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earl and common millet

검색결과 2건 처리시간 0.017초

잡곡유전자원을 이용한 유기종자생산 포장의 해충발생 소장 (Occurrence of Insect Pest from Organic Seed Producing Field of Minor Grain Germplasms)

  • 김정순;고호철;윤성탁;조양희;김정곤;심창기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55권1호
    • /
    • pp.58-64
    • /
    • 2010
  • 잡곡유기종자 안정적인 생산을 위해 병해충 관리의 기본이 되는 잡곡의 중요 병해충발생 소장 및 발생시기와 밀도를 조사하고자 본 연구를 실시하였다. 1. 2008년 조, 기장, 수수의 유기잡곡종자 생산 포장에서 조사기간 동안 조명나방의 발생 밀도는 수수자원의 밀도가 가장 높았으며 조자원에서 가장 낮은 발생 밀도를 보였으며, 2009년도 조명나방의 발생 밀도는 수수재배 포장의 밀도가 가장 높았으며 조재배 포장에서 가장 낮은 발생 밀도를 보였다. 2. 2008년 조명나방에 의한 잡곡의 피해주율을 조사하였더니, 지속적으로 증가하여 10월 16일에는 조 (60%), 수수 (47.5%), 기장 (43.8%) 순으로 높게 조사되었다. 2009년에는 6월 8일부터 9월 4일까지 지속적으로 증가하여 9월 4일에는 조 (51.3%), 수수 (42.5%), 기장(32.5%) 순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기장자원은 6월 8일부터 6월 26일 사이에 그 피해가 발생하지 않았다. 3. 멸강나방 성충의 발생 시기나 밀도를 조사하였으나, 2008년, 2009년 모두 전혀 유인되지 않았으나 멸강나방 유충에 의한 피해는 지속적으로 관찰되었으며, 각자원별로 피해주율을 살펴보면, 조, 수수, 기장 순으로나타났다. 4. 2008년, 2009년 모두 멸강나방 유충에 의한 피해주율은 조, 수수, 기장 순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2008년 조자원에 대한 피해주율은 11.25~35.0%로 지속적으로 증가하였고, 수수와 기장의 피해주율은 각각 3.8~26.3%, 7.5~22.5%의 변이를 보였다. 2009년 각 자원별로 평균 피해주율은 조 자원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조는 2.5~36.3%, 수수는 0~25.0%, 기장은 0~21.3% 순으로 나타났다 5. 잡곡포장에서의 노린재 발생은2008년 풀색노린재, 알락수염노린재, 썩덩나무노린재, 3종류가 발생하였으며, 조와 기장 자원에서 풀색노린재의 발생 밀도가 가장 높았고, 2009년은 4종 (풀색노린재, 알락수염노린재, 썩덩나무노린재, 톱다리노린재)의 노린재가 발생하였고 조와 기장 자원은 풀색노린재와 톱다리노린재가 우점종 이었으며 알락수염노린재의 발생밀도는 낮게 나타났다. 수수 자원은 썩덩나무노린재와 톱다리노린재가 우점종 이었으며 알락수염노린재와 풀색 노린재는 낮은 밀도를 나타내었다.

Utilization of Sorghum Forage, Millet Forage, Veldt Grass and Buffel Grass by Tswana Sheep and Goats when Fed Lablab purpureus L. as Protein Supplement

  • Aganga, A.A.;Autlwetse, M.N.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13권8호
    • /
    • pp.1127-1132
    • /
    • 2000
  • Forty yearling Tswana sheep and goats (20 sheep and 20 goats) of both sexes were used in a feeding trial conducted in Botswana College of Agriculture (B.C.A) Content Farm in Gaborone for three months. The animals were randomized into four treatment groups of five animals per species balancing for weight and sex such that average initial weights were not statistically different. The sheep and goats were individually housed and fed under a common roof. All the animals were fed on Lablab purpureus L. as a protein supplement which was 40% of the ration. In addition to L.purpureus L. the control groups of both species were fed on 60% Cenchrus ciliaris L. as basal diet. The other three treatment groups were fed on different forages namely; sorghum forage (Sorghum sudanense (Piper) Stapf), millet forage (Pearl millet, Pennisetum typhoides (Burm.) Stapf and Hubb.) and veldt grass mainly Urochloa mosambicensis (Hack.) as basal diet (60%). Water was provided individually to all the animals on ad lib. basis. Daily intakes of feed and water were recorded and weighing of the animals was done every two week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sed statistically for differences. Average daily weight gain by Tswana sheep was significantly different (p<0.05), sheep fed on millet forage had a higher daily weight gain $(120.24{\pm}8.91g)$ compared with sheep fed on veldt grass $(92.86{\pm}6.94g)$. Treatment effects on daily total DM intake by sheep were significant, the control group (C. ciliaris L.) had higher intake $(705.77{\pm}10.22g)$ and those fed on sorghum forage had the least intake $(668.10{\pm}10.70g)$.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p>0.05) in the average daily weight gain by Tswana goats and it was 84.52, 73.81, 83.33 and 78.57 g for goats fed on C. ciliaris L., sorghum forage, millet forage and veldt grass respectively. Average daily total DM intake by goats was 655.27, 652.64, 650.07 and 650.94 g for C. ciliaris L., sorghum forage, millet forage and veldt grass respectively. Feed conversion efficiency was 8.00, 8.98, 7.93 and 8.34 for goats fed on C. ciliaris L., sorghum forage, millet forage and veldt grass respectively and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p>0.05).