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edestrian facilities

검색결과 201건 처리시간 0.037초

지속가능한 생태도시 및 생태마을에서의 거주자의 역할 (The Role of Residents for the Sustainable Ecopolis and Ecovillage)

  • 곽인숙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39권6호
    • /
    • pp.109-122
    • /
    • 2001
  •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dentify the roles of residents for the environmentally sound and sustainable development, taco-polis(kologisches Bauen), eco-village and Symbiotic Housing. These buildings will achieve energy efficiency through design strategies such as passive solar heating system, natural cooling and day lighting. Their infrastructure will feature parking on the periphery, extensive pedestrian paths, outdoor ground lights that preserve stellar visibility, and environmentally sensitive technologies such as low writer use fixtures. And they will restore biodiversity while protecting the wildlife, wetlands, forests, soil, air and water. Their houses wile be designed to support home-based occupations, offering high-speed Internet access and other options to promote a localized, sustainable economy. To support and encourage the evolution of sustainable settlements, it is necessary to prepare constructing the physical facilities and the social functions relating with residents. The roles of residents are important to provide a high Quality lifestyle and to integrate a supportive social environment with a low-impact way of life. This study concluded the four main roles of residents for the sustainable of Eco-polis and Ecovillage. 1. Residents assist transition towards a sustainable society as eco-conscious consumers in the planning stage. 2. Residents live in a ecological way for the sustainable ecovillage. 3. Residents exchange information and education for increasing the community glue as a communication network. 4. Residents support and transmit their cultural vitality and tradition for the next generation. So, users are expected to encourage resident's participation in the planning, design, ongoing management and maintenance of the sustainable ecovillage.

  • PDF

국내 고등학생들의 탄소발자국 산정과 비교에 관한 연구: 대.중.소도시 통학패턴을 중심으로 (Evaluation and Comparison Study of Carbon Footprint of High School Students: Focused on Commute to School in Big, Middle, Small Size City)

  • 여인호;김준범;강석교;김진범
    • 한국환경교육학회지:환경교육
    • /
    • 제25권1호
    • /
    • pp.15-24
    • /
    • 2012
  • The goal of this study, as an effort to reduce national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is to calculate the carbon footprint of students based on the commute pattern of high school students in big (Seoul), middle (Suwon) and small (Icheon) size city. By conducting a survey, the commute pattern and method of students as well as students' carbon footprint were evaluated. As a result, the carbon footprint of the high school student in Icheon ($1.698kgCO_2$) had 2~3 times higher than student's carbon footprint in Seoul ($0.623kgCO_2$) and Suwon ($0.699kgCO_2$). One of the reasons for the different carbon footprint result between big and small city was whether the public pedestrian facilities and a bicycle path or not. Based on our research results, we pointed out the problems and suggested some ways to reduce carbon footprint of students.

  • PDF

보행행태조사방법론의 변화와 모바일 빅데이터의 가능성 진단 연구 - 보행환경 분석연구 최근 사례를 중심으로 - (Changes in Measuring Methods of Walking Behavior and the Potentials of Mobile Big Data in Recent Walkability Researches)

  • 김현주;박소현;이선재
    • 대한건축학회논문집:계획계
    • /
    • 제35권1호
    • /
    • pp.19-28
    • /
    • 2019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walking behavior analysis methodology used in the previous studies, paying attention to the demand for empirical data collecting for urban and neighborhood planning. The preceding researches are divided into (1)Recording, (2) Surveys, (3)Statistical data, (4)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devices, and (5)Mobile Big Data analysis. Next, we analyze the precedent research and identify the changes of the walkability research. (1)being required empirical data on the actual walking and moving patterns of people, (2)beginning to be measured micro-walking behaviors such as actual route, walking facilities, detour, walking area.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trend of research, it is analyzed that the use of GPS device and the mobile big data are newly emerged. Finally, we analyze pedestrian data based on mobile big data in terms of 'application' and distinguishing it from existing survey methodology. We present the possibility of mobile big data. (1)Improvement of human, temporal and spatial constraints of data collection, (2)Improvement of inaccuracy of collected data, (3)Improvement of subjective intervention in data collection and preprocessing, (4)Expandability of walking environment research.

Measures to Reduce Traffic Accidents in School Zones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 Park, Moon-Soo;Park, Dea-woo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통신학회 2022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162-164
    • /
    • 2022
  • Efforts are being made to prevent traffic accidents within the child protection zone. Efforts are being made to prevent accidents by enacting safety facilities and laws to prevent traffic accidents in the school zone. However, traffic accidents in school zones continue to occur. If the driver can know the situation in the child protection zone in advance, accidents can be reduced. In this paper, we design a camera that eliminates blind spots in school zones and a number recognition camera system that can collect pre-traffic information. Design a LIDAR system that recognizes vehicle speed and pedestrians. Design an LED guidance system that delivers information to drivers without smart devices. We study time series analysis and artificial intelligence algorithms that collect and process pedestrian and vehicle information recognized by cameras and LIDAR. In the artificial intelligence traffic accident prevention system learned by deep learning, before entering the school zone, the school zone information is sent to the driver through the Force Push Service and the school zone information is delivered to the driver on the LED sign. try to reduce accidents.

  • PDF

경유지를 고려한 서울시 공공자전거 통행발생량 추정 모형 개발 (Estimating Travel Frequency of Public Bikes in Seoul Considering Intermediate Stops)

  • 박종한;고준호
    • 한국ITS학회 논문지
    • /
    • 제22권3호
    • /
    • pp.1-19
    • /
    • 2023
  • 최근 탄소중립의 대안으로 떠오르고 있는 자전거의 통행행태를 파악하기 위하여 경유지를 고려한 통행발생량을 추정하고자 하였다. 서울시 공공자전거인 '따릉이'의 GPS 주행궤적 데이터를 이용하여 통행에서의 중간 경유지인 체류 지점을 파악하고, 인구, 토지이용, 물리적인 특성을 반영한 통행발생량 모형을 분석하였다. 맵매칭과 체류 지점 탐지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체류 지점을 추정한 결과, 전체 통행의 약 12.1%에서 체류 지점이 나타났다. 체류가 발생한 통행은 비체류에 비해 평균 이용거리와 이용시간이 더 길며, 체류 지점이 집중되는 시간대는 오전 첨두시와 오후 첨두시 사이의 비첨두시인 것으로 나타났다. 시각화 분석에 따르면 공원 및 레저 시설, 업무시설에서 주로 체류 지점이 나타났다. 체류 지점을 고려하기 위하여 기존의 대여소 기반이 아닌 육각격자를 분석단위로 설정하였으며, 영과잉 음이항(Zero-Inflated Negative Binomial, ZINB) 모형을 이용하여 체류 지점을 고려한 통행발생량을 추정하였다. 분석결과, 자전거전용도로 및 자전거·보행자겸용도로(분리형)와 같이 자전거 이용자의 안전이 확보된 자전거 인프라에서 통행발생량 및 체류 지점에서 발생한 통행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공공자전거는 대중교통의 접근수단으로서 퍼스트&라스트 마일 수단의 역할을 하며, 생활중심지와 고용중심지에서 통행발생량이 커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분석 결과를 토대로 자전거 인프라의 추가 확충 계획 시 이용자의 안전시설 및 공간 확보가 우선돼야 하며, 대중교통과 연계한 자전거 인프라 시설 보급방안의 수립이 필요한 것으로 보인다.

감천항 수산물 도매시장 조경설계 (Landscape Design of Gamcheon Wholesale Fish Market)

  • 권영휴;민권식;황용득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30권2호
    • /
    • pp.70-78
    • /
    • 2002
  • The landscape disign of Gamcheon wholesale fish Market was designed around a turnkey base to promote the economy of Busan Metropolitan City, to establish a fishery marketing center and to modernize existing facilities. The objectives of the project were to promote the mood of an old market, while preserving its functions and efficiency as a market, to design outdoor spaces with natural resources and amenities in balance, and to create attractive tourist spots in connection with the wide area development plan. The project was oriented, fast, to enhance the functions of the market. For this purpose, a multi-dimensional space layout was designed in consideration of functions as a wholesale market. The safety of pedestrians was secured by separating lathes for vehicles and for pedestrians. Tree planting with various functions such as sheltering, wind breaking and guiding was planned. Secondly, nature-friendly and human-friendly landscaping design was attempted. For this, the beautiful natural resources of Amnam Park were utilized, and green spaces such as green bridges linking buildings in the wholesale market, and rooftop gardens were to be arranged. In addition, environment-friendly facilities such as roads paved with natural materials(i.e. gravel, shells) and program parking lots were to be planned. Thirdly, landscape design was considered to create attractive tourist spots. For example, a fish farm was created as a theme street for pedestrians and various water-friendly spaces such as pedestrian ramps, observatories and seaside streets were to be secured. The main contents are as follows. First, a green bridge to Ahnnam Park was introduced for a tour source and flower garden, an event plan and viewing deck open to the sea were planned on the bridge's axis. Secondly, for the effective land use plan concerning open space and convenience to visitors, a promenade was planned, which is connected with the theme plaza and small plazas by environmental sculptures in front of the market hall and at the gate. As well, an observatory and a roof garden help create three dimensional multi leveled space, with a good view of the natural landscape of the sea, sky and park Thirdly, landscape materials, such as trees and those for facilities, strengthened for protection against the seawind and salt damage were selected. The commercial market area was intended to be transformed a traditional functional area of efficiency and economy into an attractive marine leisure area where both tourists and neighbors can make use of it.

지하철 승강장 및 환승정거장 유형에 따른 이용자 만족도 분석 (Analysis of User Satisfaction by Types of Subway Platforms and Transit Stations)

  • 김황배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35권2호
    • /
    • pp.437-445
    • /
    • 2015
  • 지하철 만족도에 큰 영향을 미치는 시설물의 배치, 정보안내의 경우 지하철 승강장 및 환승정거장의 유형에 따라 달라지게 되나, 현재 해당 항목에 대한 연구는 미비한 실정이다. 본 연구는 이러한 관점에서 출발하여 IPA 분석 기법을 활용하여 승강장 및 환승정거장 유형에 따른 이동시설 및 환승편의시설, 정보안내의 만족도간 중요도를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수도권 도시철도 환승역사 15개를 대상으로 승강장 및 환승정거장 유형에 따라 분류하고, 승강장 및 환승정거장 유형이 동일함에 따라 이용자간 중요도 및 만족도 차이, 개선항목 등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 결과 동선교차가 많이 발생되는 승강장 유형(상대식 승강장)과 환승정거장 유형(+, L, T자형)으로 지하철역을 설계하는 경우 이동편의시설 및 정보안내표지의 적정한 위치 선정이 중요함을 도출하였다. 이러한 분석 결과는 향후 이용자의 불편이 최소화할 수 있는 방향으로 신규 역사 설계 및 기존 역사 개선시 활용이 가능하며, 승강장 및 환승정거장 유형에 따라 우선적으로 개선해야 하는 항목 도출로 지하철 개선비용 효율성 증대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건강검진센터의 공간서비스 적정할당을 통한 대기시간 및 이동거리 단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Reduction of Waiting Time and Moving Distance through Optimal Allocation of Service Space in a Health Examination Center)

  • 김석태;오성진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0권12호
    • /
    • pp.167-175
    • /
    • 2019
  • 최근 건강검진센터는 병원의 보조시설에서 핵심적이고 독립적인 의료시설로 위상이 높아지고 있다. 그러나 검진센터를 비롯한 의료시설들은 공간 및 인간간의 관계가 주체가 되는 가변적 특성으로 인하여 개선이 쉽지 않다. 이에 검진센터의 문제점과 및 개선방법을 발견하기 위하여 보행자 기반 이산사건시뮬레이션 분석프로그램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프로그램은 5가지 평가지표와 수검자 밀도를 분석할 수 있도록 구축하였으며, 시뮬레이션을 통해 소요시간, 수용능력, 검사항목별 대기열 규모를 분석하여 문제점을 도출하였다. 제안된 평가방법을 통해 검사시간이 길어지는 가장 큰 원인은 대기열의 증가와 집중에 의한 장시간 대기자의 발생으로 밝혀졌다. 적정한 서비스 재배분으로 대기열을 분산시켜 검사시간을 크게 단축시킬 수 있었으며 조정안의 검증 결과, 수검인원 18% 증가, 1인당 수검시간 15% 단축, 이동거리 5.5% 단축의 효과를 정량적으로 계산해 낼 수 있었다. 또한 히트맵 분석과 병행한 공간 재배치 계획으로 복도의 교차부에 집중되었던 과밀현상을 해소할 수 있었으며, 이는 통행자와 대기자간의 혼잡을 줄이는 긍정적 효과를 가져올 것이다. 본 연구는 분석프로그램을 구축하기 위한 기초적 성격을 가진 알고리즘 중심의 검토연구이지만, 이러한 복잡계 시뮬레이션 분석방법론은 운영 중인 시스템을 중단시키지 않으면서도 저비용의 최적 대안을 도출하는 도구로서 충분한 활용가치를 가질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빅데이터 기반의 Dockless형 공유자전거 이용수요 영향요인 도출 (Derivation of Factors Affecting Demand for Use of Dockless Shared Bicycles Based on Big Data)

  • 김숙희;김형준;신혜영;이현경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43권3호
    • /
    • pp.353-362
    • /
    • 2023
  • 본 연구에서는 수원시에 도입되었던 dockless형 공유자전거인 모바이크의 이용자 빅데이터에 대한 이용현황 및 이용특성을 분석하고, 이에 대한 다중회귀분석을 수행하여 dockless형 공유자전거 이용수요 영향요인을 규명하였다. 분석을 위해 2019년 수원시의 dockless형 공유자전거 이용 데이터를 구득하였고, 이를 동별로 정리하였다. 동별로 선정된 영향요인의 특성을 분석한 결과, 자전거 이용수요가 많은 지역 또는 인접한 지역의 자전거도로 연장이 큰 것으로 나타났고, 10-30대 인구 수가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자전거도로 정비율이 높고 택지지구 인근의 대규모 주거시설과 상업시설이 밀집된 지역과 인접 지역을 중심으로 공유자전거 이용이 많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다중회귀분석 모델 분석 결과, 자전거 겸용도로(비분리), 동별 10-30대 인구, 철도역 수, 상업시설 수, 산업시설 수, 초·중·고 학교 수가 dockless형 공유자전거 이용수요에 미치는 영향이 유효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Dockless형 공유자전거 이용수요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여 시민이 dockless형 공유자전거를 이용하고 싶어 하는 환경을 조성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연구 결과는 향후 dockless형 공유자전거 이용 활성화를 위한 정책적 자료에 기여될 것으로 사료된다.

상업지역 생활도로 속도관리 시범운영 및 효과분석 (The Effects Analysis and Model Project on Speed Management in Commerical Area Street)

  • 심관보;허낙원
    • 한국도로학회논문집
    • /
    • 제13권1호
    • /
    • pp.119-127
    • /
    • 2011
  • 본 연구는 생활도로 속도관리 방안으로 선진국에서 추진되고 있는 Zone 30 제도를 우리나라의 도로 및 교통여건에 맞게 도입하고, 시범운영을 통해 시행의 효과를 분석하는 동시에 시행상의 문제점을 분석하여 향후 제도 확산을 사전에 대비하고자 하였다. 시범운영지역으로 선정된 곳은 경찰청 T/F에서 현장 조사 및 전문가 의견을 수렴하여 상가 밀집지역 주변도로 중 편도 2차로 이내의 도로이며, 보행자 통행량이 많고 보행자 사고율 또는 위험성이 높은 경기 고양시 일산구 장항2동 (면적 $0.65km^2$)이다. 우선 Zone 30 제도 검토 측면에서 생활도로와 생활도로구역의 용어를 정의하고, 생활도로 유형화 및 운영방안을 수립하였으며, 시범사업은 대상지에 대한 정밀 조사를 통해 문제점 및 개선점을 도출하고, 그에 따른 시설개선도면을 작성하여 해당 지자체와 협의하여 시설을 설치완료하였다. 시설 설치 전과 후로 나누어 효과분석을 수행한 결과 차량 속도는 시행전에 비해 가로별로 5~15km/h 감소하였으며, 교통사고의 경우도 시행전 25건에서 시행후 19건으로 24%가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속도관리 사업의 시행과정이 빠르고 시설비용이 저렴해 전국적인 확산시행이 유리하여 보행자사고 감소에 실질적 기여가 가능한 것으로 나타났다. 시범사업 연구결과를 토대로 생활도로구역 속도관리 사업추진 방안 등을 제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