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edestrian characteristics

검색결과 275건 처리시간 0.032초

보행자 특성을 고려한 예측형 보행자 충돌 경고 서비스 개발 (Development of Predictive Pedestrian Collision Warning Service Considering Pedestrian Characteristics)

  • 가동호;이동훈;여화수
    • 한국ITS학회 논문지
    • /
    • 제18권3호
    • /
    • pp.68-83
    • /
    • 2019
  • 국내 보행자 교통사고 건당 사망자수는 차대차 사고의 3배에 달한다. 해당 사고의 약 40%가 횡단 중 발생하며 특히 교차로에서는 차량의 우회전시 보행자-차량간 상충 가능성이 높기에 심각한 사고를 초래할 수 있다. 이에 다양한 보행자 충돌 경고 서비스가 개발되었지만 교차로에서 돌발적인 행동을 하는 보행자와 차량의 충돌을 막기에는 역부족이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횡단 이전의 보행자들을 관찰하고 추출된 보행자의 특성을 토대로 보행자의 횡단여부를 예측하여 접근 차량에 경고하는 예측형 보행자 충돌 경고 서비스(P2CWS, Predictive Pedestrian Collision Warning Service)를 개발하였다. 서비스 성능 평가를 위해 대전광역시 유성구 교차로에서 실제 보행자 데이터를 수집하였고 보행자 특성(나이, 성별, 회두여부)의 유무에 따른 비교 분석을 수행하였다. 분석 결과 보행자 특성을 반영한 서비스가 반영하지 않은 서비스보다 성능이 뛰어났으며 이로써 보행자의 횡단 여부를 예측하는데 보행자의 특성을 파악하는 것의 중요성을 확인하게 되었다.

보행통행 특성분석에 의한 보행환경개선 추진전략 연구 (A Strategy of Pedestrian Environment Improvement through the Analysis on the Walking Transportation Characteristics in a Big City)

  • 김형보;윤항묵
    • 한국항만학회지
    • /
    • 제14권3호
    • /
    • pp.269-278
    • /
    • 2000
  • Today the pedestrian-related problems a key subject requiring the attention of the traffic engineers for improving the transportation system. Particularly in urban and CBD locations, the pedestrian presents an element of sharp conflict with vehicular traffic. Therefore pedestrian movements must be studied for the purpose of providing guideline for the design and operation of walking transportation systems. This paper is to address the characteristics of walking transportation in a big city. Especially the focuses are emphasized on the ratio occupied by pedestrian traffic among the whole unlinked trips in a city and walking time. The data for analysis are collected in Seoul metropolitan city through sampling 1,006 citizens. Compared with other similar research works this paper utilized diversified tools to acquire more useful results. Finally, policy directions for pedestrian environment improvement were suggested.

  • PDF

횡단보도 보행신호시간 산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stimation of Pedestrian Signal Timing)

  • 안계형;김은정;이용일;정준하;김영찬
    • 대한교통학회지
    • /
    • 제24권5호
    • /
    • pp.57-66
    • /
    • 2006
  • 본 연구에서는 보행신호시간에 대한 국내 외 사례 분석 광범위한 보행자특성조사, 보행신호시간 운영방법에 대한 설문조사 등을 통해 보행자수요, 보행자특성 및 주변지역 특성 등을 고려한 보행신호시간 산정식을 제안하였으며, 실제 현장 자료를 이용하여 현재의 보행신호시간과 본 연구의 제안식에 의해 산출된 보행신호시간을 비교, 분석하였다. 보행자특성조사는 횡단보행속도와 인지반응시간에 대해 실시하였다. 서울시 총 16개 지역을 선정하여 토지이용, 도로 폭, 연령, 개인/그룹, 성별에 따라 자료를 수집하였다. 분석결과 서울시 보행자의 평균 횡단보행속도는 1.30m/s, 15th percentile속도는 1.11m/s로 나타났다. 인지반응시간은 평균 2.24초로 조사되었다. 횡단보행속도는 토지이용. 도로 폭, 연령, 개인/그룹, 성별에 따라 차이가 있었고, 인지반응시간은 도로 폭, 연령, 개인/그룹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또한 각 분석결과에 대한 통계 점정을 실시하여 본 연구에서 조사된 자료의 신뢰성을 확보하였다 따라서 이 자료들은 추후 관련 연구에 기본 자료로 활용이 가능할 것이다. 보행자특성 현장조사 및 보행자 설문조사 분석결과를 종합해 보면 현재의 보행신호시간과 그 운영방법은 개선이 시급한 것으로 분석됨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보행자의 수요, 보행자특성 및 횡단보도 기하구조 등을 고려한 합리적인 보행신호시간을 산출할 수 있는 산정식을 개발하였다

교통약자를 고려한 보행 신호시간 산정모형 개발에 관한 연구 (Development of Pedestrian Signal Timing Models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Weak Pedestrians)

  • 황덕수;오영태;이상수;김태호
    • 대한교통학회지
    • /
    • 제26권1호
    • /
    • pp.181-190
    • /
    • 2008
  • 본 연구는 교통약자(어린이와 고령자)에 대한 보행속도 및 인지-반응을 포함한 보행특성에 관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 이와 같은 교통약자의 보행 특성을 반영한 보행 신호시간 모형을 개발하는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본 연구를 위하여 가상횡단보도를 이용한 현장조사를 실시하여 어린이 및 고령자의 보행특성에 관한 자료를 수집하였다. 자료를 분석한 결과 어린이가 고령자에 비해 보행속도가 높게 나타났고, 약 0.63 m/s, 0.57 m/s의 평균속도를 나타내었다. 그러나 인지-반응시간과 여유시간은 고령자가 어린이에 비하여 높게 조사되었다. 이와 같은 특성을 반영한 보행신호시간 산정모형을 개발하여 제시하였다. 개발된 모형에 대한 민감도 분석 결과 실제 보행행태에 적합한 결과를 얻었고, 이를 현재 사용되고 있는 경찰청 모형과 비교한 결과 대부분의 상황에서 현재의 모형보다 증가된 보행 신호시간을 제공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결과는 향후 교통약자의 보행환경을 개선하는데 적용할 수 있고, 장기적으로는 교통약자의 이동성 증진에 기여할 것으로 판단된다.

보행자의 층돌 사고에서 보행자 전도거리에 영향을 주는 인자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Factors that Influence the Throw Distance of Pedestrian on the Vehicle-Pedestrian Accident)

  • 강대민;안승모
    • 동력기계공학회지
    • /
    • 제13권2호
    • /
    • pp.56-62
    • /
    • 2009
  • The fatalities of pedestrian account for about 40.0% of all fatalities in Korea 2005. Vehicle-Pedestrian accident generates trajectory of pedestrian. In pedestrian involved accident, the most important data to inspect accident is throw distance of pedestrian. The throw distance of pedestrian can be influenced by many variables. But existing studies have been done for simple factors. The variables that influence trajectory of pedestrian can be classified into vehicular factors, pedestrian factors, and road factors. The trajectory of pedestrian, dynamic characteristics of multi-body were analyzed by PC-CRASH, a kinetic analysis program for a traffic accident. PC-CRASH enables an analyst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many variables. The influence of the offset of impact point was analyzed by Working Model. Based on the results, the variables that influence trajectory of pedestrian were vehicular frontal shape, vehicular impact speed, the offset of impact point, the height of pedestrian, friction coefficients of pedestrian. However the weight of pedestrian did not affect trajectory of pedestrian considerably.

  • PDF

구배 기반 가중 접근성을 이용한 역세권 보행 네트워크 분석에 관한 연구 (Analysis of Subway Adjacent Area Pedestrian Networks using Weighted Accessibility based on Road Slope)

  • 하은지;전철민
    • Spatial Information Research
    • /
    • 제20권5호
    • /
    • pp.77-89
    • /
    • 2012
  • 최근보행은 교통의 가장 기본 이동수단으로 대중교통 중심개발, 지속가능한 개발, 녹색교통 활성화 등 새로운 패러다임의 부각으로 그 중요성과 관심도가 높아지고 있다. 기존의 보행 네트워크 분석 연구에서는 보행자의 목적지까지 이동거리와 공간구문론의 통합도를 대표적인 접근성 요소로 사용하고 있지만 단순한 평면상의 네트워크 이동거리는 지형적인 특성이 반영되지 않기 때문에 비슷한 네트워크 구조를 가진 분석 지역들의 경우 비슷한 결과 값을 나타낼 수 있다. 또한 분석 지역의 특성에 따라 보행자들의 이동규모와 이동거리가 다름에도 불구하고 이를 반영하지 못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구배를 고려하고 보행자의 이동규모를 고려한 이동거리 분석을 통해 새로운 보행 네트워크 접근성 분석 방법론을 제시하는 것이 목적이다. 강남구에 위치한 논현역, 역삼역, 학동역을 연구지역으로 선정하고, 미국 스포츠의학협회에서 제시하는 대사량 공식을 통해 구배 가중거리 공식을 유도하고 보행자의 이동규모를 추정하기 위해 건물 면적 비율에 따라 역 이용객 수 데이터를 활용해 건물 이용자 수를 추정한 뒤 연구 지역의 1인당 평균 이동거리를 비교하고 분석하였다. 더 나아가 역세권 200m와 500m에 위치한 건물에 대한 보행자의 이동거리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이는 보다 연구지역의 특성을 반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는 단순 보행 네트워크 이동거리 분석에서 구배를 고려한 보행 네트워크 이동거리 분석, 더 나아가 보행자의 이동규모를 고려한 보행 네트워크 이동거리 분석을 실시하였고 보다 실질적인 보행자의 특성을 고려한 보행 네트워크 접근성 분석 방법론을 제시하였다. 이는 앞으로 보행 네트워크 분석에서 지형적 특성을 반영하고 보다 실질적인 보행자의 움직임을 고려한 보행 네트워크 분석 방법론으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개별 사고특성 및 근린환경 특성이 서울시 보행자 교통사고 심각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Individual Accidents and Neighborhood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on the Severity of Pedestrian Traffic Accidents in Seoul)

  • 고동원;박승훈
    • 대한건축학회논문집:계획계
    • /
    • 제35권8호
    • /
    • pp.101-109
    • /
    • 2019
  • Korea's transportation paradigm is shifting from a vehicle-oriented transportation plan to a pedestrian-friendly environment that emphasizes walking safety. However, the level of pedestrian traffic accidents in Korea is still high and seriou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factors affecting the severity of pedestrians traffic accidents using the multilevel logistic regression model based on 2015-2017 pedestrian accidents data provided by the Traffic Accident Analysis System(TAAS). The main results of the multilevel logistic regression model showed that 89% of pedestrian traffic accidents in Seoul were explained by individual characteristics such as drivers and pedestrians, and 11% were explained by neighborhood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The results are as follows : In the individual characteristics such as pedestrians and drivers, the older the pedestrians and the drivers, the higher the traffic accident severity. The severity of traffic accidents was high when the pedestrians were female and the drivers were male. In the case of accident types, traffic accidents were more serious in the cases of heavy vehicles, inclement weather, and occurring at intersections and crosswalks. The results of the neighborhood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are as follows. The intersection density and the crosswalk density tended to reduce the severity of traffic accidents. On the other hand, the traffic light density and the school zones were founded to related to the higher level of traffic accident severity. This study suggests that both individual and neighborhood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should be considered together to prevent and reduce the severity of pedestrian traffic accidents.

충격 지점과 보행자 전도 거리의 상관관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Impact Point of Vehicle and Throw Distance of Pedestrian)

  • 강대민;안승모
    • 한국기계가공학회지
    • /
    • 제6권3호
    • /
    • pp.71-76
    • /
    • 2007
  • The fatalities of pedestrian account for about 40.0% of all fatalities in Korea 2005. Vehicle-Pedestrian accident generates trajectory of pedestrian. In pedestrian involved accident, the most important data to inspect accident is throw distance of pedestrian. The throw distance of pedestrian can be influenced by many variables. The variables that influence trajectory of pedestrian can be classified into vehicular factors, pedestrian factors, and road factors. Vehicular factors are the frontal shape of vehicle, impact speed of vehicle, the offset of impact point. Many studies have been done about the relation between impact speed and throw distance of pedestrian. But the influence of the offset of impact point was neglected. The influence of the offset of impact point was analyzed by Working Model, and the trajectory of pedestrian, dynamic characteristics of multi-body were analyzed by PC-CRASH, a kinetic analysis program for a traffic accident. Based on the results, the increase of offset reduced the throw distance of pedestrian. However box type vehicle just like bus, the offset of impact point did not influence the throw distance of pedestrian considerably.

  • PDF

보행 특성을 고려한 보행자 서비스수준 평가지표 개발: 홍익대학교 주변지역을 대상으로 (Development of Criteria for Determining Level of Service for Pedestrian Walkway Considering a Pedestrian Platoon: Focusing on the Hongik University Area)

  • 최성택;추상호;전나영
    • 대한교통학회지
    • /
    • 제34권2호
    • /
    • pp.191-206
    • /
    • 2016
  • 보행자 행태는 개인의 사회 경제적 환경과 신체적 특성으로 인해 매우 다양하게 나타나기 때문에 보행 지표는 다양한 표본을 통해 얻게 된 결과의 평균적인 값을 활용하게 된다. 그러나 개별 보행자의 보행 특성이 매우 다르다면 평균 값 또한 대표성을 갖기 힘들다. 본 연구에서 영상촬영을 통해 보행자를 관찰한 결과, 보행로 상에 뒤섞인 군집(platoon)이 보행 흐름에 큰 영향을 끼친다는 사실을 발견하였다. 보행로 상에 군집이 많이 섞여 있을수록 보행 흐름은 더욱 느려지고 보행공간은 혼잡해진다. 보행류율과 보행점유공간 등의 지표는 특정 시간동안 해당 보행로를 이용한 보행자수에 의해 정의된다. 따라서 군집의 비율이 높은 지점과 낮은 지점에서 동일한 수의 보행자가 관측되었다 하더라도 실질적인 보행 속도, 혼잡도 등은 큰 차이를 보일 수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현상을 관찰하여 보행 군집의 구성 비중이 높은 경우에 적용할 수 있는 별도의 보행자 서비스 수준을 제시하였다. 그 결과, 동일한 값의 보행류율을 보이는 두 개의 지점이라 해도 보행 군집의 영향에 의해 서비스 수준이 다르게 나타남을 확인하였다.

어린이 보호구역 내에서 발생한 6-14세 어린이들의 보행 중 교통사고에 대한 역학적 조사 (An Epidemiological Study for Child Pedestrian Traffic Injuries that Occurred in School-zone)

  • 신민호;권순석
    •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 /
    • 제38권2호
    • /
    • pp.163-169
    • /
    • 2005
  • Objectives: Pedestrian traffic injuries have been an important cause of childhood mortality and morbidity for decades.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describe the epidemiological characteristics of child pedestrian traffic injuries that occurred during 2000 in one metropolitan city and its school-zones, and to determine the factors associated with those accidents. Methods: A cross-sectional study was performed in 2001. Police records were used to identify the cases of pedestrian injury. Children aged between 6 and 15 years, injured during road walking, were included in this study. A direct survey of the environmental factors within the school-zones in study area (n=116) was also performed.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s, via mail and telephone surveys, were used to assess the safety education programmes. The school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according to the occurrence of pedestrian traffic injuries in their school-zone. Results: Pedestrian injuries (n=597) were found to account for 3.2% of all traffic injuries in the subject area. The epidemiological characteristics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genders. There were some significant risk factors within the environmental factors, such as local road (OR: 2.3, 95% CI=1.05-5.35), heavy traffic volume (OR: 2.2, 95% CI=1.00-5.04), poor visibility of speed-limit signs (OR: 2.8, 95% CI=1.25-6.42), no separation of pedestrian routes from cars (OR: 2.6, 95% CI=1.02-6.75) and barriers on the pedestrian routes (OR: 2.2, 95% CI=1.01-5.08). Only one factor, that of education in a safety-park (OR: 0.3, 95% CI=0.09-0.96), was significantly associated in the traffic and pedestrian safety education factors. Conclusion: Significant associations with pedestrian injury risk were identified in some of the modifiable environmental factors than in the educational factor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