treatment group, proteinuria and serum lipid was significantly decreased, serum albumin was significantly increased, and total effective rate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control group. Hypercoagulation and relapse rate was also significantly reduced. Adverse events were significantly lower in the treatment group. Conclusions Herbal medicine treatment on pediatric RNS can be suggested as a new treatment for children who have less response to the conventional therapy. It can also supplement the limitations of the western medicine by reducing adverse events from the steroids and immuno-suppressive agents, and lower the relapse rate as well.

용혈성 요독 증후군 (Hemolytic uremic syndrome)

  • 박혜원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50권10호
    • /
    • pp.931-937
    • /
    • 2007
  • The hemolytic uremic syndrome (HUS) is a rare disease of microangiopathic hemolytic anemia, low platelet count and renal impairment. HUS usually occurs in young children after hemorrhagic colitis by shigatoxin-producing enterohemorrhagic E. coli (D+HUS). HUS is the most common cause of acute renal failure in infants and young children, and is a substantial cause of acute mortality and morbidity; however, renal function recovers in most of them. About 10% of children with HUS do not reveal preceding diarrheal illness, and is referred to as D- HUS or atypical HUS. Atypical HUS comprises a heterogeneous group of thrombomicroangiopathy (TMA) triggered by non-enteric infection, virus, drug, malignancies, transplantation, and other underlying medical condition. Emerging data indicate dysregulation of alternative complement pathway in atypical HUS, and genetic analyses have identified mutations of several regulatory genes; i.e. the fluid phase complement regulator Factor H (CFH), the integral membrane regulator membrane cofactor protein (MCP; CD46) and the serine protease Factor I (IF). The uncontrolled activation of the complement alternative pathway results in the excessive consumption of C3. Plasma exchange or plasma infusion is recommended for treatment of, and has dropped the mortality rate. However, overall prognosis is poor, and many patients succumb to end-stage renal disease. Clinical presentations, response to plasma therapy, and outcome after renal transplantation are influenced by the genotype of the complement regulators. Thrombotic thrombocytopenic purpura (TTP), another type of TMA, occurs mainly in adults as an acquired disease accompanied by fever, neurologic deficits and renal abnormalities. However, less frequent cases of congenital or hereditary TTP associated with ADAMTS-13 (a disintegrin and metalloprotease, with thrombospondin 1-like domains 13) gene mutations have been reported, also. Recent advances in molecular genetics better allow various HUS to be distinguished on the basis of their pathogenesis. The genetic analysis of HUS is important in defining the underlying etiology, predicting the genotype-related outcome and optimizing the management of the patients.

Subtle inflammation: a possible mechanism of future cardiovascular risk in obese children

  • Sontichai, Watchareewan;Dejkhamron, Prapai;Pothacharoen, Peraphan;Kongtaweelert, Prachya;Unachak, Kevalee;Ukarapol, Nuthapong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60권11호
    • /
    • pp.359-364
    • /
    • 2017
  • Purpose: The risk of cardiovascular disease (CVD) has been shown to be associated with systemic inflammation in obese adults with metabolic syndrome (MetS). The aims of this study were to evaluate the prevalence of MetS and its relation to inflammatory markers in obese Thai children. Methods: A cross-sectional study was conducted. Children with history of endogenous obesity, chronic diseases, drug ingestion, and any acute illness within 2 weeks prior to enrollment were excluded. Their fasting blood glucose (FBG) levels, oral glucose tolerance tests, insulin, lipid profiles, and selected inflammatory markers, including interleukin-6, tumor necrosis factor-alpha, and high-sensitivity C-reactive protein (hs-CRP) levels, were tested. Results: In this study, 58 obese Thai children (female, 20; male, 38) with a mean body mass index z score of $5.1{\pm}2.2$ were enrolled. The prevalence of MetS and prediabetes was 31% and 17.2%, respectively. None of the children had diabetes. FBG levels, 2-hour glucose levels, and lipid profiles were not statistically different between those with and without MetS. However, obese children with MetS had higher insulin levels and homeostasis model assessment of insulin resistance values. Elevated hs-CRP levels were found in 69% of the cases, although it was not statistically different between the 2 groups. Conclusion: We described a substantial prevalence of MetS in Thai obese children. Regardless of MetS status, two-thirds of the obese children had elevated hs-CRP level, indicating subtle ongoing inflammatory process. This chronic inflammation feasibly predisposes them to CVD in the future, even in children without MetS.

Prediction of nonresponsiveness to mediumdose intravenous immunoglobulin (1 g/kg) treatment: an effective and safe schedule of acute treatment for Kawasaki disease

  • Moon, Kyung Pil;Kim, Beom Joon;Lee, Kyu Jin;Oh, Jin Hee;Han, Ji Whan;Lee, Kyung Yil;Lee, Soon Ju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59권4호
    • /
    • pp.178-182
    • /
    • 2016
  • Purpose: Medium-dose (1 g/kg) intravenous immunoglobulin (IVIG) is effective in the majority of patients with Kawasaki disease (KD) but some patients who do not respond to medium-dose IVIG are at high risk for the development of coronary artery lesions (CAL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clinical predictors associated with unresponsiveness to medium-dose IVIG and the development of CALs. Methods: A retrospective study was performed in 91 children with KD who were treated with mediumdose IVIG at our institution from January 2004 to December 2013. We classified the patients into responders (group 1; n=68) and nonresponders (group 2; n=23). We compared demographic, laboratory, and echocardiographic data between the 2 groups. Results: Multivariat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identified 6 variables as predictors for resistance to medium-dose IVIG. We generated a predictive scoring system assigning 1 point each for percentage of neutrophils ${\geq}65%$, C-reactive protein ${\geq}100mg/L$, aspartate aminotransferase ${\geq}100IU/L$, and alanine aminotransferase ${\geq}100IU/L$, as well as 2 points for less than 5 days of illness, and serum sodium level ${\leq}136mmol/L$. Using a cutoff point of ${\geq}4$ with this scoring system, we could predict nonresponsiveness to medium-dose IVIG with 74% sensitivity and 71% specificity. Conclusion: If a patient has a low-risk score in this system, medium-dose IVIG can be recommended as the initial treatment. Through this process, we can minimize the adverse effects of high-dose IVIG and incidence of CALs.

Measuring Trends in the Socioeconomic Burden of Disease in Korea, 2007-2015

  • Kim, Tae Eung;Lee, Ru-Gyeom;Park, So-Youn;Oh, In-Hwan
    •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 /
    • 제55권1호
    • /
    • pp.19-27
    • /
    • 2022
  • This study estimated the direct and indirect socioeconomic costs of 238 diseases and 22 injuries from a social perspective in Korea from 2007 to 2015. The socioeconomic cost of each disease group was calculated based on the Korean Standard Disease Classification System. Direct costs were estimated using health insurance claims data provided by the National Health Insurance Service. The numbers of outpatients and inpatients with the main diagnostic codes for each disease were selected as a proxy indicator for estimating patients' medical use behavior by disease. The economic burden of disease from 2007 to 2015 showed an approximately 20% increase in total costs. From 2007 to 2015, communicable diseases (including infectious, maternal, pediatric, and nutritional diseases) accounted for 8.9-12.2% of the socioeconomic burden, while non-infectious diseases accounted for 65.7-70.7% and injuries accounted for 19.1-22.8%. The top 5 diseases in terms of the socioeconomic burden were self-harm (which took the top spot for 8 years), followed by cirrhosis of the liver, liver cancer, ischemic heart disease, and upper respiratory infections in 2007. Since 2010, the economic burden of conditions such as low back pain, falls, and acute bronchitis has been included in this ranking. This study expanded the scope of calculating the burden of disease at the national level by calculating the burden of disease in Koreans by gender and disease. These findings can be used as indicators of health equality and as useful data for establishing community-centered (or customized) health promotion policies, projects, and national health policy goals.

부산지역에서 유행한 호흡기 바이러스(2004년-2006년) (Epidemiology of acute viral resp iratory tract infections in Busan (2004-2006))

  • 강요한;이동준;조경순;정우식
    • Pediatric Infection and Vaccine
    • /
    • 제14권2호
    • /
    • pp.179-187
    • /
    • 2007
  • 목 적 : 바이러스는 급성 호흡기 감염증의 가장 흔한 원인이며 특히 소아에서 잘 이환되고, 상기도 감염뿐 아니라 하기도 감염을 일으켜 모세기관지염, 폐렴, 크룹, 기관기관지염 등을 일으킨다. 이러한 원인이 되는 바이러스들의 유행을 조사하기 위해 본 연구를 시작하였다. 방 법 : 2004년 1월부터 2006년 12월까지 만 3년 동안 부산지역 26개소 병원, 의원, 보건소에 급성 호흡기 증상으로 내원하였던 0-18세의 환자 중 기침, 콧물, 발열, 인후통을 보였던 환자들을 대상으로 하였고, 8,974명에서 비인두 면봉법으로 검체를 채취하였으며 이 중 281례(3.0%)에서 바이러스가 분리되었다. 결 과 : 1) A형 인플루엔자 바이러스가 131례(46.6%)로 가장 많았으며 2004년 봄에 특히 많이 검출되었다. 그 이외에도 RS 바이러스가 40례(14.2%), B형 인플루엔자 바이러스가 37례(13.2%), 아데노바이러스가 23례(8.2%), 장내바이러스가 37례(13.2%) [콕사키바이러스 20례(7.1%), 비정형 장내바이러스 9례(3.2%), 폴리오바이러스 4례(1.4%), 에코바이러스 4례(1.4%)], 파라인플루엔자 바이러스가 2례(0.7%), 그리고 코로나바이러스, 보카바이러스가 각각 1례(0.4%) 검출되었다. 2) 대상이 되었던 8,974명의 환아에서 281례의 양성결과 중 남아에서 163례(56%), 여아에서 123례(44%)로 남녀 성비는 약 1.3:1로 남자에서 약간 더 많았다. 연령별로는 0-1세에서 195례(69%), 2-10세에서 78례(28%), 11-18세에서 8례(3%)가 분리되었다. 3) RS 바이러스는 매년 분리되었으나 주로 10월에서 2월에 많았고, A형 인플루엔자 바이러스는 매년 12월에서 4월에 주로 분리되었으며. B형 인플루엔자 바이러스는 2-4월에 분리되었다. 아데노바이러스는 연중 고루 발생하였으며, 장내바이러스(비정형 장내바이러스, 콕사키바이러스, 에코바이러스 등)는 5-9월 사이 특히 7-8월에 집중적으로 발생하였다. 파라인플루엔자 바이러스는 주로 5-7월에 발생하였다. 결 론 : 저자들은 부산지역에서 최근 3년간 유행한 급성 호흡기 질환의 원인 바이러스를 분석하여 역학적 특징을 규명하였으며, 향후 이러한 바이러스에 의한 급성 호흡기 질환을 예방하고 치료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도록 발생 시기와 유행 양상에 대한 더 많은 보고와 연속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 PDF

사구체 기저막 비박화 소견을 보인 미세변화 신증후군에 관한 고찰 (A Study on the Association of Thin Glomerular Basement Membrane Abnormality with Minimal Change Nephrotic Syndrome)

  • 김창우;조민현;고철우;구자훈;곽정식
    • Childhood Kidney Diseases
    • /
    • 제6권1호
    • /
    • pp.48-55
    • /
    • 2002
  • 목 적 : 비박화 사구체신증은 대개 혈뇨의 가족력이 있고 우성유전하며 소아 및 성인의 무증상성 혈뇨의 가장 흔한 원인중의 하나로 알려져 있다. 사구체 기저막의 비박화는 정상 성인에서도 보고되고 있고 또한 Alport 증후군의 초기, IgA 신병증 및 메산지움 증식성 사구체 신염등과 같은 다른 사구체 신장질한 시에도 나타난다고 한다. 그러나 사구체 기저막의 비박화와 미세변화 신증후군이 동반된 보호는 극히 희소하여 이에 본 연구는 사구체 기저막의 비박화와 미세변화 신증후군과의 여관관계를 살펴보고자 시행되었다. 대상 및 방법 : 대상환아는 1997년부터 2001년까지 5년간 경북대학교병원 소아과에 입원하여 신조직 검사상 미세변화 신증후군으로 확진된 49예로 하였으며 환아들은 모두 스테로이드 의존성 이든가 빈번한 재발형 이었다. 이중 8예에서 사구체 기저막의 현저한 비박화(사구체 모세혈관의 $50\%$이상)가 관찰되었으며 이를 제1군으로 하고 나머지 41예를 제2군으로 하여 이들 환아의 발병연령, 신조직 검사까지의 기간, 신질환의 가족력 및 혈뇨의 동반여부, 그리고 24시간 요단백 배설량, 혈청 알부민, 콜레스테롤등의 각종 검사실 성적을 비교 관찰하였다. 결 과 : 대상환아의 발병연령 및 성별분포는 제1군 $7.l{\pm}3.5세$, 제2군 $4.8{\pm}2.9세$로 제1군에서 다소 연령이 높았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으며(P=0.056) 남녀비는 3:1로 양군에서 차이가 없었다. 혈뇨의 가족력은 제2군에서 2예에 있어서 관찰되었고 혈뇨의 빈도는 제1군에서 8예중 2예($25\%$)였고 제2군에서는 41예중 7예($17\%$)로 제1군에서 다소 높은 비율을 보였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하지는 않았다. 그외 BUN, creatinine, 24시간 뇨단백 배설량, 혈청단백, 혈청 알부민 및 T4/T8 비등의 각종 검사실 소건은 양군에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신조직검사 소견도 양군에서 의미있는 차이를 발견할수 없었고 제1군에서 사구체 기저막의 두께는 평균 $188{\pm}30nm$였다. 결 론 : 8예의 MCNS 환아들에게서 TGBM의 소견이 보였으며 같은 기간중 신생검 소견상 MCNS로 진단된 49예의 $16.3\%$에 해당되는 높은 빈도로서 이는 TCBM과 MCNS가 우연히 공존한다기 보다 서로 연관성이 있음을 시사한다고 하겠다. 또한 TGBM이 동반된 MCNS 8예 모두에서 전형적인 TGBMN의 임상상을 보여주지 않았음으로 TCBM이 MCNS를 유발한다기 보다는 MCNS에 나타나는 TGBM은 MCNS 그 자체로 초래되는 이차적인 소견일 것으로 생각된다.

  • PDF

소아에서 human metapneumovirus 감염증의 임상적 고찰 (Clinical Manifestation of Human Metapneumovirus Infection in Korean Children)

  • 백현;이양진;조형민;유은정;정권;김은영;김용욱;김경심;서진종;정윤석
    • Pediatric Infection and Vaccine
    • /
    • 제15권2호
    • /
    • pp.129-137
    • /
    • 2008
  • 목 적 : hMPV는 네델란드에서의 첫 보고 이후 전 세계적으로 발견되며, 호흡기 감염의 주요한 원인 바이러스 중의 하나로 보고되고 있지만 우리나라에서의 보고는 드문 실정이다. 이에 저자들은 우리나라에서 hMPV가 유행하는지 확인하고, 소아에서의 임상 양상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 법 : 2005년 1월부터 2005년 12월까지 광주기독병원 소아과에 급성 호흡기 증상으로 입원한 환아 1,098명의 인후 도찰물을 채취하여 RT-PCR을 시행 후 hMPV가 검출된 25명의 환아들의 임상 기록지를 후향적으로 검토하여 이들의 임상 증상 및 검사 소견을 조사하였다. 결 과 : 1,098명 중 25명에서 hMPV가 검출되어 검출률은 2.2%이었다. 평균 연령은 2세 3개월(1개월-6세)이었고, 4월에서 6월에 집중적으로 검출되었다. 진단명은 폐렴(60%), 모세기관지염(20%) 순이었고 임상 증상은 기침이 25명(100%), 발열 20명(80%), 콧물 20명(80%) 순이었다. 신체 검진 상 나음이 13명, 천명이 10명에서 청진되었고 인후 발적이 8명, 고막 발적이 2명이었고 흉부 방사선 소견은 폐문 주위 간질 침윤이 10명, 폐 경화가 6명이었다. 4명(16%)에서 천식의 악화 소견을 보였고 hMPV와의 중복 감염은 마이코플라즈마 감염 3명, 보카바이러스 2명, 엔테로바이러스 1명이었다. 결 론 : hMPV는 입원이 요구되는 하부 호흡기 질환의 원인이 되며 2세 미만에서 호발하고 초봄과 여름까지 유행하며 주로 폐렴을 일으키는 바이러스로 천식의 악화와 관련이 있었다. 향후 hMPV 감염증의 진단과 치료 및 예방 대책을 수립하기 위해서는 보다 정확한 임상적, 역학적 조사 등의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 PDF

건강한 소아에서의 47계대 Oka주 수두약독화 생백신의 면역원성 및 안전성에 관한 연구 (The Immunogenicity and Safety Study of 47 Passaged Oka Strain Live Attenuated Varicella Vaccine in Healthy Children)

  • 강진한;김종현;서병규
    • Pediatric Infection and Vaccine
    • /
    • 제4권2호
    • /
    • pp.257-264
    • /
    • 1997
  • 목 적 : 국내 건강한 소아에서의 47계대 배양된 Oka주 수두 약독화 생백신의 단기간내 체액성 면역원성과 안전성 평가를 위해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대상 및 방법 : 1997년 4월부터 1997년 8월까지 5개월간 가톨릭대학부속 성모자애병원 육아상담실을 방문한 소아와, 서울, 인천, 수원 지역에 있는 4곳의 보육원에 수용되고 있는 원아들 중 과거력상 수두에 이환되지 않았고, 수두백신 접종력이 없으며 중한 기저질환이나 약제 및 백신에 알레르기가 없는 12개월에서 15세 사이 연령의 건강한 소아를 대상으로 하였다. 백신의 접종은 1,400 PFU 용량의 47 계대 Oka주 수두백신을 상완 삼각근에 1회 피하 주사하였다. 단기간(접종후 6주)의 체액성 면역원성을 평가하기 위해 모든 피접종아에서 접종전, 접종 6주 후에 채혈하여 FAMA 법과 효소 면역법으로 수두 대상포진 바이러스의 세포막 항체와 IgG를 측정 비교하였다. 그리고 안전성 평가를 위해 접종 30분내 즉각반응, 접종 3일내 국소 및 전신반응, 접종 6주후까지의 백신에 의한 전신성 부작용 발생을 관찰하였다. 결과 : 1) 총 99명의 소아에서 접종과 검사가 완료되었다{육아상담실; 33명, 보육원 66명). 이들 중 49명은 접종전 대상포진 바이러스 항체 검사상 음성이었고 50명은 양성으로 판명되었다. 이 두군의 연령 및 성별분포는 유사하였다. 2) FAMA 법으로 시행한 검사상 접종전 음성군에서 97.9%의 양전율을 보였고, 음성군 및 양성군 모두에서 의의있는 GMT 상승을 보였다. 3) 효소 면역법으로 시행한 결과에서는 접종전 음성군에서는 100%의 항체 양전율을 보였고, 그리고 양성군에서도 항체가는 접종후 유의하게 상승하였다. 4) 경한 주사부위의 발적, 동통, 부종, 경결 등의 국소반응과 보챔, 식욕부진 등의 전신반응이 있었으나 3일내에 소실되었고, 이후 6주간 백신에 의한 부작용은 전례에서 관찰되지 않았다. 결 론 : 이상의 결과로 볼 때에 47계대 배양된 Oka주 수두백신은 단기간내에 높은 체액성 면역원성이 유발되고 안전성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이 백신의 광범위한 사용을 위해서는 지속적으로 장기간의 체액성 및 세포 매개성 면역원성 검증과 야외임상 대조설험 등이 요구되어 진다.

  • PDF

광주시(光州市) 의료시설(醫療施設)의 입지(立地)와 주민(住民)의 효율적(效率的) 이용(利用) (The Location of Medical Facilities and Its Inhabitants' Efficient Utilization in Kwangju City)

  • 전경숙
    • 한국지역지리학회지
    • /
    • 제3권2호
    • /
    • pp.163-193
    • /
    • 1997
  • 복지사회를 지향하는 오늘날, 건강 중진에 직접 관계되는 의료시설의 접근성 문제는 주요 과제이다. 특히 삶의 질이라는 측면에서 질병의 치료 외에 건강진단, 예방과 회복, 요양 및 응급서비스의 비중이 커지고, 인구의 노령화 현상이 진전되면서 의료시설의 효율적인 입지가 주 관심사로 대두되고 있다. 의료시설은 주민의 생존과 직접 관계되는 기본적이고도 필수적인 중심시설로, 지역 주민은 균등한 혜택을 받을 수 있어야 한다. 이를 실현시키기 위해서는 기본적으로는 효율성과 평등성을 기반으로 1차 진료기관이 균등 분포해야 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광주시를 사례지역으로 선정하여 의료시설의 입지와 그에 대한 주민의 효율적 이용에 관하여 분석하였다. 분석에 있어서는 통계자료와 기존의 연구 성과 외에 설문 및 현지조사 자료를 기반으로 시설 측면과 이용자 측면을 동시에 고찰하였다. 우선 의료 환경의 변화 및 의료시설의 변화 과정을 고찰하고, 이어서 의료시설의 유형별 입지 특성과 주민의 분포 특성을 고려한 지역별 의료수준을 분석하였다. 그리고 유형별 의료시설의 이용행태와 그 요인을 구명한 후, 마지막으로 장래 이용 유형의 예측과 문제지역의 추출, 나아가서는 시설의 합리적인 입지와 경영 방향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앞으로 신설될 의료시설의 적정 입지에 관한 기본 자료로서는 물론 지역 주민의 불평등성 해소라는 응용적 측면에서 의의를 지닌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