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edestrian accidents

검색결과 231건 처리시간 0.025초

회전 및 진입 차로 수에 따른 학교와 인접한 회전교차로 보행자 사고모형 (Pedestrian Accident Models of Roundabout Near Schools by the Number of Entry and Circulatory Lane)

  • 손슬기;박병호
    • 한국안전학회지
    • /
    • 제32권5호
    • /
    • pp.135-140
    • /
    • 2017
  • This study deals with the safety of roundabou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factors affecting the pedestrian accidents of roundabout near schools. In pursuing the above, this study gives particular attentions to comparatively analyzing the pedestrian accident by number of entry and circulatory lane. The traffic accident data from 2013 to 2015 are collected from TAAS data set of Road Traffic Authority. To develop the pedestrian accident model, the Poisson and negative binomial models has been utilized in this study. Such the dependent variable as the number of pedestrian accidents and the 24 independent variables as geometry, traffic volume and others are used. The main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3 Poisson and 2 negative binomial models(${\rho}^2$ of 0.153~0.426) which are all statistically significant are developed. Second, the common variable of models based on the number of circulatory roadway lane is analyzed to be the entry lane width and that of the number of entry lane is evaluated to be the design speed. Also specific variables are evaluated to splitter island, roundabout sign, number of approach road, bus stop and elementary school. Finally, the design speed might be expected to decrease the number of pedestrian accidents near schools.

보행신호를 대기하는 보행자의 안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Safety for Pedestrians Waiting for Signal)

  • 김한솔;백세룡;최용순;윤준규;임종한
    • 자동차안전학회지
    • /
    • 제13권3호
    • /
    • pp.41-46
    • /
    • 2021
  • The number of big traffic accident cases of pedestrian death appeared to be minor, however compared to death rate in car to car accidents is very high and quite a few of the pedestrian death rates among all traffic accidents are counted to be almost 40%. Previous pedestrian safety studies were mostly aimed at reducing the degree of pedestrian injuries from a vehicle to pedestrian collision, and less at preventing a collision itself. This research was conducted with a method of using road facilities to prevent vehicles from rushing into the sidewalk. This research used one of the collision analyzing programs, called PC-Crash to simulate the vehicle rushing into the sidewalk. Based on the program, it could derive an optimal safe zone location where the pedestrian can wait for the pedestrian light safely. Also, changing road facilities such as pedestrian light pillars or signal controllers can widen 440% compared to the present safe zone. Accordingly, researchers have to consider a method to analyze and apply pedestrian safe zones along with road facilities location when designing a road.

무단횡단을 하는 보행자의 안전을 위한 연구: TPB를 중심으로 (A Study for Pedestrian's Safety: Relating to TPB)

  • 장경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6권1호
    • /
    • pp.180-194
    • /
    • 2015
  • 도로 상에서 차량은 강자이고 보행자들은 약자의 처지이다. 본 논문은 보행자의 안전에 기여하고자 하는 목적을 가진다. 먼저, 본 논문은 인구 모수들과 TPB(계획된 행동의 이론)의 변수들(도로에서 보행자의 길 건너는 행동에 있어서의 태도, 개인적 가치, 인지된 행동 통제, 등), 길을 건너고자 하는 의도, 건너는 동안의 인지된 위험, 그리고 과거 교통사고의 경험 사이의 연관성을, 대학생 샘플을 대상으로, 연구하였다. TPB 변수들을 고려한 보행자 연구는 한국에서 통상 수행되지 않았었다. 더 나아가 본 연구는, 도로를 건너는 보행자의 위험한 행동에 있어서, 인간의 인지 실패/오류, 충동성, 시간관, 그리고 확률적/수학-논리적 판단 능력이, 차지하는 비중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는, 그 비중이 아주 크지는 않지만, 존재함을 발견하였고, 인간 생명은 매우 소중하므로, 보행자의 사고에서 인간의 그러한 심리적 요인들을 추가적으로 고려한다면, 보행자의 사고를 예방하고 그 불행을 줄이는 데에, 더 나아가 사고와 관련된 경제적 손실과 보험 지출을 줄이는 데에, 기여할 것이라고 사료된다.

주행시뮬레이터를 활용한 보행자 돌발 횡단 상황에서의 고위험 운전자 유형별 안전운전 교육 효과분석 (The Effect Analysis of Safe Driving Education for High-Risk Driver Groups in Sudden Pedestrian Crossing Situation Using a Driving Simulator)

  • 이재현;모대상;홍준의;이청원
    • 한국ITS학회 논문지
    • /
    • 제20권5호
    • /
    • pp.18-34
    • /
    • 2021
  • 교통사고 사망자 중 보행자 사망자는 약 40%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으며, 이는 OECD 회원국 평균 약 2배 정도의 수치로 보행자의 안전관리가 시급한 실정이다. 이처럼 심각성이 높은 보행자 사고의 감소를 위해서는 일반 운전자보다 교통사고 발생 가능성이 높은 고위험 운전자(초보, 고령, 상용차 운전자)에 대한 사고 감소 방안이 선행 적용될 필요가 있다. 이에 본 연구는 보행자가 돌발적으로 횡단하는 위험상황이 구현된 주행시뮬레이터를 활용하여 교통사고 감소 방안 중 하나인 안전운전 교육의 수행 전후 보행자 돌발 횡단 상황에서 고위험 운전자의 운전행태 개선 효과를 분석하였다. 초보 운전자와 고령 운전자의 경우 대부분의대리 안전 지표에서 운전행태 개선을 보이지 않았고, 상용차 운전자만이 안전운전 교육으로 인한 운전행태 개선 효과가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초보 운전자와 고령 운전자의 경우 안전 교육 이외에 보행안전 인프라, 운전자 주행 보조 시스템 등의 추가적인 보행자 사고 감소 방안이 필요하다는 것을 시사한다. 본 연구의 결과는 고위험 운전자에 의한 보행자 사고의 감소 방안을 수립하는데 기초 연구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무단횡단사고를 고려한 노인 보행 교통사고 취약 지역 선정 연구 (Research on Selection of Vulnerable Areas to Walking Traffic Accidents for the Elderly Considering Jaywalking Accidents)

  • 홍기만;임이정;김종훈;송재인
    • 한국재난정보학회 논문집
    • /
    • 제17권2호
    • /
    • pp.341-350
    • /
    • 2021
  • 연구목적: 본 연구는 보행사고 감소를 위해 도입되고 있는 교통안전시스템의 적용 지역에 대하여 우선 순위를 선정하기 위한 분석 방법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 사고지점의 좌표 정보를 이용한 Kernel density Analysis를 통해 노인보행사고 및 노인무단횡단추정사고에 대한 밀도 분석과 두 가지 보행사고 형태에 대한 가중치 분석을 수행하였다. 연구결과: 노인무단횡단추정사고를 고려한 가중치 밀도 분석 결과, 노인보행사고 발생건수가 많은 전주시에 비해 군산시, 정읍시, 김제시에서 노인 보행 교통사고 밀도가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결론: 본 연구의 분석 결과는 교통안전시스템 도입을 위한 대상지 선정시 지표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실험계획법을 이용한 SUV의 보행자 보호 시스템 설계 (Pedestrian Protection System Design for SUV Using the Design of Experiments)

  • 이영명;최원석;박경진
    • 한국자동차공학회논문집
    • /
    • 제24권1호
    • /
    • pp.24-32
    • /
    • 2016
  • The mortality rate of car-pedestrian accidents is quite high, compared to the frequency of accidents. Researches on pedestrian protection are being actively performed worldwide. The A-pillar and lower part of the wind shield cause the most serious damage to the pedestrians. Typical devises to protect the pedestrians are the hood lift system and pedestrian airbag. The design of such devices for an sport utility vehicle is performed based on a design process using design of experiments (DOE). The design results are obtained by an orthogonal array (OA), analysis of mean (ANOM) and analysis of variance (ANOVA). A metamodel is also used in the design process.

지방자치단체의 유형별 보행자사고 특성분석 및 보행환경조성사업 개선방안 연구 (A Study on the Implementation of Walking Environment Projects by Analyzing Characteristics of Pedestrian Accidents by Local Government Types)

  • 박진경;한명주
    • 대한교통학회지
    • /
    • 제32권6호
    • /
    • pp.615-627
    • /
    • 2014
  • 본 연구는 비계층적 K-평균 군집분석을 이용하여 보행자사고와 토지이용특성에 따른 지방자치단체의 유형을 분류하고 유형별 보행자사고의 세부특성을 Mann-Whitney U검증과 Kruskal-Wallis 검증을 이용하여 분석한 다음 그 결과로부터 보행환경 조성사업에 대한 개선방안을 제안하였다. 지역은 행정시와 행정구를 제외한 기초지방자치단체를 기준으로 230개 시 군 구로 구분된다. 비계층적 K-평균 군집분석 결과 230개 지방자치단체는 유형 1-A(상업지가 상대적으로 우세한 도시형), 유형 1-B(주거지가 우세한 도시형), 유형 2(농촌형)로 분류되었으며, 지자체 유형별 보행자사고 차이 검증결과 9m 미만 생활형 도로의 보행자사고 발생율은 공통적으로 60% 이상으로 도시형에 비해 농촌형에서 발생할 비율이 더 높았다. 또한 유형별로 유형 1-B는 교차로 내 보행자사고 사상자수가 많고 횡단 중 사고 비율도 높은 반면 길가장자리구역 통행 중 보행자 사상자수 비율은 유형 2에 해당하는 농촌형이 가장 높았다.

어린이 보호구역 내 발생한 보행자 교통사고에 영향을 미치는 근린환경특성 (Neighborhood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Affecting Pedestrian-Vehicle Crashes in School Zones)

  • 고동원;박승훈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9권10호
    • /
    • pp.179-189
    • /
    • 2019
  • 한국의 교통 패러다임이 차량 중심에서 보행 중심의 사회로 변화하고 있다. 이러한 과정에서 보행자 안전 및 보행환경 개선의 관심 또한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하지만 한국의 교통안전 수준은 여전히 심각한 수준이다. 따라서 보행자 안전 및 보행환경을 개선하기 위한 노력이 절실한 상황이다. 이에 본 연구는 어린이 보호구역 내 안전한 보행환경을 조성하기 위해 교통사고분석시스템(TAAS)에서 제공하는 2013-2015년 차대사람 교통사고 데이터를 활용하여 어린이 보호구역 주변 근린환경과 보행자 교통사고와의 연관성을 지리정보시스템(GIS)와 공간계량분석을 통해 파악하였다. 주요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도로요인과 대중교통요인 모두 어린이 보호구역 내 보행자 교통사고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토지이용요인의 경우 주거지역, 상업지역, 공업지역 모두 보행자 교통사고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용도혼합도의 경우에는 보행자 교통사고 저감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개발밀도가 높은 경우에도 어린이 보호구역 내 보행자 교통사고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차량-보행자 충돌사고 재구성 해석: 차량 속도 계산과 불확실성 (Reconstruction Analysis of Vehicle-pedestrian Collision Accidents: Calculations and Uncertainties of Vehicle Speed)

  • 한인환
    • 한국자동차공학회논문집
    • /
    • 제19권5호
    • /
    • pp.82-91
    • /
    • 2011
  • In this paper, a planar model for mechanics of a vehicle/pedestrian collision incorporating road gradient is derived to evaluate the pre-collision speed of vehicle. It takes into account a few physical variables and parameters of popular wrap and forward projection collisions, which include horizontal distance traveled between primary and secondary impacts with the vehicle, launch angle, center-of-gravity height at launch, distance from launch to rest, pedestrian-ground drag factor, the pre-collision vehicle speed and road gradient. The model including road gradient is derived analytically for reconstruction of pedestrian collision accidents, and evaluates the vehicle speed from the pedestrian throw distance. The model coefficients have physical interpretations and are determined through direct calculation. This work shows that the road gradient has a significant effect on the evaluation of the vehicle speed and must be considered in accident cases with inclined road. In additions, foreign/domestic empirical cases and multibody dynamic simulation results are used to construct a least-squares fitted model that has the same structure of the analytical one that provides an estimate of the vehicle speed based on the pedestrian throw distance and the band within which the vehicle speed would be expected to be in 95% of cases.

주거지 주변가로 Zone 30 구역 선정기준 및 운영방안 연구 (The Study on Choice Standard and Operation Method on Zone 30 in the Outskirts Street of Residential Area)

  • 심관보;고명수;조성근
    • 대한교통학회지
    • /
    • 제27권5호
    • /
    • pp.39-49
    • /
    • 2009
  • 본 연구는 현재의 보행자 보호구역 선정기준 문제점을 분석하여 현실에 맞는 기준 재정립에 관해 기술하였다. 구체적인 사항으로는 보행자 교통사고의 문제점에 대하여 통계자료를 기본으로 보행자 교통사고의 추이, 사고의 발생 유형, 행동유형 등을 종합적으로 분석하고 보행자 교통사고의 감소를 위한 대책으로 보행자 보호구역을 지정 운영하고 있는 국내 외의 사례를 활용하여 국내의 Zone30 구역 선정 기준을 도출하였다. 또한, 현장조사를 통해 교통량과 속도가 보행자 사고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여 정량적인 기준을 제시하였으며, 정량적 기준 외에 사고유형, 도로기능, 사고위치 등 보행자 교통사고 발생건수 등의 사고특성을 분석하여 기준을 제시하였다. 특히 교통사고의 통계자료를 활용하여 보행자 안전성에 역점을 두었다. 또한, Zone30 구역의 안전시설 설치에 관한 설치기준 및 운영방안의 체계적인 정립이 이루어지지 않아 각 지방 단위별로 일관성이 없고 혼란이 발생하여 Zone30 구역에 설치될 시설설치 표준지침 수립과 운영방안을 제시하였으며, Zone30 구역 교통운영별 시설물 배치도를 제시하여 설치기준을 제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