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ectinase

검색결과 162건 처리시간 0.027초

감식초 청징화를 위한 Pectinase 처리조건의 모니터링 (Monitoring on Pectinase Treatment Conditions for Clarification of Persimmon Vinegar)

  • 정용진;이기동;이명희;여명재;이경훤;최신양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8권4호
    • /
    • pp.810-815
    • /
    • 1999
  • The pectinase treatment conditions for clarification of persimmon vinegar were optimized and monitored by response surface methodology. In clarification of persimmon vinegar by pectinase treatment with variations in temperature, time and concentration, coefficients of determinations(R2) of the models were above 0.91(p<0.05) in turbidity, browning color intensity and tannin content. The turbidity of persimmon vinegar was decreased along with an increase of pectinase treatment temperature. The minimum value of turbidity by pectinase treatment was 0.0021(absorbance at 660nm) in 49.38oC of pectinase treatment temperature, 73.08min of pectinase treatment time and 55.57ppm of pectinase concentration. The minimum value of browning color intensity by pectinase treatment was 0.27(absorbance at 660nm) in 48.39oC, 71.74min and 65.69ppm. The minimum value of total tannin contents by pectinase treatment was 43.72mg/100 ml in 40.05oC, 66.02min and 65.26ppm. The optimum conditions of pectinase treatment that satisfies the least common multiple of turbidity, browning color and tannin content were 40~50oC, 60~70min and 55~70ppm.

  • PDF

Pectinase를 생산하는 Bacillus sp. BS-214의 분리 및 특성 (Isol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Pectinase-Producing Bacillus sp. BS-214)

  • 전병삼;차재영;송재영;이강덕;김범규;이영춘
    • 생명과학회지
    • /
    • 제10권1호
    • /
    • pp.101-106
    • /
    • 2000
  • 과즙 및 과실주 제조에서 착즙 수율 향상, 혼탁방지, 삼의 벌효정제, 식물 조직배양들에 pectinase가 널리 이용되고 있다. 본연구에서는 삼지닥나무의 이용 및 응용하는 연구의 일환으로서 토양으로 부터 높은 pectinase 활성을 나타내는 균주를 분리, 동정하여 삼지닥나무를 분해시키는 pecrinase의 생산조건을 검토하였다. 경남일대에서 채취된 토양시료 100여점으로 부터 pectinase 활성이 높은 6균주의 형태학적, 생화학적특성을 조사하여 동정한 결과 Bacillussp.로 밝혀졌다. Bacillus sp.BS-214의 배양 특성과 pectinase 생성조건을 검토한 결과 온도 4$0^{\circ}C$,pH8.5, 배양시간 36시간에서 효소생산이 가장 양호햐였다. 균의 생육과 효소 생산에는 탄소원으로 1%의 농도의 polygalacturonic acid 와 질소원으로서 0.25%의 yeast extract가 가장 적합하였으며, 본 균주에서 생산된 효소에 의한 삼지닥나무의 펙틴질 분해도 관찰되었다.

  • PDF

Pectinase 처리 전후의 현미의 물리적 변화 분석 (Analysis on Physical Changes of Pectinase-Treated Brown Rice (Oryza sativa))

  • 피경태;김근철
    • 생명과학회지
    • /
    • 제23권4호
    • /
    • pp.554-559
    • /
    • 2013
  • 현미에는 탄수화물 뿐 아니라 비타민, 미네랄 등과 같은 영양성분이 함유되어 있다. 현미는 당뇨 등과 같은 질환관리에 매우 유용하지만, 취반 등의 어려움 등으로 대중적인 소비가 어려운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현미 표면에 풍부한 섬유소를 제거하기 위해 분해 효소를 이용하는 가공 방법의 가능성을 수행하였다. 일정시간 물에 담근 후 현미의 무게 변화를 측정하였을 때, 대조군 또는 collagenase 가공한 현미에 비해 pectinase 가공한 현미의 무게가 심하게 증가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수용액에서 현미를 침지한 후 pectinase를 처리하면 현미의 미강 부분이 거칠어지고, 미세한 구멍이 형성되는 것을 전자현미경 관찰을 통하여 확인하였다. 또한 이러한 pectinase를 이용한 현미 가공에도 불구하고 현미고유의 영양성분은 거의 완벽하게 보존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한편, pectinase 가공 전후의 현미를 대상으로 수분 흡수력, 녹말 반응도의 차이를 조사하였을 때, pectinase 처리 현미에서 높은 수분흡수력, 녹말 반응도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기존의 현미 도정 방법에 비해 pectinase 처리에 의해 현미 가공방법은 영양성분이 보존될 뿐 아니라 식감, 미감 등에서 우수한 가공방법임을 제시할 수 있다.

Pectinase 생산균의 분리 및 특성

  • 이지은;김삼곤;김성준
    • 한국생물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생물공학회 2003년도 생물공학의 동향(XII)
    • /
    • pp.460-465
    • /
    • 2003
  • 본 연구에서는 토양으로부터 높은 pectinase 활성을 나타내는 균주를 분리하였고, pectinase 생산을 위한 최적 배양조건을 검토하였다. strain KL34의 배양특성과 pectinase 생산 조건을 검토한 결과 최적온도 $25^{\circ}C$, 배양액 초기 pH 8.5, 최적 탄소원 2% polygalacturonic acid 및 최적 질소원 yeast extract 0.25%에서 가장 높은 효소활성을 나타내었다.

  • PDF

Pectinase처리가 감과실 알콜발효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Pectinase Treatment on Alcohol Fermentation of Persimmon)

  • 정용진;김혁일;황기;이오석;박난영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1권4호
    • /
    • pp.578-582
    • /
    • 2002
  • 감과실의 효율적 활용을 위하여 알콜발효과정에서 pectinase 처리에 따른 성분 변화를 조사하였다. pH 및 총산의 변화는 모든 구간에서 크게 나타나지 않았으며 pectinase 처리에 따른 영향은 없었다. 환원당 함량의 변화는 실험구간 모두 발효시간 12시간 이후 급격히 감소하여 60시간부터는 변화가 없었으며 72시간에서는 pectinase처리 구간이 약간 높게 나타났다 알콜 함량의 변화는 무처리구보다 pectinase 처리구들이 높게 나타나는 경향이었으나 농도에 따른 차이는 크게 나타나지 않았다. 알콜발효수율은 200, 500 ppm 처리구가 96%로 가장 높았으며 다음은 300, 400 ppm 및 무처리구 순서로 높게 나타났다. 알콜발효과정에서 주요 알콜성분은 acetaldehyde, mothanol, ethanol, n-propylalcohol, iso-butylalcohol 및 iso-amylalcohol 5종이 분석되었다. Acetaldehyde 및 methanol 함량은 무처리구가 가장 낮았으며 methanol의 함량은 200 ppm처리구가 가장 높았으나 pectinase 처리 및 농도에 따른 차이는 크게 나타나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 감과실 알콜발효과정에서 pectinase 처리는 알콜수율 증가 등에는 효과적이었으나 methanol 함량은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포도(Red Glove)의 Pectinase 처리가 레드와인의 생산과 품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Pectinase in Grape (Red Glove) Production and Quality of Red Wine)

  • 이정창;최용근;박정수;정희훈;이동희;최태부;강상모;김형주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22권2호
    • /
    • pp.264-270
    • /
    • 2012
  • 본 연구는 pectinase 처리가 레드와인 발효와 와인의 품질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실험군과 대조군으로 구분하여 진행하였으며, pectinase 처리가 와인제조 과정에서 과즙 추출 향상, 과즙 청징 작용으로 색의 투명성과 안정성에 좋은 효과를 나타냄을 확인할 수 있었다. 포도과즙 산출량 변화를 확인한 결과에서는 pectinase가 펙틴을 분해하여 약 13%(v/v)의 포도과즙 수율 증가를 나타냈다. 와인 색의 강도와 투명성의 결과는 실험군이 대조군에 비하여 색의 적색도가 강하게 나타났으며, 색도에서는 높은 선명도를 나타냈다. 또한, 펙틴이 pectinesterase(PE)에 의해 가수분해되어 발효 중에 메탄올 함량이 증가되었다. 관능검사를 통한 와인 품질과 관련된 기호 평가에서는 실험군이 대조군에 비해 외관, 향, 맛, 촉감이 우수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와 같이 pectinase의 처리에 의한 레드와인 발효 시, 다당류와 펙틴의 분해에 의해 레드와인의 품질 향상을 가져올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를 토대로 와인제조 과정에서 pectinase의 효율성을 극대화하고, 메탄올 생성량의 감소 방안, 그리고 pectinase 처리 와인의 성분 분석과 기능이 세부적으로 연구된다면 와인품질 개선에 더 큰 효과를 기대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저마직물의 펙티나제 정련 시 황산나트륨의 영향 (Effect of Sodium Sulfate on Ramie Fabrics Treated with Pectinase)

  • 박소영;송화순;김인영
    • 한국염색가공학회지
    • /
    • 제22권3호
    • /
    • pp.220-228
    • /
    • 2010
  • This study examines the scouring effect of pectinase on ramie fabric and influence of sodium sulfate as an activator for pectinase. The scouring effects were measured by the weight loss and pectin contents. SEM, weight loss, stiffness, moisture regain and dye ability of ramie fabric teated with pectinase/sodium sulfate were also measured. When ramie fabrics were desized with $\alpha$-amylase, the optimum conditions were pH 6.5 at $60^{\circ}C$ for 80 min with 1%(o.w.f) $\alpha$-amylase concentration. When ramie fabrics were scoured with pectinase, the optimum conditions were pH 8.5 at $55^{\circ}C$ for 30 min with 10%(o.w.f) pectinase concentration. Addition of sodium sulfate improved enzyme activity significantly, which increased proportionally with increasing sodium sulfate concentration. When 50 g/l of sodium sulfate was added, the surface became cleaner compared to the enzyme treatment without salt: weight and tensile loss, moisture regain and dyeability of the treated fabrics increased, while pectin contents and stiffness decreased. Therfore, sodium sulfate was effective activator for the pectinase treatment of flax fiber.

효소제 처리에 따른 늙은 호박의 추출 특성 (Extract Characteristics of Old Pumpkin on Enzyme Treatment)

  • 윤선주;김경은;정용진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0권3호
    • /
    • pp.302-307
    • /
    • 2003
  • 본 연구에서는 늙은 호박의 효소처리 조건에 따른 추출특성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pectinase에 의한 영향에서는 효소제 처리를 한 모든 구가 대조구보다 품질 특성이 우수하였으며, 특히 0.15%(w/w) pectinase 처리구의 품질특성이 가장 높게 분석되었다. 혼합 효소제 처리에서는 pectinase와 cellulase의 단독 처리구에 비해 pectinase와 cellulase의 혼합 효소제의 추출율이 높게 나타났다. 최적 효소제 처리조건 설정을 위한 늙은 호박의 추출조건(I~IV)에서 추출물의 수율은 pectinase와 cellulase를 혼합 처리한 구(III)에서 86.94%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가용성 고형분 및 pH는 모든 처리구에서 비슷한 경향을 보였다. 환원당과 전당 함량은 각각 2.81, 4.60%로 나타난 효소제 혼합 처리구(III)가 높았으며 total carotene은 pectinase 처리구가 5.36mg%로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모든 처리구에 대한 아질산염소거능 결과는 pH 6.0을 제죄한 pH 1.2, 3.0, 4.0에서 소거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유리 아미노산 분석에서는 총 함량이 176.85, 171.89 mg%인 II, III 처리구가 무처리구에 비해 높은 함량으로 분석되었으며 citrulline은 I, IV 처리구에서는 분석되지 않았으나 II, III 처리구에서는 1.61, 1.4l mg%로 분석되었다. 이상의 결과로 늙은 호박의 추출조건으로는 무처리구보다는 효소제를 처리한 구에서 높은 수율 및 품질의 우수성이 인증되었으며 그 중 III 처리구인 pectinase와 cellulase(0.15 : 0.05, %)를 혼합하여 추출함으로써 추출율 및 품질특성이 우수한 추출물을 얻을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Improved Menthol Production Using Suspension Cultures of Mentha piperita with Pectinase Elicitation

  • CHANG, JUN HYONG;JOONG HAN SHIN;IN SIK CHUNG;HYONG JOO LEE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9권3호
    • /
    • pp.358-360
    • /
    • 1999
  • The effect of pectinase on menthol production by Mentha piperita in shake flasks was investigated. The optimum concentration of pectinase and period of elicitation for menthol production were 15 U/1 and 9 days, respectively. Pectinase elicitation at 15 U/1 for 9 days using a Lin-Staba medium with 2,4-dichlorophenoxyacetic acid (2,4-D) enhanced menthol production 37-fold (211.5 ㎎ menthol/l) with the specific menthol concentration (menthol concentration per unit weight of cells) of 27.5 ㎎/g dry cell weight (DCW). Our results also indicate that pectinase elicitation may activate the conversion of pulegone to menthol.

  • PDF

딸기 과즙의 수율과 딸기 발효주의 품질에 대한 pectinase 처리의 영향 (Effect of Pectinase Treatment on Extraction Yield of the Juice of Fragaria ananassa Duch. and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Strawberry Wine during Ethanolic Fermentation)

  • 정은정;김민화;김용석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7권1호
    • /
    • pp.72-78
    • /
    • 2010
  • 저에탄올 딸기 발효주 제조를 위한 딸기 과즙의 수율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4종의 pectinase를 이용하여 효소처리시 최적조건을 설정하였으며, 발효기간에 따른 이화학적 특성, 에탄올함량, anthocyanin 색소함량의 변화를 조사하였다. 4종의 pectinase를 1,000 ppm의 농도로 30, 60분간 처리하여 수율을 측정한 결과, Viscozyme L 효소를 1,000 ppm에서 30분간 처리시 수율이 81.7%로서 가장 높았으며, 대조구에 비해 수율이 18.9% 증가하였다. 에탄올 발효시 효소처리에 따른 이화학적인 특성의 차이는 관찰되지 않았으며. 에탄올함량의 경우도 pectinase 처리에 의한 함량변화는 나타나지 않았다. 딸기 과즙의 주요 색소는 cyanidin-3-glucoside와 pelargonidin-3-glucoside로 검출되었으며, 발효기간 중 효소처리구의 색소 함량이 대조구보다 약간 낮았고, 두 처리구 모두 발효 기간에 따라 anthocyanin 색소의 안정성이 떨어지므로 딸기발효주의 색도 유지를 위한 연구가 필요한 것으로 판단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